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인디스토리의 활동영역
2. 인디스토리의 조직도 및 각 부서의 역할과 부서 내외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3. 인디스토리의 국내 배급 현황
4. 국내외 독립 영화의 소개
5. 독립영화 제작 지원사업
III. 결론 및 방문 후 감상
1. 한국영화의 잠재력과 독립영화의 현황
2. 독립영화의 원활한 배급을 위해서 대안배급이 필요하다.
3. 인디스토리에 다녀와서...
II. 본론
1. 인디스토리의 활동영역
2. 인디스토리의 조직도 및 각 부서의 역할과 부서 내외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3. 인디스토리의 국내 배급 현황
4. 국내외 독립 영화의 소개
5. 독립영화 제작 지원사업
III. 결론 및 방문 후 감상
1. 한국영화의 잠재력과 독립영화의 현황
2. 독립영화의 원활한 배급을 위해서 대안배급이 필요하다.
3. 인디스토리에 다녀와서...
본문내용
. 예를 들어 광화문에 있는 영상미디어 센터의 상영 공간을 활성화하는 것도 스크린이 열리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기준의 극장뿐만 아니라 준비되고 있는 각 지역의 미디어센터를 비롯하여 소극장들이나 상영공간이 될만한 작은 스크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회에 열 명, 스무 명만 들른다 하더라도 전국적으로 그런 곳을 계산해 본다면 일주일에 한 번씩만 틀어도 1년 동안 상당한 양의 독립영화가 관객들을 만날 수가 있다. 실제로 전국의 대학가나 지역 문화 기반 시설들은 서울의 웬만한 예술영화극장에 뒤지지 않는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잠재적인 상영공간은 수천 개에 이른다. 이런 공간들에 대한 이용을 대안배급으로써 활용하는 노력이 시급하다.
3. 인디스토리에 다녀와서...
사전에 기본적인 자료 수집과정에서 본 인디스토리의 독립영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가히 막대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인디스토리를 찾아간 후에 받은 첫인상은 내 예상을 빗나갔다. 작은 건물의 한층을 나누어서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인디스토리 사내의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은 건 사실이다. 물론 그 규모가 그 회사의 모든 것을 말해 준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내 최소한의 예상에도 못 미치는 모습에 나는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인디스토리에서 이루어 놓은 것을 각각의 조사 자료에서 확인한 후에는 그 안에 사람들이 과연 어떠한 자세로 그들의 일에 임하고 있는지가 궁금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인디스토리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은 그들의 일을 하나의 사명감 혹은 의무로서 받아들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실제로 이 일의 시작은 꼭 필요하지만 아무도 하고 있지 않는 일에 대한 사명감 혹은 선두주자로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작고 후미진 곳에서 이루어낸 성과는 너무나도 컸다. 단지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 한다는 느낌보다는 자신의 일을 회사의 일이 아닌 자신들에 대한 미래의 준비로서 대하는 듯한 태도였다. 실제로 인터뷰 중 들은 바에 따르면 그들은 영화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고 영화라는 매체의 아주 깊숙이 매료되어 있는 사람들이었다. 한국 영화계의 풍족한 잔치 속 맨 뒷자리에는 보이지 않는 이들의 노력이 숨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떠한 산업이든 문화든 그 안에 건전한 사상이 건재할 때만이 그 존속을 보장받을 수 있다. 영화라는 문화이자 산업에서 그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일종의 수도사 같은 존재라고 해야 할까?
나도 막연한 영화에 대한 환상에 빠져 있는 사람 중에 하나로 인디스토리의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현장을 보고 난 후에 그 동안 내가 가진 환상에 대한 회의가 생긴 것도 사실이다. 영화가 좋아서 그저 좋아하는 것만으로는 그들의 일에 동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영화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과 자신의 의지 확립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결론이다. 영화에 대한 나의 또 다른 고민의 단면을 던져준 사건이었다. 결코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어딘지 모르게 느껴지는 그들의 여유는 그러한 자신들의 일에 대한 열정과 그에 대한 보람과 긍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3. 인디스토리에 다녀와서...
사전에 기본적인 자료 수집과정에서 본 인디스토리의 독립영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가히 막대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인디스토리를 찾아간 후에 받은 첫인상은 내 예상을 빗나갔다. 작은 건물의 한층을 나누어서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는 인디스토리 사내의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은 건 사실이다. 물론 그 규모가 그 회사의 모든 것을 말해 준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내 최소한의 예상에도 못 미치는 모습에 나는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인디스토리에서 이루어 놓은 것을 각각의 조사 자료에서 확인한 후에는 그 안에 사람들이 과연 어떠한 자세로 그들의 일에 임하고 있는지가 궁금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인디스토리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은 그들의 일을 하나의 사명감 혹은 의무로서 받아들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실제로 이 일의 시작은 꼭 필요하지만 아무도 하고 있지 않는 일에 대한 사명감 혹은 선두주자로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작고 후미진 곳에서 이루어낸 성과는 너무나도 컸다. 단지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 한다는 느낌보다는 자신의 일을 회사의 일이 아닌 자신들에 대한 미래의 준비로서 대하는 듯한 태도였다. 실제로 인터뷰 중 들은 바에 따르면 그들은 영화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고 영화라는 매체의 아주 깊숙이 매료되어 있는 사람들이었다. 한국 영화계의 풍족한 잔치 속 맨 뒷자리에는 보이지 않는 이들의 노력이 숨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떠한 산업이든 문화든 그 안에 건전한 사상이 건재할 때만이 그 존속을 보장받을 수 있다. 영화라는 문화이자 산업에서 그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일종의 수도사 같은 존재라고 해야 할까?
나도 막연한 영화에 대한 환상에 빠져 있는 사람 중에 하나로 인디스토리의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현장을 보고 난 후에 그 동안 내가 가진 환상에 대한 회의가 생긴 것도 사실이다. 영화가 좋아서 그저 좋아하는 것만으로는 그들의 일에 동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영화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과 자신의 의지 확립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결론이다. 영화에 대한 나의 또 다른 고민의 단면을 던져준 사건이었다. 결코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어딘지 모르게 느껴지는 그들의 여유는 그러한 자신들의 일에 대한 열정과 그에 대한 보람과 긍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영화사] 아시아 영화사
인터넷영화(공짜가 아닌 것은 인터넷 영화가 아니다)
영화와 영화 음악의 관계
한국 영화진흥정책의 역사 및 영화산업구조의 문제점과 대안
영화감상문, 영화 <자유만세> 감상문
영화와 영화음악
작가주의영화와 상업주의영화의 비교 고찰
[영화에 대한 비평과 감상] 제15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아버지의 이메일’ - 이해한다는 것
[영화의 이해] 영화 <원스(ONCE)> 플롯 및 감상
[영화 분석] 또 다른 자아와의 짧은 만남 - 영화 『파이트 클럽(Fight Club)』
영화로 보는 역사,마이클 콜린스 Vs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두 영화의 공통질 차이점,아일랜드...
영화.음반 마케팅전략 와이드 릴리즈[WIDE-RELEASE] 영화.음반 마케팅사례
영화.음반 마케팅전략 와이드 릴리즈[WIDE-RELEASE] 영화.음반 마케팅사례
2017년 생명과환경-영화 판도라를 보고 원자력발전의 문제점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생각해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