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염의 개요 및 원인
2. 질염의 병태생리 및 형태
1) 질염의 병태생리
2) 질염의 형태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4) 위축성 질염
(5) 헤르페스성 질염
3. 질염의 임상증상 및 진단법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4) 위축성 질염
5) 헤르페스성 질염
4. 질염의 치료 방법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4) 위축성 질염
5) 헤르페스성 질염
5. 질염의 주요 사용 약물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6. 질염의 처방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2. 질염의 병태생리 및 형태
1) 질염의 병태생리
2) 질염의 형태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4) 위축성 질염
(5) 헤르페스성 질염
3. 질염의 임상증상 및 진단법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4) 위축성 질염
5) 헤르페스성 질염
4. 질염의 치료 방법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4) 위축성 질염
5) 헤르페스성 질염
5. 질염의 주요 사용 약물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6. 질염의 처방
1) 트리코모나스 질염
2) 칸디다성 질염
3) 세균성 질염
본문내용
치료로 충분하다. Diethylstilbesterol 질 좌약 역시 잠자기 전에 사용되며, 상피가 회복된 이후에는 1주에 3~4회 정도로 지속하여 사용한다.
경구 conjugated estrogen은 0.3~1.25mg씩 3주간 사용하고 1주 쉰 다음 반복 사용한다. 심한 위축성 질염이 있는 경우에는 증세를 완화시키고 질은 충분히 각질화시키기 위해서는 전신증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요구되어지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에스트로겐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과도한 에스트로겐 치료는 자궁출혈을 동반하므로 국소치료가 우선적이다.
5) 헤르페스성 질염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는 거의 효과가 없으며 증세가 없는 한 치료는 대개 불필요하다. 치료는 국소 항생제를 사용하고 환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한다. 인터페론 연고, bethadine 질정을 투여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자외선에 노출시킨 색소를 사용하였으나 효과적이지 못하다.
5. 질염의 주요 사용 약물
1) 트리코모나스 질염
일반명
상품명
제조회사
용법용량
작용기전
Metronidazole
Toriconyl 정
수도제약
1일 2g 1회 요법 또는 1회 250mg
1일 3회 7일간
항원충제
Flasinyl정
한일 약품
250mg 1일 1회 3일간
Trizel주
중외제약
500mg씩 8시간마다 5ml/min 속도로 정맥주입
7일 이내에만 이용
Flagy 주
한국
롱프랑로라
500mg씩 8시간마다 또는
1500mg을 1일 1회 정맥주사
Metronidazole
근화제약
500mg씩 8시간마다 5ml/min 속도로 정맥주입
경구 투여제가 가능하면 경구제를 투여함
Tinidazole
Fasigyn정
한국화이자
씩일회또는씩일회일간또는씩일회일간
항원충제
Tinidazine정
신일제약
Tinidazl정
한올제약
2) 칸디다성 질염
일반명
상품명
제조회사
용법용량
작용기전
Nystatin
Nycostatin 질정
동아제약
1일 1회1~2정씩 질 내 삽입
항진균제
Fluconazole
Diflucan 정
일양약품
150mg 1회 투여
항진균제
Ketoconazole
Spike 정
중외제약
아침저녁 200mg씩 5일간 투여
항진균제
Trichomycin
Chloramphenicol
Trichomycin 질정
동아제약
1일 1~2정 취침전 질 내 삽입
항진균제
항원충제
Econazole nitrate
Gyno-pevaryl vag.supp
한국맥네일
1일 1회 150mg 취침전 사용
항진균제
3) 세균성 질염
일반명
상품명
제조회사
용법용량
작용기전
Metronidazole
Toriconyl 정
수도제약
1회 7.5mg/Kg 6시간마다 7일 이상
항혐기성균제
Metronidazole
Spiramycin
Rodogyl 정
롱프랑
1일 2정 2~3회
항그람양성, 호기성균제
항그람양성, 그람음성 혐기성균제
6. 질염의 처방
1) 트리코모나스 질염
Tinidazole 500~1000mg을 2분하여 조식으로 1포씩 복용한다. 처방의 특징으로는 알레르기성 체질인 사람은 감염시 다른 사람에 비해 심한 소양증을 느끼므로 이와 같은 경과를 통하여 Tinidazole에 대한 발진이 침작되기도 한다. 주의사항으로는 백혈구 감소증환자, 호중구감소증 환자에게는 금기며, 10일 이상의 복용시에는 약물 투여 전후의 총 단백혈구수를 측정해야 한다. 알코올과 같이 복용하면, 복부경련, 홍조, 구토 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알코올 섭취를 금한다. 대량복용시는 현기, 운동실조, 신경성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정해진 용량 이상은 금한다.
