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회 한국사 연구와 민족주의
1. 문제제기
2. 민족사학과 국민국가
2회 한국근대 사학사
1. 성리학적 역사서술의 특징
2. 조선후기 역사서술의 특징
3. 개항기 역사서술
4. 식민사학 ↱ 중국의 식민지로 첫출발(한사군)
5. 민족주의 사관
6. 1960 ~ 70년대 최고의 화두 : 민족사학/근대화
7. 80년대 민중사학
8. 90년대
3회 단군 신화와 고조선
1. 전제
2. 단군신화
3. 고조선
4. 단군신화, 고조선 인식
4회 고대국제 관계와 임나일본부설
1. 문제제기
2. 임나일본부설
3. 광개토대왕비 -근대의 text로 해석된 고대 text
4 고구려의 TEXT로서 광개토대왕비
6회 중앙집권론과 지방자치제의 변화
1. 문제제기
2. 삼국, 통일신라시대 → 골품제, 정복전쟁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한말 : 자치제의 법제화 시도, 집강소
6. 일제시대 ↱ why 세금 징수기관의 등장
7. 해방후 : 지방 자치제의 차폐, 관변조직의 지방여론 독점
7회 한국의 “미”의 식민지성
1. 한국 미술사의 출발 : 식민시대
2. 아나기 무네요시 : 민예운동가
3. 타자화된 주체의 수용과 반발
4. 한국 미술사 인식의 몇가지 고려사항
8회 한국 근대사에서의 국가주의와 자유주의
1. 문제제기
2. 이론
3. 한말 유기체적 국가관과 국권론
4. 식민지 시기 자유주의적 시화관
5. 일제말 파시즘적 국가관(1930~1940) 히틀러, 무솔리니
6. 해방후 국가주의
7. 70년대 국가주의 1) 제2경제로서의 국민교육헌장 →
8. 해방후의 자유주의
9. 90년대 자유주의
1. 문제제기
2. 민족사학과 국민국가
2회 한국근대 사학사
1. 성리학적 역사서술의 특징
2. 조선후기 역사서술의 특징
3. 개항기 역사서술
4. 식민사학 ↱ 중국의 식민지로 첫출발(한사군)
5. 민족주의 사관
6. 1960 ~ 70년대 최고의 화두 : 민족사학/근대화
7. 80년대 민중사학
8. 90년대
3회 단군 신화와 고조선
1. 전제
2. 단군신화
3. 고조선
4. 단군신화, 고조선 인식
4회 고대국제 관계와 임나일본부설
1. 문제제기
2. 임나일본부설
3. 광개토대왕비 -근대의 text로 해석된 고대 text
4 고구려의 TEXT로서 광개토대왕비
6회 중앙집권론과 지방자치제의 변화
1. 문제제기
2. 삼국, 통일신라시대 → 골품제, 정복전쟁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5. 한말 : 자치제의 법제화 시도, 집강소
6. 일제시대 ↱ why 세금 징수기관의 등장
7. 해방후 : 지방 자치제의 차폐, 관변조직의 지방여론 독점
7회 한국의 “미”의 식민지성
1. 한국 미술사의 출발 : 식민시대
2. 아나기 무네요시 : 민예운동가
3. 타자화된 주체의 수용과 반발
4. 한국 미술사 인식의 몇가지 고려사항
8회 한국 근대사에서의 국가주의와 자유주의
1. 문제제기
2. 이론
3. 한말 유기체적 국가관과 국권론
4. 식민지 시기 자유주의적 시화관
5. 일제말 파시즘적 국가관(1930~1940) 히틀러, 무솔리니
6. 해방후 국가주의
7. 70년대 국가주의 1) 제2경제로서의 국민교육헌장 →
8. 해방후의 자유주의
9. 90년대 자유주의
본문내용
예술론으로서의 한국문화사 → 좀더 나은 일본의 문화를 규정하기 위해 일본≫ 한국
차이 : A가 가진 특징과 그것들을 갖지 못한 다른 B,C,D의 특징관계 규정
차별 : 그러한 특징을 가진 것들과의 지배적 관계 규정
- 사랑의 주체로서의 남성 : 일본 /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 : 조선
중국
일본
한국
대륙
섬
반도
안정
기쁨
떠난다
강하고
즐거우며
쓸쓸하다
형태
색깔
선
존중
맞보기 위해
위로받기위해
3) 한국의 미 전제: 한국의 역사기 미술을 그렇게 만듬, 피안의 예술
- 곡선의미, 백색의 미, 무기교의 기교
3. 타자화된 주체의 수용과 반발
1) 수용 : 일부 수용, 일부 다른 해석
-고유정 → 많은 부분을 수용
-김원룡 → 시대별로 미의 규정 수용
2) 민족주의적 비판과 한계
- 재해석 : 남성적 조선 → 백색의 미의 상징, 천손을 상징
⇒ 그러나 식민지에서 규정된 한국의 미를 그들을 유지한 재해석에 불과
4. 한국 미술사 인식의 몇가지 고려사항
1) 일반화와 규정의 오류
→ 다른 나라도 곡선을 추구
2) 인공과 계획없는 예)술품이란
3) 역사적 맥락의 고려
4) 당대인들의 체험과 시각을 고려
8회 한국 근대사에서의 국가주의와 자유주의 ← 전제 : 국가주의 과잉, 자유주의 왜곡
1. 문제제기
1) 국가 주의가 왜 팽배? / 자유주의의 왜곡은 어떤 모습인가?
