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의 강점기에 대한 레포트
본문내용
932년 만주국 성립을 전후한 시기에 중국의용군과 연합하여 흥경성전투, 영릉가성전투에서 일본군과 격전을 벌여 대승을 거두는 등 뛰어난 무장항일전의 기록을 남겼다. 이진탁의 뒤를 이어 김관웅 ·양세봉 ·고이허 등이 총사령관 자리를 역임하면서 대대적으로 활약하다가 1936년을 고비로 점차 쇠퇴하였다.
한국독립당
1930년경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정부 요인들이 중심이 되어 창당한 한국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보수정당(保守政黨).
설립연도 1930년경
구분 정당
소재지 중국 상하이[上海]
주요활동 반탁운동, 남북협상 참석, 단정반대, 통일일부 수립 추진
여기에는 이동녕(李東寧) ·안창호(安昌浩) ·김구(金九) ·조소앙(趙素昻) 등이 참여하였다. 이 무렵 만주 지린[吉林]에서는 ‘조선혁명당’이, 북만주의 한족자치연합회(韓族自治聯合會)에서는 상하이와 동명(同名)의 ‘한국독립당’이, 그리고 난징[南京]에서는 ‘한국혁명당’이 조직되었다. 그러나 이들 정당은 사실상 정당으로서의 기능보다는 하나의 독립운동단체와 같은 기능을 벗어날 수 없었으므로, 정당으로서의 독자적인 활동은 별로 없었다. 그 뒤 1945년 11월 임정요인들이 환국하면서 한독당은 김구를 중심으로 다시 국내기반의 확대·강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임정요인들은 한국독립당의 당원의 입장보다는 ‘임정요인’이라는 입장을 더욱 중시하거나 과시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한국광복군
제 2 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한국 광복군은, 중국에서는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제에 대항하였으며, 미얀마, 인도 전선에까지 파견되어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 대일전에 참전한 한국 광복군은, 직접 전투에 참가하는 것 외에도 포로 심문, 암호 번역과 선전 전단의 작성, 대적 회유 방송 등의 심리전에도 참여하였다.
한국 광복군은 중국과 동남아 일대에서 연합군과 같이 대일전에 참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조국의 광복을 우리의 손으로 쟁취하기 위하여 직접 군내로 진입하여 일본군과의 전면전을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한국 광복군은 총사령관 지청천, 지대장 이범석 등을 중심으로, 중국에 주둔하고 있던 미국과 연합하여 국토 수복 작전의 임무를 맡은 국내 정진군을 편성하여 특수 훈련을 실시하였고, 비행대의 편성을 꾀하였다.
그러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한국 광복군은 그해 9월에 실행하려고 준비 중이던 국내 진입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채 광복을 맞게 되었다.
한국독립당
1930년경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정부 요인들이 중심이 되어 창당한 한국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보수정당(保守政黨).
설립연도 1930년경
구분 정당
소재지 중국 상하이[上海]
주요활동 반탁운동, 남북협상 참석, 단정반대, 통일일부 수립 추진
여기에는 이동녕(李東寧) ·안창호(安昌浩) ·김구(金九) ·조소앙(趙素昻) 등이 참여하였다. 이 무렵 만주 지린[吉林]에서는 ‘조선혁명당’이, 북만주의 한족자치연합회(韓族自治聯合會)에서는 상하이와 동명(同名)의 ‘한국독립당’이, 그리고 난징[南京]에서는 ‘한국혁명당’이 조직되었다. 그러나 이들 정당은 사실상 정당으로서의 기능보다는 하나의 독립운동단체와 같은 기능을 벗어날 수 없었으므로, 정당으로서의 독자적인 활동은 별로 없었다. 그 뒤 1945년 11월 임정요인들이 환국하면서 한독당은 김구를 중심으로 다시 국내기반의 확대·강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임정요인들은 한국독립당의 당원의 입장보다는 ‘임정요인’이라는 입장을 더욱 중시하거나 과시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한국광복군
제 2 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한국 광복군은, 중국에서는 중국군과 연합하여 일제에 대항하였으며, 미얀마, 인도 전선에까지 파견되어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 대일전에 참전한 한국 광복군은, 직접 전투에 참가하는 것 외에도 포로 심문, 암호 번역과 선전 전단의 작성, 대적 회유 방송 등의 심리전에도 참여하였다.
한국 광복군은 중국과 동남아 일대에서 연합군과 같이 대일전에 참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조국의 광복을 우리의 손으로 쟁취하기 위하여 직접 군내로 진입하여 일본군과의 전면전을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한국 광복군은 총사령관 지청천, 지대장 이범석 등을 중심으로, 중국에 주둔하고 있던 미국과 연합하여 국토 수복 작전의 임무를 맡은 국내 정진군을 편성하여 특수 훈련을 실시하였고, 비행대의 편성을 꾀하였다.
그러나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한국 광복군은 그해 9월에 실행하려고 준비 중이던 국내 진입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채 광복을 맞게 되었다.
추천자료
한국의 역사 및 문화 또는 역사적 인물을 조사하여 자료목록정리및서평작성
한국의 역사와 문화 - 한국 생활사 개관
한국의 사회적기업 현황,한국의 사회적기업의역사,한국의 사회적기업의과제,사회적기업사례
[한국의 품질역사] 우리나라 품질의 역사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에 대하여 논하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에 대하여 기술하...
서양음식 역사 & 한국의 서양요리역사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이념, 본질, 특성, 영역, 과정,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한국의 역...
<한국무역론> 한국무역의 역사(장보고의 해상경영과 청해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대외무역...
한국의 성결교(The Holyness Church, 聖潔敎)와 웨슬리신학 - 한국성결교회의 역사, 웨슬리안...
[A+] 중국의 경제발전과 한국경제 현황 -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관계, 중국 경제 발전 배경, ...
한국행정(韓國行政)의 발전 (미래한국의 행정체제, 한국행정의 역사적 측면, 우리나라행정의 ...
[한국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발전과정)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 ...
한국사회복지 행정의 역사와 발전방향, 전망,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발전방향 및 전망에 ...
[한국외식산업의 역사]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발전과정(한국 외식업 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