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스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500);break;
case 2: printf("제육덮밥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500);break;
case 3: printf("김치찌개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000);break;
case 4: printf("된장찌개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000);break;
case 5: printf("냉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000);break;
case 6: printf("라볶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2500);break;
case 7: printf("라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2000);break;
case 8: printf("쫄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2000);break;
case 9: printf("율무차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100);break;
case 10: printf("커피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100);break;
//각 번호가 눌렸을때 행동.
}
}
if(coin<100)
printf("돈이 모자라는군요 프로그램 종료합니다.\n");
//돈이 모자라면 종료한다.
}
}
< 식권자판기 소스를 이용한 캡쳐 화면>
<3500원으로 돈까스를 주문한 결과값>
<4000원의 돈으로 돈까스를 주문한 결과값>
<만원의 돈으로 쫄면을 주문한 결과값>
<만원의 돈으로 커피를 주문한 결과값>
<1500원으로 라면을 주문했을 경우 결과값>
<100원으로 김치찌개를 주문했을 경우 결과값>
case 2: printf("제육덮밥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500);break;
case 3: printf("김치찌개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000);break;
case 4: printf("된장찌개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000);break;
case 5: printf("냉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3000);break;
case 6: printf("라볶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2500);break;
case 7: printf("라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2000);break;
case 8: printf("쫄면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2000);break;
case 9: printf("율무차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100);break;
case 10: printf("커피 나왔습니다. 거스름돈 %d\n",coin-100);break;
//각 번호가 눌렸을때 행동.
}
}
if(coin<100)
printf("돈이 모자라는군요 프로그램 종료합니다.\n");
//돈이 모자라면 종료한다.
}
}
< 식권자판기 소스를 이용한 캡쳐 화면>
<3500원으로 돈까스를 주문한 결과값>
<4000원의 돈으로 돈까스를 주문한 결과값>
<만원의 돈으로 쫄면을 주문한 결과값>
<만원의 돈으로 커피를 주문한 결과값>
<1500원으로 라면을 주문했을 경우 결과값>
<100원으로 김치찌개를 주문했을 경우 결과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