2. 이론
1) 자유주의(liberalism) → 독립신문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침범 할수 없고 개인을 위해 존재
-국가의 권력과 기능은 제한적
-천부인권설, 사회계약론 개인주의, 인민주권론
2) 국가주권론(state)
-국가 권력이 개인의 자유와 인권위에 / 개인은 국가위해서만 존재 → 개인의 이익 < 국가이익
-국가지상주의, 전체주의, 유기체론 → 개인은 국가의 한부분이다
3. 한말 유기체적 국가관과 국권론
1) 배경
-일본을 통한 수입(독일에서 유행하는 국권론 수입 : 국가인원론, 국가주권론 ⇔ 인민주권론
2) 국가주의 우위
- 小我 < 大我 관념의 확산 → 국가의 이익을 통해 나를 찾자
(反제국주의를 위해 근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봉건관념 극복해야 된다는 논리)
- 민족국가의 위기 속에 동원논리의 휴효성
4. 식민지 시기 자유주의적 시화관 → why 국가 없는 시기
1) 배경 (1910 등장, 1920 확산) → 민주주의(의회, 정당)/자본주의(독점, 개발)/사상(개인,자유)
2)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등장(자본주의의 기본)
3) 자유주의적 허약성→反봉건
5. 일제말 파시즘적 국가관(1930~1940) 히틀러, 무솔리니
1) 배경
-1930년대 이후 전세계적 파시즘
-대동아 공영전, 서양의 분위기(*국가사회주의)
2) 내용
-영웅숭배론 (나폴레옹, 히틀러) ⇒ 국가의 이름으로
-힘=정의 ⇒ 파시즘의 핵심
-공동체적 전통 옹호 → 서양에 반대되는 것 ⇒ 계, 향약의 연구
-파시즘적 국가관
6. 해방후 국가주의
1) 이범석의 민족 청년당
68년에 반포,경제개발 근대화 도덕성(관료의 부정부패)
정신의 근대화
반공, 민주, 책임의무 자유
국가에 의해 국민의 책임의무가 선택되어짐
2) 안효상의 일민주의(一民主義)
7. 70년대 국가주의 1) 제2경제로서의 국민교육헌장 →
2) 국적이 있는교육 → 국사교육, 국가시험에 포함/국적이 있는 민주주의(유신) 관료의 대통령 임명
3) 반공과 개발의 주체로서의 국가
8. 해방후의 자유주의
1) 반공(反共) 자유주의
2) 국가를 위해서라면 자유를 포기할수 있다
3) 사상에서의 자유주의, 反봉건자유주의 *교회, 재산권 → 자유주의 인정
9. 90년대 자유주의
1) 신세대론
2) 신자유주의
(시장의 숭배, 복지 축소, 국가역할 축소, 경쟁, 효율, 합리화)
차이 : A가 가진 특징과 그것들을 갖지 못한 다른 B,C,D의 특징관계 규정
차별 : 그러한 특징을 가진 것들과의 지배적 관계 규정
- 사랑의 주체로서의 남성 : 일본 /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 : 조선
중국
일본
한국
대륙
섬
반도
안정
기쁨
떠난다
강하고
즐거우며
쓸쓸하다
형태
색깔
선
존중
맞보기 위해
위로받기위해
3) 한국의 미 전제: 한국의 역사기 미술을 그렇게 만듬, 피안의 예술
- 곡선의미, 백색의 미, 무기교의 기교
3. 타자화된 주체의 수용과 반발
1) 수용 : 일부 수용, 일부 다른 해석
-고유정 → 많은 부분을 수용
-김원룡 → 시대별로 미의 규정 수용
2) 민족주의적 비판과 한계
- 재해석 : 남성적 조선 → 백색의 미의 상징, 천손을 상징
⇒ 그러나 식민지에서 규정된 한국의 미를 그들을 유지한 재해석에 불과
4. 한국 미술사 인식의 몇가지 고려사항
1) 일반화와 규정의 오류
→ 다른 나라도 곡선을 추구
2) 인공과 계획없는 예)술품이란
3) 역사적 맥락의 고려
4) 당대인들의 체험과 시각을 고려
8회 한국 근대사에서의 국가주의와 자유주의 ← 전제 : 국가주의 과잉, 자유주의 왜곡
1. 문제제기
1) 국가 주의가 왜 팽배? / 자유주의의 왜곡은 어떤 모습인가?
