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호르몬 이란?
2. 생식호르몬
3. 성호르몬
4. 남성호르몬
5. 여성호르몬
<참고문헌>
2. 생식호르몬
3. 성호르몬
4. 남성호르몬
5. 여성호르몬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관계의 성장, 자궁의 성장, 둔부와 대퇴부위에 피하지방의 축적을 들 수 있다. 에스트로겐은 장골의 성장판의 폐쇄를 유발하게 되므로 키의 성장이 멈추게 된다. 에스트로겐은 또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혈중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폐경 이전의 여성에게서는 에스트로겐이 분비됨으로써 죽상경화증이나 관상동맥질환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에스트로겐은 단순한 여성호르몬만이 아님이 밝혀지고 있다. 에스트로겐은 뇌, 심장. 및 혈관을 포함한 여러 장기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뇌에서 정소나 부신피질에서 분비된 테스토스테론은 다시 에스트로겐으로 전화될 수 있는데 이는 특히 노인층에서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확실하지는 않으나 에스트로겐은 남성과 여성의 생식 이외의 다른 기능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난포 호르몬은 발정을 유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발정 호르몬이라고도 부른다. 포유동물의 난소에서는 적어도 8종류 이상의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지만 생리적 활성이 가장 큰 것은 estradiol-17β이다. estrogen의 합성에는 2종류의 분비세포와 2종류의 성선자극 호르몬이 관여한다는 2세포-2성선자극 호르몬 설(two-cell two-gonadotropin hypothesis)로 설명할 수 있는데, 먼저 내협막 세포에서 LH의 작용으로 testosterone이 합성되고, 이 testosterone은 과립막 세포에서 FSH의 작용으로 방향족화 되어 estrogen으로 합성된다.
에스트로겐은 사춘기 제 2차 성징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호르몬으로 신체 전신에 작용을 한다. 피하에 지방을 축적시켜 여성의 아름다운 신체 곡선과 몸매를 만들어주고 유방 발육, 성기 발육을 시킨다. 자궁과 나팔관, 난소에 작용해 임신이 되도록 하며, 요도와 방광을 탄력 있게 해주고 뼈의 성장과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 여성이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에 걸리기 쉬운 것은 에스트로겐이 없어지면서 매년 4-6%의 칼슘과 단백질이 빠져나가 뼈에 구멍이 생기고 약해지기 때문이다. 대개 30세가 넘으면 아무리 칼슘을 많이 섭취해도 뼈를 더 이상 강하게 할 수 없고 그저 현상유지를 할 뿐이다.
이외에 전신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혈관의 건강을 유지시킨다. 에스트로겐은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한다.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은 낮추고 몸에 이로운 콜레스테롤은 높여주기 때문이다.
이 호르몬은 사춘기 이후 주로 작용하여 자궁, 질, 음순을 발육하며 엉덩이, 골반, 유방을 발육시킨다. 또한 피부 밑의 곳곳에 지방 조직을 발달시켜 여성다운 체격과 체모를 갖추게 하고 자궁경관의 점액분비 및 자궁내막의 증식, 혈액공급에도 관여하고, 혈중 HDL 수치를 증가시킨다.
□ 프로게스테론
성숙된 여포가 난자를 유리하고 나면 여포는 황체로 변화되어 에스트로겐과 함께 프로게스테론을 합성, 분비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뇌하수체 전엽호르몬인 황체화호르몬에 의해 자극된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막의 혈관증식을 더욱 자극하고 글리코겐의 저장을 촉진시켜 후에 태반이 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프로게스테론은 또한 유선의 분비세포들을 발달시킨다.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모두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분비된다. 황체 호르몬은 매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난소의 황체세포에서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이다. 그러나, 이 호르몬은 태반에서도 분비되며, 부신이나 정소에서도 소량이지만 분비된다.
여성은 보통 만 9-12세 사이에 사춘기가 시작되며 그 후 2-3년 뒤에는 생식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 과정은 뇌하수체의 생식선 자극호르몬인 FSH(여포자극호르몬)의 증가에 의하여 시작되는데, FSH가 난소에 작용하여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이 생성되고,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의 발달을 촉진한다.
