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 트루먼 쇼와 사회.
ⅰ. 트루먼 쇼. (The Truman Show, 1998)
ⅱ. 트루먼 쇼에서 나타난 사회.
Ⅲ . 마치는 글
Ⅱ . 트루먼 쇼와 사회.
ⅰ. 트루먼 쇼. (The Truman Show, 1998)
ⅱ. 트루먼 쇼에서 나타난 사회.
Ⅲ . 마치는 글
본문내용
하고 있는 것 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트루먼’의 ‘ 씨헤븐 ’ 탈출은 자아로서의 성장, 또는 인간으로서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의미하게 된다. 신에게서 독립하여 스스로의 주체성과 자아를 가지고 인간이 성장 하는 것을 긍정하는 것 이다.
Ⅲ . 마치는 글
내가 이 영화를 처음 보았던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였다. 담임선생님의 추천으로 모두 함께 영화를 봤었는데, 아마도 그때는 영화가 담고 있는 내부적 의미를 생각해 보기보다는 ‘ 혹시 지금 내 삶도 트루먼 쇼처럼 만들어 진 게 아닐까? ’ 라는 막연한 불안감을 가졌었던 것 같다. 하지만, 8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본 ‘트루먼 쇼’는 불안함과 걱정보다는 현재 사회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에 더 관심이 갔었고, 대사 하나 하나가 어떤 사회적 현실을 풍자하는 것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때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영화 한편이 많은 현실적 사회와 이러한 현실적 사회에 대한 많은 생각들을 담았다는 점에서 많이 놀랐다.
한때 CC-TV 설치 문제로 언론과 국민이 떠들썩했던 적이 있다. 개인의 사생활이 존중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있는 사회에서 CC-TV 설치의 증가는 참으로 역설적인 현실이다. 자신의 행동 하나 하나가 누군가에 의해서 감시받는다는 것은 참으로 소름끼치는 일이다. 더군다나 그것이 나를 ‘예비 범죄자’로 간주하고 감시하는 것은 더욱더 기분 나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는 감시카메라가 너무 많아져서 거의 무의식해 졌을지 모르지만 한번쯤 우리는 생각해보아야 한다. ‘트루먼’ 처럼 ‘지금의 나의 모습을 누군가 보고 있지는 않을까?’ 라고 말이다. ‘ 트루먼 쇼’ 는 이제 비단 영화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는 트루먼처럼 알지 못하는 누군가에게 노출되기도 하며, 쉽게 남들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 현실에서 우리는 과연 우리가 씨 헤븐의 문을 열고 나간 트루먼처럼 진실한 세상에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 지, 그리고, 영화를 통해 보여 진 사회에 대해 우리는 어떤 태도를 보여야 할지 다시한번 생각하는 자세가 요구될 것이다.
< 참조 미디어 >
주 : 트루먼쇼 - (The Truman Show, 1998) /
부 : 씨네21 ‘미디어와 대중의 관음폭력을 고발하다 ’ /
MBC ‘출발 ! 비디오여행 ’ - 트루먼 쇼 /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이왕주 ( 2005, 효형출판사 )/
Ⅲ . 마치는 글
내가 이 영화를 처음 보았던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였다. 담임선생님의 추천으로 모두 함께 영화를 봤었는데, 아마도 그때는 영화가 담고 있는 내부적 의미를 생각해 보기보다는 ‘ 혹시 지금 내 삶도 트루먼 쇼처럼 만들어 진 게 아닐까? ’ 라는 막연한 불안감을 가졌었던 것 같다. 하지만, 8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본 ‘트루먼 쇼’는 불안함과 걱정보다는 현재 사회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에 더 관심이 갔었고, 대사 하나 하나가 어떤 사회적 현실을 풍자하는 것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생각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때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영화 한편이 많은 현실적 사회와 이러한 현실적 사회에 대한 많은 생각들을 담았다는 점에서 많이 놀랐다.
한때 CC-TV 설치 문제로 언론과 국민이 떠들썩했던 적이 있다. 개인의 사생활이 존중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있는 사회에서 CC-TV 설치의 증가는 참으로 역설적인 현실이다. 자신의 행동 하나 하나가 누군가에 의해서 감시받는다는 것은 참으로 소름끼치는 일이다. 더군다나 그것이 나를 ‘예비 범죄자’로 간주하고 감시하는 것은 더욱더 기분 나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는 감시카메라가 너무 많아져서 거의 무의식해 졌을지 모르지만 한번쯤 우리는 생각해보아야 한다. ‘트루먼’ 처럼 ‘지금의 나의 모습을 누군가 보고 있지는 않을까?’ 라고 말이다. ‘ 트루먼 쇼’ 는 이제 비단 영화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는 트루먼처럼 알지 못하는 누군가에게 노출되기도 하며, 쉽게 남들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 현실에서 우리는 과연 우리가 씨 헤븐의 문을 열고 나간 트루먼처럼 진실한 세상에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 지, 그리고, 영화를 통해 보여 진 사회에 대해 우리는 어떤 태도를 보여야 할지 다시한번 생각하는 자세가 요구될 것이다.
< 참조 미디어 >
주 : 트루먼쇼 - (The Truman Show, 1998) /
부 : 씨네21 ‘미디어와 대중의 관음폭력을 고발하다 ’ /
MBC ‘출발 ! 비디오여행 ’ - 트루먼 쇼 /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이왕주 ( 2005, 효형출판사 )/
추천자료
대중 영화속에서의 과학기술 이미지에 대하여 (윌러스와 그로밋)
[영상문화]영화속 여성연대-바그다드까페와 개같은 날의 오후를 중심으로
내가 본 멜로영화속 사랑 분석하기!
대중문화와패션 -영화속의 패션;러브액츄얼리
영화속에서 나타나는 언어
영화속 인물 심리분석 - 파이트 클럽
괴물 영화속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자
영화속 역사수업(태극기 휘날리며)
사이코 짱가의 영화속 심리학
사이코 짱가의 영화속 심리학
양들의 침묵 ,원초적 본능, 세븐 의 영화속 네러티브 분석
범죄 영화속 인물의 심리분석
KCU 영화속의 제 3세계 문화 퀴즈 + 기말고사 족보 <2014> 1차 퀴즈 (10문제) + 2차 퀴즈 (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