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건강사정
예방접종
lab검사
약물
간호진단2개
예방접종
lab검사
약물
간호진단2개
본문내용
: 1회 약 5ml, 1일 3회
작용 및 효과
기침 : 급 ·만성 기관지염
부작용
1) 소화기계 : 구역, 탄산증, 소화불량, 설사, 구토
2) 중추신경계 : 피로, 기능쇠약, 반수, 혼수, 두통, 현기증
3) 순환기계 : 두근거림
4) 피부 : 아주 드물게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금기
이 약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주의
드물게 반수상태가 초래되므로 운전이나 기계 조작시 주의할 것
약명
소아용 프리마란시럽 (Primalan Syrup for Children)
분류
항히스타민제
용법 및 용량
소아 : 메퀴타진으로서 1일 체중 5kg당 1.25mg을 경구투여한다
작용 및 효과
두드러기, 고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습진, 소양증, 맥관부종, 결막염
부작용
다른 페노치아진계 약물을 소아(특히 2세 이하)에 투여한 경우 유아돌연사망증후군(SIDS) 및 유아 수면시 무호흡발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금기
1) 페노치아진계 약물 및 그 유사화합물에 과민증 환자
2) 녹내장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3) 전립선비대 등 하부요로 폐색성 질환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4) 혼수상태 환자 또는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를 대량 투여중인 환자
5) MAO억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6) 간질 환자
7) 간염 환자
8) 소아(정제에 한함)
9) 2세 이하 영아(시럽제에 한함)
10) 이 약에 알레르기 증상의 병력이 있는 환자
주의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에 종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약명
액티피드 시럽(Actifed Syrup)
분류
항히스타민제
용법 및 용량
소아 : 1회 6-12세 5mL, 2-5세 2.5mL
1일 3회 식후에 복용한다.
작용 및 효과
코감기, 알레르기성 및 혈관운동성 비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 재채기, 콧물, 코막힘
부작용
1) 중추신경계 : 진정, 졸음, 중추 신경 쇠약, 중추 흥분, 불안, 발한, 경미한 혈압강하, 시력장애, 산동, 헛소리, 환각, 흥분, 근육경련, 경직, 아테토시스, 간대성 및 강직성 경련, 고열, 호흡마비, 혼수, 순환기 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피부반응, 일시적인 자극통, 작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3) 소화기계 : 구갈, 구역,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4) 비뇨기계 : 배뇨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5) 소아에서 특히 흥분이 나타날 수 있다
금기
1)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중증의 간 및 신기능 장애 환자
3) 중증의 관상 심장 질환 환자
4) 잔뇨 형성을 수반하는 배뇨장애 환자
5) 고혈압 환자
6)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수유부
7) 2세 이하의 영아
8) MAO 저해제를 투여중인 환자
9)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에 과민증 환자
주의
1)이 약의 투여중 자동차운전 및 위험한 기계조작 등 주의력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일에 종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7일 이내에 증상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거나 고열을 동반할 때에는 연용전에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한다.
3)7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필요한 경우 시럽제를 복용하되 용법용량을 잘 지키고 표시된 연령 이외의 소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4) 이 약은 안식향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식향산은 피부, 눈, 점막에 경미한 자극이 될 수 있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계속 기침하면서 보채요.“
coughing 시 가래소리 들리며 coughing을 몰아한다.
불안정, 보챔
빈호흡
기관지 분비물 배출이 어려움.
간호진단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기대결과
환아는 3월 26일 이내에 정상적인 호흡음을 유지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coughing 양상을 관찰한다.
coughing양상을 관찰하였다.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다.
레보투스 시럽을 투여하였다.
흉부물리요법과 기도흡인을 한다.
기관지 벽에 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고 기도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nasopharyngeal suction을 하였다.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탈수가 되면 분비물이 진해져 기도폐쇄의 원인이
된다.
