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와 한국 유니세프의 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재해와 한국 유니세프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쓰나미의 의미, 발생원인과 내용

Ⅲ. 국제연합아동기금 (UNICEF)의정신과이념, 설립과 발전

Ⅳ. UNICEF 한국위원회의 사업 4단계와 조직과 지원금, 연혁

Ⅴ. UNICEF 한국위원회 활동

Ⅵ. 쓰나미 참사에 대한 UICEF 한국위원회의 역할과 기능

Ⅶ. UNICEF 한국위원회의 효율성과 한계

Ⅶ.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992년 아기에게 친근한 병원만들기 위원회를 결성하면서 이 사업을 시작했다
5. 세계교육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세계시민의식을 심어주기 위해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에
서 특별활동 지구촌클럽을 운영하도록 프로그램 및 교재를 지원하며, 세계교육시범학교를
선정하여 각종 교육기자재를 제공해 준다.
6. 유니세프 카드와 선물용품 판매
전세계적으로 '생명을 구하는 카드'로 잘 알려져 있는 유니세프카드와 여러 가지 선물용품
을 판매하여 어린이돕기 기금을 마련한다.
7. 사랑의 동전 모으기
1994 년 2월 아시아나항공이 기내에서 여행 후 남은 동전이나 지폐를 모아 유니세프에 전달
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래 호텔과 레스토랑, 금융기관, 편의점 등으로 확대되었다.
8. 특별행사
매년 봄이 되면 남산순환로에서 불우한 어린이를 돕기 위한 사랑의 맨발걷기를 개최한다.
연말에는 자선디너쇼를 통해 어린이돕기 기금을 모으며, 이같은 연례행사 외에 바자회, 콘서
트 등 시의에 맞는 특별행사를 개최하여 어린이문제를 홍보하고 기금을 조성하고 있다.
9. 자원봉사활동
대학생 자원봉사클럽인 유스클럽과 유니세프어머니회 등의 자원봉사조직이 운영되고 있으
며, 주부, 직장인, 전직교장선생님과 교사, 학생 등 다양한 자원봉사자들이 정기적으로 한국
위원회 사무실에 나와 우편발송, 카드포장, 자료입력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별행사 시
행사요원으로도 봉사를 하고 있다. 방학 때는 중, 고등학생을 위한 자원봉사프로그램을 운영
한다.
Ⅵ. 쓰나미 참사에 대한 UICEF 한국위원회의 역할과 기능
유니세프국가위원회는 선진국에 설치된 기구로 유니세프가 전세계 개발도상국에서 어린이를
위한 사업을 펼칠 수 있도록 유니세프와 세계어린이 상황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 어린이돕
기 기금을 모아 유니세프본부로 지원한다.
선진국형 유니세프기구인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이번 쓰나미 대 참사와 관련하여 현장에
가서 직접적인 구호의 활동을 펼치지는 않았다. 2005년 1월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친선대
사 2명과 박동은 사무처장 만이 그곳을 다녀왔다.
그러나 선진국형 국가 위원회가 그러하듯이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또한 참사를 위한 기금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성하였다. 2005년 1월, 남아시아 지진 해일 구호 캠페인을 시작하여 3
월까지 총 20억원을 모금하였다.
기금조성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이용한 일반인들의 기금을 기부받거나, 개인 회원이나 후원
인들에게 편지나 지로로 기부금을 조성하였다. 또는 일반 법인이나 기업체, 비회원들에게 기
부를 받았다.
Ⅶ. UNICEF 한국위원회의 효율성과 한계
유니세프는 1948년부터 우리나라 어린이를 지원해 왓으며 1950년 3월 25일 대한민국 정부
와 기본협정을 체결함으로써 한국에서의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유니세프는 고통받는 우리 어린이들을 위해 대대적인 긴급구호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50년부터 1993년까지 유니세프가 한국에 지원한 총금액은 약 2,300만 불에
달하였다.
1994년 1월1일 유니세프한국위원회가 출범하였다. 이는 유니세프내에서 도움을 받던 나라가
주는 나라로 발전한 첫번째 사례였다. 이로써 한국은 유니세프의 도움을 받던 수혜국의 입
장에서 도움을 주는 공여국의 입장으로 탈바꿈했으며 주된 임무도 한국의 빈민 아동 구호에
서 개발도상국의 어린이 지원으로 바뀌었다. 한국은 국가 위원회가 됨으로써 전세계 어린이
를 돕기위한 기금을 마련해왔다. 유니세프 본부에서는 자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각
국가위원회의 기금마련으로 인해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는 부담이 덜하다고 할수있다. 또한
유니세프라는 국제기구를 통해 아동의 권리보호와 긴급한 구호활동이 이루어 지고 있어 전
세계 어린이의 생명을 구하고 미래를 발전시키는데 효율적이라고 할수 있겠다.
그렇지만유니세프 한국위원회가 다른 국제, 국내 기구들과 다르게 기금마련이라는 역할을
놓고서 한국내 인식의 부족으로인해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제구호활동기관인
플랜코리아가 1대1의 기금마련을 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일괄적 후원
금을 조성하고 있으며, 또한 유니세프 한국위원회가 월드비전, 적십자와같이 국내외 구호
활동이 아닌 국제적 활동만을 하고 있어 기금을 조성해 주는 후원자들은 “왜 자국의 어린이
를 돕지않는냐”라며 의의를 제기하곤 한다.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는 과거의 한국 빈민 아동 구호에서 개발도상국의 어린이 지원으로 바
뀐 임무에 대해 일반인들이 다른 기구들과 다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바르게 인식하길 바라
고 있다.
Ⅶ. 결론
유니세프는 창설이래 국적과 인종, 성별, 종교 등에 상관없이 ‘차별없는 구호’의 정신으로
어린이를 도와주고 있다. 지난 12월의 동남 아시아 쓰나미 대 참사에서도 유니세프는 그
러한 정신을 가지고 긴급 구호 활동을 펼치면서 그 고통을 줄이려 많은 활동을 펼쳤다.
유니세프한국위원회는 한국에서 유니세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한국위원회의 주된 임무
는 세계 어린이를 위해 국내에서 세계 어린이 현황과 유니세프 활동을 널리 알려 어린이
돕기 기금을 조성하는 것이다. 또한, 아동의 권리 홍보 및 모유수유 권장, 세계교육 등의
사업을 통해 어린이 권리를 신장하는 활동도 함께 펼쳐 나가고 있다. 유니세프한국위원회
가 국내에서 펼치는 모든 활동은 유니세프가 전세계적으로 펼치고 있는 어린이 구호활동
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활동과 임무에 대한 일반인들의 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쓰나미 대 참사를 위해서도 한국은 2005년 1월에서 3월까지 총 20억원의 기금을 마련하여
전달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렇듯 유니세프는 전 세계의 어린이의 권리보호를 위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국
제사회의 안전과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자료*
-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홍보실 김재명 대리님 인터뷰 ( 2005. 6. 3 )
- www. uinicef.or.kr
- www. naver.com
- 위키 백과사전
- 세계일보 2004년 12월 28일자 신문
- TIME 지
- 국제기구학 이론과 실제, 박흥순, 2001년, 동림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4.0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