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 한스 자너(Hans Saner)가 쓴 「칸트의 전쟁에서 평화에로의 길」뿐만이 그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한나 아렌트. 김선욱 옮김. 「칸트 정치철학 강의」. 도서출판 푸른숲. 2002.
칸트는 「영구평화론」을 다음과 같은 말로 끝을 맺는다.
“공법의 상태를 실현하는 것은, 그런 상태에 서로 무한히 전진하는 접근만이 있다 하더라도, 동시에 근거 있는 희망이 현존하는 경우에는 우리의 의무다. 이렇게 보면, 영구평화는 결코 공허한 이념이 아니라 그 목적지에 접근하는 과제다.”
즉, 칸트의 「영구평화론」은 이상의 어느 것도 아닌, 정의적 평화주의 혹은 법적인 평화주의의 입장이다. 그가 말한 「영구」란 현실적으로 영원히 존재하는 평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영원히 우리 앞에 있을 과제요 목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최재희. 「칸트의 생애와 철학」. 명문당. 1990.
* 참고문헌 및 자료
임마누엘 칸트, 이한구 옮김.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서광사. 1992.
최재희.「칸트의 생애와 철학」. 명문당, 1990.
오트프리트 휘페, 이엽 외 옮김. 「철학의 거장들 ; 근대편Ⅱ」. 도서출판 한길사. 2001.
한나 아렌트, 김선욱 옮김. 「칸트 정치철학 강의」. 도서출판 푸른 숲. 2002.
황태연. 「근대기획에 있어서의 세계시민과 영구평화의 이념」. 한국유럽학회 유럽연구 1995년 제3호. 1995.
오영달.「칸트의 영구평화론:개인, 국가 그리고 국제적 분석수준」.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평화연구 논문. 2003.
최상용, 「칸트의 영구평화론」, 교려대학교 평화연구소. 1992.
칸트는 「영구평화론」을 다음과 같은 말로 끝을 맺는다.
“공법의 상태를 실현하는 것은, 그런 상태에 서로 무한히 전진하는 접근만이 있다 하더라도, 동시에 근거 있는 희망이 현존하는 경우에는 우리의 의무다. 이렇게 보면, 영구평화는 결코 공허한 이념이 아니라 그 목적지에 접근하는 과제다.”
즉, 칸트의 「영구평화론」은 이상의 어느 것도 아닌, 정의적 평화주의 혹은 법적인 평화주의의 입장이다. 그가 말한 「영구」란 현실적으로 영원히 존재하는 평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영원히 우리 앞에 있을 과제요 목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최재희. 「칸트의 생애와 철학」. 명문당. 1990.
* 참고문헌 및 자료
임마누엘 칸트, 이한구 옮김.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서광사. 1992.
최재희.「칸트의 생애와 철학」. 명문당, 1990.
오트프리트 휘페, 이엽 외 옮김. 「철학의 거장들 ; 근대편Ⅱ」. 도서출판 한길사. 2001.
한나 아렌트, 김선욱 옮김. 「칸트 정치철학 강의」. 도서출판 푸른 숲. 2002.
황태연. 「근대기획에 있어서의 세계시민과 영구평화의 이념」. 한국유럽학회 유럽연구 1995년 제3호. 1995.
오영달.「칸트의 영구평화론:개인, 국가 그리고 국제적 분석수준」.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평화연구 논문. 2003.
최상용, 「칸트의 영구평화론」, 교려대학교 평화연구소.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