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역복지서비스 분야별 자격시험을 실시하였다. 1999년까지 325명의 임상사회복지사와 184명의 전문사회복지사가 배출되었다.
정신보건분야는 1996년 정신보건법개정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심리사와 함께 정신보건전문요원에 포함되어 1997년부터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위탁을 받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배출하고 있다. 2000년 6월 총 349명 (1급 73명, 2급 276명)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배출되었다.
한국의료사회복지사협회,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에서도 별도의 자격제도를 논의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사회복지사의 경우 의료사회사업료에 대한 의료보험수가지급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와 구별되는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별도의 자격이 요구되고, 학교사회사업의 경우에도 상담교사나 청소년상담가 등과 비교하여 전문적인 수월성을 보장하는 자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노인복지분야에서도 별도의 자격제도를 두어 사회복지사 1급을 소지하고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로 100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면 케어관리자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현행 6개 분야로 나누어 발급되는 전문사회복지사제도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처럼 분야별 독자적인 자격제도를 갖도록 할 것인지, 미국의 경우처럼 분야별 자격제도를 실시하기 보다 하나의 전문자격증을 두고 분야별 인증제를 실시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와 자격제도정비가 시급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태성 외(1998), 《사회복지전문직과 교육제도》, 도서출판 소화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0),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안내 편람 :
‘98년 개정 사회복지사업법령에 따라"
양옥경 (1996). 사회복지 전문 자격제도. 「사회복지」, 통권130호, 51-70.
양옥경정무성(2001),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제도의 시행방안》“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제도의 시행방안 공청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양옥현김현미이혜경,(1999), 《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복지사회2000, p.64~68
전국대학사회복지교육협의회(2000), 전국 대학 사회복지교육협의회 세미나자료집
"사회복지교육 자격증 제도 발전 방향"
정무성고은숙(2001), 《사회복지사제도의 발전적 운영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1999), “전문사회복지사 자격제도 공청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1),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환경변화와 대학교육의 방향성”
정신보건분야는 1996년 정신보건법개정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심리사와 함께 정신보건전문요원에 포함되어 1997년부터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가 보건복지부의 위탁을 받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배출하고 있다. 2000년 6월 총 349명 (1급 73명, 2급 276명)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배출되었다.
한국의료사회복지사협회, 한국학교사회사업실천가협회에서도 별도의 자격제도를 논의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사회복지사의 경우 의료사회사업료에 대한 의료보험수가지급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사와 구별되는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별도의 자격이 요구되고, 학교사회사업의 경우에도 상담교사나 청소년상담가 등과 비교하여 전문적인 수월성을 보장하는 자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노인복지분야에서도 별도의 자격제도를 두어 사회복지사 1급을 소지하고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로 100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면 케어관리자 자격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현행 6개 분야로 나누어 발급되는 전문사회복지사제도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처럼 분야별 독자적인 자격제도를 갖도록 할 것인지, 미국의 경우처럼 분야별 자격제도를 실시하기 보다 하나의 전문자격증을 두고 분야별 인증제를 실시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와 자격제도정비가 시급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태성 외(1998), 《사회복지전문직과 교육제도》, 도서출판 소화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0),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안내 편람 :
‘98년 개정 사회복지사업법령에 따라"
양옥경 (1996). 사회복지 전문 자격제도. 「사회복지」, 통권130호, 51-70.
양옥경정무성(2001),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제도의 시행방안》“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제도의 시행방안 공청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양옥현김현미이혜경,(1999), 《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복지사회2000, p.64~68
전국대학사회복지교육협의회(2000), 전국 대학 사회복지교육협의회 세미나자료집
"사회복지교육 자격증 제도 발전 방향"
정무성고은숙(2001), 《사회복지사제도의 발전적 운영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1999), “전문사회복지사 자격제도 공청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1),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환경변화와 대학교육의 방향성”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복지 민영화, 정부 민간 사회복지체계 구성, 정부민간 사회복지역할 분담, 민간 사회복지...
우리나라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기술하라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 의사결정, 행정체계, 문제점, 개선방안등[A+추천 레포트★★★★★]
[사회복지, 복지시설]사회복귀시설의 필요성, 주요 서비스,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등[2012년...
주변 혹은 방송매체를 통해 알려진 가정과 아동복지 시설에서의 영유아 권리침해 실태 사례를...
[사회복지정책론] 국민건강보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회복지] 아동복지시설의 개선 방안, 노인복지 시설 운영에 따른 문제점 개선방안, 장애인 ...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공공부문(공적 전달체계)과 민간부문(사적 전달체계)에 대한 본...
[사회복지법제] 사회보장기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보장기본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