Fluid 1L주입을 끝내고, F5Dw BB+ Na 30mEq + k20mEq IV connected하였다.
간호평가
coughing을 간간히 하며, 흉부물리요법(등타진법)을 보호자가 수시로 하고 있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우리 아이가 잘 먹지를 못해요.”
“오늘 아이가 계속 설사를 했어요.”
oral intake poor함.
오후와 저녁에 설사를 함.
식욕부진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기대결과
환아는 3월 26일 이내에 대사요구에 맞는 식이 섭취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필요시 경관영양 또는 정맥 영양요법을 하며 주입속도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영양결핍을 보충하며 급속 주입으로 인한 순환계의 과부담을 막는다.
IV fluid 24hrs 주입하였다.
I/O를 사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상태를 파악한다.
I/O를 사정하였다.
Intake : Day - IV fluid(300ml)
Eve - IV fluid(300ml)
Night - IV fluid(450ml)
Output : Day - Urine(3x, vomiting 2x)
Eve - Urine(3x, diarrhea 1x)
Night - Urine(3x, diarrhea 1x)
매일 동일조건(시각, 체중계, 옷, 배뇨상태, 음식섭취상태)에서 체중을 측정한다.
체중은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3/22일 몸무게 : 10.5kg, 3/23일 몸무게 : 10kg , 3/24일 몸무게 : 10kg , 3/25일 몸무게 : 10kg . 3/26일 몸무게 : 10kg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및 환경을 제공한다.(예쁜색의 음식과 그릇, 가족이나 친구와의 식사 등)
식욕은 미각 뿐 아니라 시각, 분위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환아가 좋아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diarrhea 없으며 수분섭취 소량씩 자주하며 지낸다.
작용 및 효과
기침 : 급 ·만성 기관지염
부작용
1) 소화기계 : 구역, 탄산증, 소화불량, 설사, 구토
2) 중추신경계 : 피로, 기능쇠약, 반수, 혼수, 두통, 현기증
3) 순환기계 : 두근거림
4) 피부 : 아주 드물게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금기
이 약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주의
드물게 반수상태가 초래되므로 운전이나 기계 조작시 주의할 것
약명
소아용 프리마란시럽 (Primalan Syrup for Children)
분류
항히스타민제
용법 및 용량
소아 : 메퀴타진으로서 1일 체중 5kg당 1.25mg을 경구투여한다
작용 및 효과
두드러기, 고초열, 알레르기성 비염, 습진, 소양증, 맥관부종, 결막염
부작용
다른 페노치아진계 약물을 소아(특히 2세 이하)에 투여한 경우 유아돌연사망증후군(SIDS) 및 유아 수면시 무호흡발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금기
1) 페노치아진계 약물 및 그 유사화합물에 과민증 환자
2) 녹내장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3) 전립선비대 등 하부요로 폐색성 질환환자(항콜린작용에 의함)
4) 혼수상태 환자 또는 바르비탈계 약물, 마취제 등 중추신경억제제를 대량 투여중인 환자
5) MAO억제제를 투여중인 환자
6) 간질 환자
7) 간염 환자
8) 소아(정제에 한함)
9) 2세 이하 영아(시럽제에 한함)
10) 이 약에 알레르기 증상의 병력이 있는 환자
주의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에 종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약명
액티피드 시럽(Actifed Syrup)
분류
항히스타민제
용법 및 용량
소아 : 1회 6-12세 5mL, 2-5세 2.5mL
1일 3회 식후에 복용한다.
작용 및 효과
코감기, 알레르기성 및 혈관운동성 비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 재채기, 콧물, 코막힘
부작용
1) 중추신경계 : 진정, 졸음, 중추 신경 쇠약, 중추 흥분, 불안, 발한, 경미한 혈압강하, 시력장애, 산동, 헛소리, 환각, 흥분, 근육경련, 경직, 아테토시스, 간대성 및 강직성 경련, 고열, 호흡마비, 혼수, 순환기 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피부반응, 일시적인 자극통, 작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3) 소화기계 : 구갈, 구역, 구토가 나타날 수 있다.
