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 의
2. 브루셀라균 종류
3. 전 파 경 로
4. 농장 내 발생원인
5. 진 단
6. 사람 브루셀라병
7. 소 브루셀라병 예방대책
8. 치 료
9. 향 후 대 책
2. 브루셀라균 종류
3. 전 파 경 로
4. 농장 내 발생원인
5. 진 단
6. 사람 브루셀라병
7. 소 브루셀라병 예방대책
8. 치 료
9. 향 후 대 책
본문내용
rifampin, tetracycline, aminoglycoside의 병합요법을 장기간 사용한다.
9. 향 후 대 책
1. 소 귀표제도 정착 및 전산화를 통한 질병 추적관리 강화
☞ 양성농가의 역학적 추적조사에 의한 질병전파의 연결고리 차단
2. 양성농가의 소 이동제한에 의한 질병전파 최소화
☞발생농장의 소 이동제한 강화에 따른 질병 전파 방지
3. 검진대상 확대를 통한 감염 소 색출 강화
☞전 농가로 검사를 확대하여 잠복 감염 색출 및 전염원 차단
4. 등급별 차등방역에 의한 효율적 근절 대책 추진
☞지역별 근절목표 설정으로 청정지역 범위를 점진적 확대
5. 단계별 방역지표 설정에 의한 근절목표 조기달성 추진
☞ 근절기반 조성(1.0%이하) → 발생 최소화(0.5%이하) → 청정화
9. 향 후 대 책
1. 소 귀표제도 정착 및 전산화를 통한 질병 추적관리 강화
☞ 양성농가의 역학적 추적조사에 의한 질병전파의 연결고리 차단
2. 양성농가의 소 이동제한에 의한 질병전파 최소화
☞발생농장의 소 이동제한 강화에 따른 질병 전파 방지
3. 검진대상 확대를 통한 감염 소 색출 강화
☞전 농가로 검사를 확대하여 잠복 감염 색출 및 전염원 차단
4. 등급별 차등방역에 의한 효율적 근절 대책 추진
☞지역별 근절목표 설정으로 청정지역 범위를 점진적 확대
5. 단계별 방역지표 설정에 의한 근절목표 조기달성 추진
☞ 근절기반 조성(1.0%이하) → 발생 최소화(0.5%이하) → 청정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