Metronidazole(근화제약 메트로니다졸), Flagyl(한국롱프랑 후라질)을 1일 750mg을 3회로 분복하여 7일간 복용한다.
2) 칸디다성 질염
Naproxen 2Tb.i.d
Sporanox 50mg 8Cap b.i.d
Pheniramine 3T b.i.d
Digestive q.s
⇒ 1일 또는 sporanox 4cap일 경우 3일
Sporanox(itraconazole)는 진균치료제이며 Pheniramine은 항히스타민제로서 피부소양증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하며 Naproxen은 소염작용 및 칸디다로 인한 통증을 가라앉혀 준다. Digestive는 위약물 등을 사용함으로 인한 위장장애 및 소화력 저하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Itraconazole 200mg 1T
Diastase 1g
⇒ 1일 1회 식후 즉시 복용
3) 세균성 질염
Metronidazole을 500mg씩 경구로 하루 2회 7일간 투여하거나 2g을 경구로 1회 투여한다.0.75% metronidazole gel을 질 내에 one application full(5g)으로 1일 2회 7일간 사용한다. 전신치료에는 가벼운 복통, 불쾌한 맛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국소치료가 선호된다.
7. 참고문헌
1) 해리슨 내과학, Kurt J. Isslbacher, Eugene Braunwald, Jean D. Wilson, Joseph B. Martin, Anthony S. Fauci, Denis L. Kasper, McGraw-Hill, 1997년, 572~575 page
2) Text Book Of Medicine And Primary Care, John Noble, Little Brown And Company, 1987년, 732~1730 page
3) 약국임상약학, 곽재욱, 원태진, 신일상사, 1994년, 471~478 page
4) 임상약학, 한국임상약학학회, 서광의학서적, 1992년, 625~634 page
5) 임상약리학, 박선섭, 학문사, 1997년, 233~237 page
6) Korean Drug Infomation, 약업신문 출판국, 1991년, 895~897 page
7) http//:www.nau.edu/~fronske/vaginitis.html
8) http//:www.search.yahoo.com/bin/serach?p=vaginitis&n=20
9) http//:www.yahoo.com/health/disease_and_condition/yeast_infection
경구 conjugated estrogen은 0.3~1.25mg씩 3주간 사용하고 1주 쉰 다음 반복 사용한다. 심한 위축성 질염이 있는 경우에는 증세를 완화시키고 질은 충분히 각질화시키기 위해서는 전신증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요구되어지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에스트로겐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과도한 에스트로겐 치료는 자궁출혈을 동반하므로 국소치료가 우선적이다.
5) 헤르페스성 질염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는 거의 효과가 없으며 증세가 없는 한 치료는 대개 불필요하다. 치료는 국소 항생제를 사용하고 환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한다. 인터페론 연고, bethadine 질정을 투여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자외선에 노출시킨 색소를 사용하였으나 효과적이지 못하다.