4) 비뇨기계 : 배뇨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5) 소아에서 특히 흥분이 나타날 수 있다
금기
1)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중증의 간 및 신기능 장애 환자
3) 중증의 관상 심장 질환 환자
4) 잔뇨 형성을 수반하는 배뇨장애 환자
5) 고혈압 환자
6)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수유부
7) 2세 이하의 영아
8) MAO 저해제를 투여중인 환자
9)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에 과민증 환자
주의
1)이 약의 투여중 자동차운전 및 위험한 기계조작 등 주의력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일에 종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7일 이내에 증상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거나 고열을 동반할 때에는 연용전에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한다.
3)7세 이하의 소아에게는 필요한 경우 시럽제를 복용하되 용법용량을 잘 지키고 표시된 연령 이외의 소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4) 이 약은 안식향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식향산은 피부, 눈, 점막에 경미한 자극이 될 수 있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계속 기침하면서 보채요.“
coughing 시 가래소리 들리며 coughing을 몰아한다.
불안정, 보챔
빈호흡
기관지 분비물 배출이 어려움.
간호진단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기대결과
환아는 3월 26일 이내에 정상적인 호흡음을 유지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coughing 양상을 관찰한다.
coughing양상을 관찰하였다.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다.
레보투스 시럽을 투여하였다.
흉부물리요법과 기도흡인을 한다.
기관지 벽에 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고 기도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nasopharyngeal suction을 하였다.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탈수가 되면 분비물이 진해져 기도폐쇄의 원인이
된다.
Fluid 1L주입을 끝내고, F5Dw BB+ Na 30mEq + k20mEq IV connected하였다.
간호평가
coughing을 간간히 하며, 흉부물리요법(등타진법)을 보호자가 수시로 하고 있다.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우리 아이가 잘 먹지를 못해요.”
“오늘 아이가 계속 설사를 했어요.”
oral intake poor함.
오후와 저녁에 설사를 함.
식욕부진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기대결과
환아는 3월 26일 이내에 대사요구에 맞는 식이 섭취를 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필요시 경관영양 또는 정맥 영양요법을 하며 주입속도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영양결핍을 보충하며 급속 주입으로 인한 순환계의 과부담을 막는다.
IV fluid 24hrs 주입하였다.
I/O를 사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상태를 파악한다.
I/O를 사정하였다.
Intake : Day - IV fluid(300ml)
Eve - IV fluid(300ml)
Night - IV fluid(450ml)
Output : Day - Urine(3x, vomiting 2x)
Eve - Urine(3x, diarrhea 1x)
Night - Urine(3x, diarrhea 1x)
매일 동일조건(시각, 체중계, 옷, 배뇨상태, 음식섭취상태)에서 체중을 측정한다.
체중은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3/22일 몸무게 : 10.5kg, 3/23일 몸무게 : 10kg , 3/24일 몸무게 : 10kg , 3/25일 몸무게 : 10kg . 3/26일 몸무게 : 10kg
환아가 선호하는 음식및 환경을 제공한다.(예쁜색의 음식과 그릇, 가족이나 친구와의 식사 등)
식욕은 미각 뿐 아니라 시각, 분위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환아가 좋아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diarrhea 없으며 수분섭취 소량씩 자주하며 지낸다.
추천자료
만성신부전(CRF) 정의와 CASE study 레포트
소아당뇨(type1 DM) case study
미숙아,신생아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수술 환자 사례 연구 ( CASE STUDY ) -위암수술 ▪ 수술명 : Subtotal gastrectomy ...
간경화(Liver cirrhosis) case study
방광암(bladder cancer) case study
AGE(급성 위장관염) case study
자연분만(NSVD) Case Study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Case Study(케이스 스터디)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폐렴 (Pneumonia)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