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사>역사인터뷰 - 영국의 절대왕정과 종교개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사>역사인터뷰 - 영국의 절대왕정과 종교개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화신인 것처럼 여기도록 하여 저의 절대 왕정을 확고히 하려는 목적에서 였습니다. 물론 좀 다르지만 절대왕권을 정당화하고 확고히 한다는 목적에서 왕권신수설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그리고 저의 극히 불우했던 가정생활 또한 아예 제가 독신으로 지낸 것에 대해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는 부인할 수는 없지만 그보다 저는 정치적인 동기 때문에 스스로 독신 생활을 선택한 것이었습니다.
물론 제가 어떤 남성을 남편으로 택하든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큰 문제를 낳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외국인과 결혼한다면 영국은 그 외국과의 동맹에 손발이 묶이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종교 분쟁이 야기될 게 틀림없습니다. 그래서 저의 언니인 메리 1세 여왕과 에스파냐의 펠리페 2세 왕의 결혼으로 저의 왕국은 신교에서 구교로 회귀되어 엄청난 종교적 위기를 초래하였죠. 또한 만약 제가 같은 영국인과 결혼한다면 시기와 파벌주의가 생길 것이구요. 또 저는 남편을 저의 위에 군림하게 함으로써 제 권력을 축소시키고 싶지 않기도 했구요. 즉, 이러한 여러 이유들과 함께 저는 절대 왕정을 이끌기 위한 한 수단으로서 스스로 처녀여왕을 자처한 것입니다. 그리고 왕위 계승의 문제는 제가 치세 말년에 스코틀랜드의 왕인 제임스 1세에게 위임시켜 그 문제를 해결하였지요.
기자 : 네, 그렇군요. 앞서 말하신 바와 같이 폐하께서는 이와 같이 많은 정책을 통한 업적으로 파산직전의 영국을 세계 최대 제국으로 탈바꿈시키고 절대 왕정의 전성기를 구가하셨네요. 그리고 다른 서유럽 국가들과는 다소 다르지만 이런 폐하의 절대 왕정은 비록 낡은 봉건세력이 존재하는 비근대적인 국가이기는 했지만 정치적으로는 중앙집권적 왕권 강화, 그리고 경제적으로는 화폐 사용을 통한 자본주의 발달에 큰 역할을 하여 이후 영국이 근대 국민 국가로 나아가는데 확고한 기반을 닦았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상당히 큰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사실 다소 민감한 질문을 했음에도 좋은 답변으로 임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엘리자베스 1세 : 네, 저도 정말 이런 경험을 하도록 해주신 기자님과 인터뷰를 들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앨런 액슬로드『위대한 CEO 엘리자베스 1세』위즈덤하우스 2000
민석홍『서양사개론』삼영사 1984
임희완 『서양사의 이해』전영사 1997
해롤드 슐츠 『英國史(Ⅰ)』신축문화사 1975
케네스 O. 모건 『옥스퍼드 영국사』도서출판 한울 1997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02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