난은 일정 성숙단계가 되면 난소로부터 난세포가 배출되는데 난자가 난소를 이탈하는 이 과정을 배란이라 하고 이는 빛, 온도, 외부요인과 호르몬 등 체내요인이 서로 작용하여 조절된다. 또한, 사춘기에 이르면 난소의 호르몬 분비량이 28일을 주기로 변화하며 자궁내막구조가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매주기마다 혈액과 자궁내막구조가 외부로 분비되는 현상을 ‘월경'이라 한다.
<참고문헌>
1. 에커트 동물 생리학 제5판 (윤용달외 1인, 월드사이언스)
2. 동물 생리학 개정판 (강만식외 4인, 교학연구사)
3. 인간과 성 (이광호, 월드사이언스)
에스트로겐은 사춘기 제 2차 성징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호르몬으로 신체 전신에 작용을 한다. 피하에 지방을 축적시켜 여성의 아름다운 신체 곡선과 몸매를 만들어주고 유방 발육, 성기 발육을 시킨다. 자궁과 나팔관, 난소에 작용해 임신이 되도록 하며, 요도와 방광을 탄력 있게 해주고 뼈의 성장과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 여성이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에 걸리기 쉬운 것은 에스트로겐이 없어지면서 매년 4-6%의 칼슘과 단백질이 빠져나가 뼈에 구멍이 생기고 약해지기 때문이다. 대개 30세가 넘으면 아무리 칼슘을 많이 섭취해도 뼈를 더 이상 강하게 할 수 없고 그저 현상유지를 할 뿐이다.
이외에 전신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혈관의 건강을 유지시킨다. 에스트로겐은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보호 작용을 한다.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은 낮추고 몸에 이로운 콜레스테롤은 높여주기 때문이다.
이 호르몬은 사춘기 이후 주로 작용하여 자궁, 질, 음순을 발육하며 엉덩이, 골반, 유방을 발육시킨다. 또한 피부 밑의 곳곳에 지방 조직을 발달시켜 여성다운 체격과 체모를 갖추게 하고 자궁경관의 점액분비 및 자궁내막의 증식, 혈액공급에도 관여하고, 혈중 HDL 수치를 증가시킨다.
□ 프로게스테론
성숙된 여포가 난자를 유리하고 나면 여포는 황체로 변화되어 에스트로겐과 함께 프로게스테론을 합성, 분비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뇌하수체 전엽호르몬인 황체화호르몬에 의해 자극된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막의 혈관증식을 더욱 자극하고 글리코겐의 저장을 촉진시켜 후에 태반이 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프로게스테론은 또한 유선의 분비세포들을 발달시킨다.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모두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분비된다. 황체 호르몬은 매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난소의 황체세포에서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이다. 그러나, 이 호르몬은 태반에서도 분비되며, 부신이나 정소에서도 소량이지만 분비된다.
여성은 보통 만 9-12세 사이에 사춘기가 시작되며 그 후 2-3년 뒤에는 생식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 과정은 뇌하수체의 생식선 자극호르몬인 FSH(여포자극호르몬)의 증가에 의하여 시작되는데, FSH가 난소에 작용하여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이 생성되고,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의 발달을 촉진한다.
난은 일정 성숙단계가 되면 난소로부터 난세포가 배출되는데 난자가 난소를 이탈하는 이 과정을 배란이라 하고 이는 빛, 온도, 외부요인과 호르몬 등 체내요인이 서로 작용하여 조절된다. 또한, 사춘기에 이르면 난소의 호르몬 분비량이 28일을 주기로 변화하며 자궁내막구조가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매주기마다 혈액과 자궁내막구조가 외부로 분비되는 현상을 ‘월경'이라 한다.
<참고문헌>
1. 에커트 동물 생리학 제5판 (윤용달외 1인, 월드사이언스)
2. 동물 생리학 개정판 (강만식외 4인, 교학연구사)
3. 인간과 성 (이광호, 월드사이언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 성의 사회학
한국인 성의 이중성
한양대학교 성의이해 최신판 족보
09년도 [레포트]_성의 생물학_피임
[여성학]대중매체에 그려지는 성의 이미지 분석 및 성상품화 현상 사례
성과생명의신비 성의 역사에 대해 서술하시오
남녀, 성의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차이를 논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
한국인 성의 이중성
가족내 성의 불평등
★ 성의과학 - 성의 정의 ( 성이란 무엇인가 )
동발 레포트 동물발생학- 성의분화
[성발달] 성의 발달(성생활,성관계,성문제,피임법)
성과 성역할의 이해(성의 개념, 생물학적 성, 사회심리학적 성, 성차에 대한 인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