5. 질염의 주요 사용 약물
1) 트리코모나스 질염
일반명
상품명
제조회사
용법용량
작용기전
Metronidazole
Toriconyl 정
수도제약
1일 2g 1회 요법 또는 1회 250mg
1일 3회 7일간
항원충제
Flasinyl정
한일 약품
250mg 1일 1회 3일간
Trizel주
중외제약
500mg씩 8시간마다 5ml/min 속도로 정맥주입
7일 이내에만 이용
Flagy 주
한국
롱프랑로라
500mg씩 8시간마다 또는
1500mg을 1일 1회 정맥주사
Metronidazole
근화제약
500mg씩 8시간마다 5ml/min 속도로 정맥주입
경구 투여제가 가능하면 경구제를 투여함
Tinidazole
Fasigyn정
한국화이자
씩일회또는씩일회일간또는씩일회일간
항원충제
Tinidazine정
신일제약
Tinidazl정
한올제약
2) 칸디다성 질염
일반명
상품명
제조회사
용법용량
작용기전
Nystatin
Nycostatin 질정
동아제약
1일 1회1~2정씩 질 내 삽입
항진균제
Fluconazole
Diflucan 정
일양약품
150mg 1회 투여
항진균제
Ketoconazole
Spike 정
중외제약
아침저녁 200mg씩 5일간 투여
항진균제
Trichomycin
Chloramphenicol
Trichomycin 질정
동아제약
1일 1~2정 취침전 질 내 삽입
항진균제
항원충제
Econazole nitrate
Gyno-pevaryl vag.supp
한국맥네일
1일 1회 150mg 취침전 사용
항진균제
3) 세균성 질염
일반명
상품명
제조회사
용법용량
작용기전
Metronidazole
Toriconyl 정
수도제약
1회 7.5mg/Kg 6시간마다 7일 이상
항혐기성균제
Metronidazole
Spiramycin
Rodogyl 정
롱프랑
1일 2정 2~3회
항그람양성, 호기성균제
항그람양성, 그람음성 혐기성균제
6. 질염의 처방
1) 트리코모나스 질염
Tinidazole 500~1000mg을 2분하여 조식으로 1포씩 복용한다. 처방의 특징으로는 알레르기성 체질인 사람은 감염시 다른 사람에 비해 심한 소양증을 느끼므로 이와 같은 경과를 통하여 Tinidazole에 대한 발진이 침작되기도 한다. 주의사항으로는 백혈구 감소증환자, 호중구감소증 환자에게는 금기며, 10일 이상의 복용시에는 약물 투여 전후의 총 단백혈구수를 측정해야 한다. 알코올과 같이 복용하면, 복부경련, 홍조, 구토 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알코올 섭취를 금한다. 대량복용시는 현기, 운동실조, 신경성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정해진 용량 이상은 금한다.
Metronidazole(근화제약 메트로니다졸), Flagyl(한국롱프랑 후라질)을 1일 750mg을 3회로 분복하여 7일간 복용한다.
2) 칸디다성 질염
Naproxen 2Tb.i.d
Sporanox 50mg 8Cap b.i.d
Pheniramine 3T b.i.d
Digestive q.s
⇒ 1일 또는 sporanox 4cap일 경우 3일
Sporanox(itraconazole)는 진균치료제이며 Pheniramine은 항히스타민제로서 피부소양증을 없애기 위해서 사용하며 Naproxen은 소염작용 및 칸디다로 인한 통증을 가라앉혀 준다. Digestive는 위약물 등을 사용함으로 인한 위장장애 및 소화력 저하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Itraconazole 200mg 1T
Diastase 1g
⇒ 1일 1회 식후 즉시 복용
3) 세균성 질염
Metronidazole을 500mg씩 경구로 하루 2회 7일간 투여하거나 2g을 경구로 1회 투여한다.0.75% metronidazole gel을 질 내에 one application full(5g)으로 1일 2회 7일간 사용한다. 전신치료에는 가벼운 복통, 불쾌한 맛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국소치료가 선호된다.
7. 참고문헌
1) 해리슨 내과학, Kurt J. Isslbacher, Eugene Braunwald, Jean D. Wilson, Joseph B. Martin, Anthony S. Fauci, Denis L. Kasper, McGraw-Hill, 1997년, 572~575 page
2) Text Book Of Medicine And Primary Care, John Noble, Little Brown And Company, 1987년, 732~1730 page
3) 약국임상약학, 곽재욱, 원태진, 신일상사, 1994년, 471~478 page
4) 임상약학, 한국임상약학학회, 서광의학서적, 1992년, 625~634 page
5) 임상약리학, 박선섭, 학문사, 1997년, 233~237 page
6) Korean Drug Infomation, 약업신문 출판국, 1991년, 895~897 page
7) http//:www.nau.edu/~fronske/vaginitis.html
8) http//:www.search.yahoo.com/bin/serach?p=vaginitis&n=20
9) http//:www.yahoo.com/health/disease_and_condition/yeast_infec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