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비쿼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유비쿼터스의 정의
1. 사전적 정의
2. 기술정의
3. 특징

Ⅱ. 유비쿼터스의 개념을 가진 제품 ․ 서비스
1. 휴대폰
2. 교육
3. 가정
4. 건강
5. 교통
6. 유통, 물류

Ⅲ.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개발 동향
1. 앞으로의 전망
2. 시장 규모 전망
3. 대응 과제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및 참고SITE

본문내용

으로 예상된다. 한편, 응용 시장 부문을 살펴보면 서비스 및 컨텐츠 시장, 전자상거래 시장 모두 빠르게 확대되어 2005년부터 2010년 사이 4.3배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표1 참조][3]
3. 대응과제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생활 영역 곳곳에 무수히 많은 센서와 센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가 이식된 ‘물체’가 서로간의 교신을 원활히 하고 저가에 범용 네트워크를 실현할 수 있는 범용 표준통신규격에 대한 과제를 선행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히 기술적 문제 뿐만 아니라 어떤 표준규격을 책정할 것인가 하는 것부터 그 운용 방법, 규칙제정 나아가 네트워크 전체를 내려다 본 전체적인 사회기반 정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사회전체에서 널리 이용되는 새로운 유비쿼터스 기술이 등장하면, 기술이전 등의 문제로 여러 상품이나 서비스를 관리·운용하기 위한 공통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생기고 이에 대한 표준화와 기반정비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u-컴퓨팅 환경에서 범죄행위 발생시 현재보다 큰 악영향을 미칠수 있기에 이를 막기 위한 엄격한 법 및 제도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 실생활에 직면하게 될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을 누가 먼저 선점하고, 어떻게 이용하느냐가 미래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관건임을 알고 국가 및 관련 업체는 발빠른 대처를 해야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춰 정보통신부에서 U-Korea수립을 위한 계획을 추진 중이며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최근 산업자원부에서 발표한 2단계 산업기술지도에 따르면, 2006년 이후에는 약 1인치 크기의 소형컴퓨터가 등장하고 2012년 이후에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를 맞아 컴퓨터 손톱만한 크기의 컴퓨터로 언제 어디서든지 400Mbps의 무선LAN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분야에서는 영상 음성인식이 가능한 웹 패드와 스마트폰, PDA 등이 번성하고 2012년에는 착용가능한 PC와 3차원을 실현하는 TV, 사람의 오감을 인식하는 컴퓨터시스템 등이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0] 아울러 의료공학 분야에서는 다채널 디지털방식의 MRI를 비롯, 스캔속도가 1초짜리인 고속 체적 측정용 CT 등이 개발되고 2011년쯤에는 유전자치료기와 결합된 MRI와 0.3초의 스캔 속도를 갖춘 CT 등 영상기기가 실용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상으로 최근 정보통신 기술에 의해 미래사회로 대변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사회의 개념 및 국가별 연구 동향, 그리고 향후 과제 등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Ⅳ. 결론
유비쿼터스는 멀리 있는 개념이 아닙니다. 지금 유비쿼터스는 여러분의 일상생활과 환경을 통합하여 보다 현실적인 센싱이 가능하도록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가상현실(Virtual Reality)를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아마도 언젠가 영화 매트릭스처럼 Matrix의 가상현실이 구축되겠지만 그 것은 2300년 경에나 가능할 것입니다. 지금은 기존의 모든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Sensing] x [Computing] x [Communicating] x [Processing]에 의한 증강현실의 유비쿼터스 혁명이 시작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My PC가 중심입니다. My PC에 모든 나의 컨텐츠들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5년 내의 유비쿼터스는 바로 이 My PC가 내가 어디에 가던지 따라 다닐 수 있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My PC Follows Me Wherever I Go”라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소개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 10년 내의 T2T기술 베이스의 B2O(Business to Objects) 비즈니스 모델로의 유비쿼터스 환경 전환을 위해 당사는 지금 “My PC Follows Me Wherever I Go”를 하나의 내장된 칩에 통합하는 Tiny OS 베이스의 유비쿼터스 칩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들 칩들은 모든 디바이스에 내장될 것이고 모든 사물에 하나의 스마트 칩을 내장될 것입니다. 그러면 앞서 우리가 그리는 To Be Model인 “Every Objects Follows Me with MY PC Wherever I Go”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보다 중요한 것은 개인정보보호나 안전인데, 따라서 당사의 모든 기술개발전략은 바로 바로 “당신이 중심인 ? My PC”에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믿는 중요한 신조와 사명은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세상의 중심은 바로 “당신”이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지금 소개하고 있는 것이 바로 U-Personal Life 입니다.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어도 이 개념은 변치 않을 것입니다.
이 세상의 주인공은 바로 “U-당신”입니다. 내가 없는 세상에는 아무리 혁명적인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된들 다 소용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바로 “U-Personal Life”를 지향하고 그리고 또한 동시에 “U-Control”을 지향하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및 SITE]
고려번역 옮김, “디지털경제2000”, 2000
사카무라켄, 최운식 역, “유비쿼터스 컴퓨팅 혁명”, 2002
산업자원부 한국산업기술재단, “컴퓨터기술 로드맵”, 2002. 6.
이지평, 강선구, “디지털 컨버전스에 따른 뉴트랜드”, LG.경제연구원, 2002. 10.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21세기 아젠다: U코리아 비전”, 전자신문 창간20주년기획연재, 2002.
한국방송공학회, “일본의 유비키터스 네트워크 기술의 장래전망 조사연구”, 2002. 4.
ETRI 정보화기술연구소, “유비퀴터스 네트워크의 실현을 향하여”, 2002. 9.
특허청 신기술 동향 보고서 2004
www.ukoreaforum.or.kr
www.ubiu.com
www.sds-epartner.com
http://egov.kaist.ac.kr
http://tvc2.etri.re.kr/∼postnology
http://www.c2peer.ne
http://www.technoa.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07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