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탐조 자료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새탐조 자료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철새 1
철새도래지 2
탐조준비물 4
탐조를 떠나자 7
탐조수칙 8
새 관찰하는 방법 10
탐조하는 새-백로 16
철새이야기 22

공룡알화석지 25

탐조를 다녀와서 29
현장체험보고서 29
체험일기장 30
노래로 배워봐요 33

본문내용

남북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며, 철새들이 지구 자기를 감지하여 방향을 잡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실제 비둘기의 머리에서 나침반 역할을 하는 1㎚x2㎜의 자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시화호 공룡알 화석지
세계3대 공룡알화석지
1999년 4월 25일, 한국해양연구원과 ‘희망을 주는 시화호 만들기 화성-시흥-안산 시민연대회의’는 시화호 방조제 완공 이후 해수유입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조사하던 중 경기도 화성군 고정리 일대 간척지 퇴적암층에서 공룡알 화석을 발견하였다. 이후 시화호 내 퇴적층은 중생대 백악기(1억4천6백만년~6천5백만년전) 지층임이 밝혀졌다. 백악기 퇴적층은 과거 시화호 일부, 탄도, 선감도를 포함한 대규모 호수 환경과 사행천이 흐르는 평야에 형성되어 있다.
화석지에는 수많은 공룡 알 화석과 함께 식물화석과 저서동물의 흔적화석이 대량으로 발견되었다. 문화재청은 화석들의 자연사적, 학술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하여 2000년 3월 22일, 이 일대 약 4백 83만평을 국가중요문화재(천연기념물 414호)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지표조사 결과, 보호지역 내의 퇴적암층에는 공룡알(직경 12~15cm) 화석 200개 이상(완형 140개)이 20여 개의 둥지를 이루고 있고, 세계에서 제일 두꺼운 껍질(5.5mm)의 알 화석과 공룡 뼈 조각화석도 발견되었다. 보호지는 대부분이 갯벌로 덮여 있어서 이를 걷어내면 무수히 많은 공룡 관련 화석이 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탄도에서는 초식공룡의 발자국과 고사리류 식물화석(클라도 크레비스)이 발견되었고, 시화호 주변에서는 3천년 전의 법굴, 1만 5천년 전의 코뿔소 두개골과 사슴뿔이 발견되었다. 마산수로에는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긴 5~6천년 전(추정) 해저목 수십 그루가 해중림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는 곳은 세계에서 시화호와 그 주변이 유일하다. 또한 마산수로 주변에서는 조선 초중기 도자기가 발견되기도 하고, 주변 섬들에는 패총, 봉화대, 남경토성 등 유적들이 산재하여 시화호와 그 주변에 구석기 이래의 인류 문화재가 발견될 가능성도 매우 높다.
공룡 알과 발자국 화석, 식물 및 흔적화석들로 미루어 보아 시화호는 중생대 백악기중 공룡의 집단 산란지 및 서식지였음을 알 수 있다. 세계적으로 공룡 알 화석 산출지는 200여 곳이 보고되고 있으나,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후베이성의 청룡산 외에 300개 이상의 알 화석이 발견된 곳은 없다. 시화호는 세계 3대 공룡 집단서식지에 속한다.
시화호 화석군은 중생대 지구 지배자였던 공룡의 생태, 즉, 먹이, 산란환경과 습성, 회귀성 등 집단사회생활과 산란지 및 서식지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로 6천 5백만 년 전 공룡 멸종에 대한 연구로 지구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지층 중에는 화산쇄설 용암류 암석과 용암폭발로 형성된 화산탄들이 산재하고 있어 중생대 지구환경의 변화를 용이하게 관찰 및 연구할 수 있다. (시화호 내 큰 딱섬의 용암류 암석을 분석한 결과, 공룡의 멸종 시기와 일치함)
공룡의 멸종에 관하여는 10여 가지 가설이 있으며 그 중 공룡들과 수많은 생물들이 배출한 메탄가스가 대기 중 농축되어 있을 당시 운석의 충돌로 세계적 규모의 화재와 화산폭발이 촉발되어 완전히 멸종하였다는 설이 가장 신뢰를 받고 있다.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곳]
[궁금해요!] 공룡이 화석이 되는 과정
① 육식 공룡의 공격을 받고 먹이가 되어 버린 초식 공룡이 뼈만 남는다.
② 비가 내리면 공룡의 시체는 빗물에 휩쓸려 웅덩이 속으로 밀려간다.
③ 비가 계속 내리면 웅덩이 옆의 흙이 씻겨 들어가서 뼈만 남은 공룡을 덮는다.
④ 수백만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공룡의 뼈는 화석이 된다.
공룡이 죽었다고 해서 모두 이처럼 화석이 되는 것은 아니다. 땅 속에 묻히면 대부분은 흙 속의 산이나 세균 때문에 썩어서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다. 가끔 화석으로 발견되는 것은, 죽은 다음에 바로 물이나 흙 속에 밀봉되어 산과 세균으로부터 차단된 것들이다. 시간이 흐르면 껍질이나 뼈는 썩게 되는데, 이 때 뼛속의 작은 구멍으로 광물 성분이 함유된 물이 스며들어 뼈를 단단하게 굳히는 것이다.
시화호 남측 간척지는 국제 보호조인 검은머리갈매기와 장다리 물떼새 등을 포함하여 연간 120여 종 9~15만 마리의 철새가 날아오며, 300여 마리의 노루, 고라니 등 대형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한 갯벌의 소금기가 없어지면서 식물 집단도 바뀌어 빨간 융단과 같은 칠면초에서 섬향나무와 같은 희귀식물을 포함하여 수십 종의 해안 및 육지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고, 호수 주변에는 3~4,000 년 동안 형성된 광활한 갯벌이 바닷물의 주기적인 유입으로 다양한 갯벌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현 장 체 험 보 고 서
초등학교 학년 반 이름 날 짜
200 년 월 일 요일
지역
강 사 님
함께간 사람
체험내용



관찰한 새
나의 새이름을 지어보세요.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새로 정하며, 그 새에 대해 잘 알도록 해야 합니다.
알게 된 점과 느낀점
더 알아보고 싶은점
■ 체험일기장 ■
※ 하루 일정을 정리하면서 나만의 체험일기를 써보세요!
학 교
학년/반
이 름






[삼행시짓기] 아래 주어진 새이름을 가지고 멋진 삼행시를 지어보세요.기러기



종달새



갈매기



[속담찾기] 새와 관련된 우리나라 속담 세가지 이상 쓰시오.
♬ 노래로 배워보는 ‘암석의 순환’
마그마가 식어서 화성암
쌓이고 굳어서 퇴적암
열받고 압력받아 변성암
이모든 암석은 순환된다
랄라랄라라 암석순환
랄라랄라라 재미있다.
화성암
땅위에서 만들어지면 화산암
가스빠져 구멍뚫린 현무암
땅속에서 만들어진 심성암
광물입자 커서 좋은 화강암
랄라랄라라 암석순환
랄라랄라라 재미있다.
퇴적암
점토가 굳어서 이암되고
모래가 쌓여 굳어 사암되네
자갈사이 모래섞여 굳은 역암
탄산칼슘 주성분인 석회암
랄라랄라라 암석순환
랄라랄라라 재미있다.
변성암
압력과 열로 인한 변성암
화강암이 압력받아 편마암
석회암이 열을 받아 대리암
사암이 열을 받아 규암되네
랄라랄라라 암석순환
랄라랄라라 재미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4.10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