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문화적 규범과 일치하는 행위양식이 대인관계에서 어떻게 기능하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의 검토

Ⅱ. 한국인의 문화적 규범

Ⅲ. 공동체 의식과 유교 사상의 행위양식과 대인관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효(孝) 사상은 첫 인상에 영향을 끼친다. 자신보다 웃어른을 만난다면 공손하고 예의 바른 인사와 말투를 써야하고 자신보다 아랫사람을 만난다면 그에 맞게 정중하고도 엄숙한 인상을 주어야 한다. 특히 첫 인상의 형성이 대인관계 형성과 발전의 시작인 만큼 이러한 유교 사상은 대인관계 형성자에 맞게 행위양식을 규정해 준다.
(2) 상호 기대감의 형성과 관련한 유교 사상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교의 근본사상으로서 인(仁)은 어질 인 자로서 사람의 됨됨이를 정하고 있다. 상호간에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등 인간관계를 하면서 서로 자신의 몫을 다해나가는 태도가 상호 기대감을 형성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유교 사상은 여기에 있어 신분 차별적인 내용이 있다. 현재는 유교 사상의 신분 차별이 문화적 규범이라 할 수 없지만 직장 내 혹은 사회집단 내에서 직위에 따라 요구하는 행위양식이 다르고 이에 따라 차별적인 요소를 배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낮은 신분에 있을 수록 높은 신분에 있는 자에게 복종하고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하는 것은 유교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3) 심리적 계약의 준수와 관련한 유교 사상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호 기대감이 형성되고 서로에 대한 믿음이 굳어지는데 여기서 유교의 의(義) 사상이 영향을 준다. 의롭게 모든 상호간의 일을 정직하게 풀어나가며 이러한 계속된 믿음의 결과 심리적 계약의 준수가 이루어져 다음 대인관계의 형성을 가지고 온다.
(4) 신뢰감의 형성과 영향력 행사와 관련한 유교 사상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뢰감의 형성은 계속되는 대인관계에 있어 유교 사상 중 신(信) 사상이 영향을 준다. 계속되는 믿음으로 한번 이어진 대인관계에 대해 책임을 지는 유교 사상적 배경은 빈번한 대인관계의 바탕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대인관계의 발전을 위해 상대방의 의사에 변화를 추구 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유교는 인간의 삶의 도리를 추구하는 학문으로서 상대방에게 올바른 길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Ⅳ. 맺음말
앞에서 살펴본대로 우리 한국인의 문화적 규범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공동체 의식과 유교에서 가장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공동체 의식과 유교 사상은 인간의 행위양식의 준칙이 되어 대인관계에서 기능하는데 대부분 바람직한 대인관계에 요인하나 반면에 부정적인 방향으로 대인관계를 이끌기도 한다. 공동체 의식은 지금도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문화적 규범이고 유교 사상은 일부만이 남아 우리 사회를 이끌고 있으나 옳은 것은 지키고 옳지 않은 것은 버리는 탈고의 과정이 필요한 것 같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평범한 정의 안에는 그 만큼 대인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나 대인관계를 계속 이어가는 우리의 생활 모습에서도 어려움은 충분히 있다. 따라서 공동체 의식과 유교 사상 뿐만 아니라 모든 문화적 규범에서 대인관계의 발달적 요인을 추출하여 올바르게 발전시켜나가야겠다.
<<참고문헌>>
현대심리학, 서창원, 시그마프레스
인간관계론, 윤대혁, 삼영사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0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