2. 이론
1) 자유주의(liberalism) → 독립신문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침범 할수 없고 개인을 위해 존재
-국가의 권력과 기능은 제한적
-천부인권설, 사회계약론 개인주의, 인민주권론
2) 국가주권론(state)
-국가 권력이 개인의 자유와 인권위에 / 개인은 국가위해서만 존재 → 개인의 이익 < 국가이익
-국가지상주의, 전체주의, 유기체론 → 개인은 국가의 한부분이다
3. 한말 유기체적 국가관과 국권론
1) 배경
-일본을 통한 수입(독일에서 유행하는 국권론 수입 : 국가인원론, 국가주권론 ⇔ 인민주권론
2) 국가주의 우위
- 小我 < 大我 관념의 확산 → 국가의 이익을 통해 나를 찾자
(反제국주의를 위해 근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봉건관념 극복해야 된다는 논리)
- 민족국가의 위기 속에 동원논리의 휴효성
4. 식민지 시기 자유주의적 시화관 → why 국가 없는 시기
1) 배경 (1910 등장, 1920 확산) → 민주주의(의회, 정당)/자본주의(독점, 개발)/사상(개인,자유)
2)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등장(자본주의의 기본)
3) 자유주의적 허약성→反봉건
5. 일제말 파시즘적 국가관(1930~1940) 히틀러, 무솔리니
1) 배경
-1930년대 이후 전세계적 파시즘
-대동아 공영전, 서양의 분위기(*국가사회주의)
2) 내용
-영웅숭배론 (나폴레옹, 히틀러) ⇒ 국가의 이름으로
-힘=정의 ⇒ 파시즘의 핵심
-공동체적 전통 옹호 → 서양에 반대되는 것 ⇒ 계, 향약의 연구
-파시즘적 국가관
6. 해방후 국가주의
1) 이범석의 민족 청년당
68년에 반포,경제개발 근대화 도덕성(관료의 부정부패)
정신의 근대화
반공, 민주, 책임의무 자유
국가에 의해 국민의 책임의무가 선택되어짐
2) 안효상의 일민주의(一民主義)
7. 70년대 국가주의 1) 제2경제로서의 국민교육헌장 →
2) 국적이 있는교육 → 국사교육, 국가시험에 포함/국적이 있는 민주주의(유신) 관료의 대통령 임명
3) 반공과 개발의 주체로서의 국가
8. 해방후의 자유주의
1) 반공(反共) 자유주의
2) 국가를 위해서라면 자유를 포기할수 있다
3) 사상에서의 자유주의, 反봉건자유주의 *교회, 재산권 → 자유주의 인정
9. 90년대 자유주의
1) 신세대론
2) 신자유주의
(시장의 숭배, 복지 축소, 국가역할 축소, 경쟁, 효율, 합리화)
추천자료
(한국신화)신화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모든 건국신화 상세정리.. (창세신화)
그리스 신화와 한국 건국 신화 - 그 속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한국의 신화를 읽고 - 여러 신화의 분석과 감상
신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고대국가의 형성
그리스 로마 신화 (신화적 상상력과 그예를 통한 현대사회에서의 그리스로마신화의 발견)
세계의 신화( 서양신화 동양신화 모두) 조사, 분석한 레포트
우리나라신화와 서양신화의 비교 report (홍익인간의 이해 단국대)
[귀신관][로마][금오신화 남염부주지][신립장군][이생규장전][전통혼례]로마의 귀신관, 금오...
[주몽, 동명성왕 고주몽, 주몽 탄생, 주몽신화, 고구려, 유리왕]주몽(동명성왕 고주몽)의 탄...
[작품해석][작품][해석][여류시조][금오신화][고려가요 가시리][청산별곡][시인 홍희표]여류...
<전통 신화의 서사구조 및 현대 신화의 양상과 구조>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