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배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2마리의 학이 그려진 쌍학흉배는 3품 이상의 계급을 가진 신하인 당상관(堂上官)이 사용했던 흉배로, 기품있고 늠름한 2마리의 학과 산, 물결, 파도, 불로초 등의 무늬가 아름답게 수놓아져 있다.
호문 - 호랑이 문양 역시 학문과 같이 호랑이 두 마리가 수놓여진 쌍호와 한 마리로 이루어진 단호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쌍호흉배는 무관 1품에서 3품까지인 당상관이 사용하였고, 단호흉배는 무관 4품에서 9품까지의 당하관이 사용했다. 호랑이 문양이 무관의 흉배에 사용된 것은 호랑이가 산중의 왕으로 서수(瑞獸)라 일컬어 무사의 용맹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단호 - 단호흉배는 쌍호흉배와 같이 신하들의 예복에 달았던 흉배이다. 중앙에 흰 호랑이가 당당하게 앉아 있으며, 위와 좌우에는 구름이, 아래에는 산, 구름, 물결 등이 수놓아져 있다.
단호흉배 역시 북청색 바탕에 주위에는 오색구름과 바위, 물결, 물방울, 산호, 불로초 등을 배치하여 상서로움을 상징하게 한다. 또 상례시에 사용된 소단호흉배는 구성은 원색의 흉배와 같으나 소색(흰색)으로 상례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쌍호 - 쌍호흉배는 당상관의 예복에 달았던 흉배로, 중앙에 2마리의 호랑이와 주변에 구름, 물결 등의 모양이 수놓아져 있다. 옛날부터 호랑이가 악귀를 몰아내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으며, 용, 봉황, 거북, 기린과 함께 오령(五靈)이라고 했다.
쌍호흉배는 태극을 사이에 두고 앞의 호랑이가 얼굴을 돌리면서 뒤의 호랑이와 마주보는 형상이 보통이다. 태극은 음양이 진행하는 방향과 만물이 생성하는 이치를 상징하는 것이다. 사진의 쌍호흉배에서 보면 호랑이의 몸체의 표현이 각양각색인 것이 독특하다.
-후기-
처음 흉배에 대해서 레포트를 쓰라고 과제가 나왔을 때 많이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난다. 대충 가슴문양 정도로만 생각하고선 도대체 레포트를 어떻게 써 내려가면 좋을지 정말 많이 고민을 하고 걱정을 했다. 그러다가 여러 자료를 접하고 흉배에 대해서 알게 되면서부터 어느 정도의 윤곽은 잡았지만 내용이 많이 다양하게는 나와있지 않았다.
자료를 조사하면서 흉배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나와 있는 것도 없고 중간 중간에 살짝 끼어있는 정도로만 나와 있어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앞으로 이 과제는 종료를 했지만 흉배에대한 자료 수집은 계속 끝나지 않을 것 같다.
참고 문헌 - 복식 =조효순 대원사 (1995.)
궁중유물(하나) =이명희 대명사
전통자수 =한영화 대명사 (1989.)

키워드

흉배,   문양,   곤룡포,   무늬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0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