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일반 이론과 한국 외교의 과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외교와 국가이익
1)외교의 정의
2)국가이익
-국가이익 정의
-국가이익의 우선순위
3)국가이익과의 상관관계

2.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외교(국제) 환경 평가

3. 한국의 외교 과제 ; 북한 핵문제를 중심으로
1)북핵 문제의 발단과 협상 경과 사항
-북핵 문제의 발단
-북핵 문제의 협상 경과 사항
2)북핵문제의 파장과 한국안보에 미치는 위험성

4. 결론

본문내용

그것은 불가능하다. 북한이 핵무기를 남한에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우리에게 해가 된다. 북한만 핵을 가진다면 북한은 마음대로 소규모 도발을 저지를 수 있지만 우리는 북한의 눈치를 보게 된다. 북한은 우리의 동족이자 주적이므로 대북정책은 화해와 협력과 안보라는 수레바퀴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적으로 봐야하는 상황에서는 총부리를 겨누는 것이 맞다. 북한 핵실험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북한 핵실험을 통해 우리는 북한 체제의 존립위험 앞에서는 미국의 대북정책도 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6자 회담으로는 북핵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북한은 직금 핵이 아니면 체제를 지킬 수 없다는 강박관념으로 핵무기를 개발했고, 북핵문제는 남한의 햇볕정책이나 강경책과 상관이 없다.
그렇다면 북핵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북한 핵문제를 대처하는 데는 양약처방과 한약처방이 있다. 천천히 효과가 나타나는 한약처방은 우리가 핵무장을 하지 않더라도 특정한 종류의 무기 등으로 자주적인 북핵 억제능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당장 효과가 나타나는 양약처방은 외교력을 발휘해서 북핵 위험을 피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금 정부가 핵우산을 강화하고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외교를 강화하는 일들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국가이익 / 구영록 저 / 법문사
북한 핵과 경수로 지원 / 이은철 저 / 서울대학교
한국의 외교정책 / 김달중 저 / 오름
세계외교정책론 / 구본학, 김계동 외 / 을유문화사
한국 정치경제의 위기와 대응 / 한국정치학회 저 / 오름
조선닷컴 / http://www.chosun.com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4.04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