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갯벌 이야기
1.갯벌은 ‘바다의 벌판’ 1
2.갯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
3.세계 5대 갯벌에 우리나라 갯벌이? 3
4.우리나라 서해안 갯벌 분포도 4
5.갯벌은 어떤 역할을 할까? 5
갯벌 탐사 준비
1.무엇을 준비할까? 8
2.이것만은 지키자 9
갯벌 탐사
1.갯벌의 종류 12
2.자! 갯벌에 다가가 보자 15
3.다양한 갯벌 친구들과의 만남 17
4.갯벌을 나오며 26
재미있는 빙고 28
1.갯벌은 ‘바다의 벌판’ 1
2.갯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
3.세계 5대 갯벌에 우리나라 갯벌이? 3
4.우리나라 서해안 갯벌 분포도 4
5.갯벌은 어떤 역할을 할까? 5
갯벌 탐사 준비
1.무엇을 준비할까? 8
2.이것만은 지키자 9
갯벌 탐사
1.갯벌의 종류 12
2.자! 갯벌에 다가가 보자 15
3.다양한 갯벌 친구들과의 만남 17
4.갯벌을 나오며 26
재미있는 빙고 28
본문내용
에서 조금만 기다리면 게들이 친구하자고 나올 겁니다.
★ 게 관찰 상식 - 어떤 것이 암컷이고 어떤 것이 수컷일까?
게
알맞게 짝지어 주세요
①▶
◀㉠
앞으로 걸어갈 수 있는 특이한 게
몸은 둥근 밤 모양을 하고 있다
수컷이 암컷을 껴안고 다닌다
②▶
◀㉡
너비가 4-5Cm 몸이 길다
다리가 좁은 톱니로 날카롭다
분홍이나 주황색의 집게다리
③▶
◀㉢
주로 염생식물 주변 펄갯벌에 산다
눈자루는 안테나처럼 접었다 폈다한다수놈은 집게발 하나가 과장되게 크다
④▶
◀㉣
서해에서만 자라는 세계 희귀종이다
양쪽에 둥근반점이 있어 호랑이 얼굴과 비슷. 수심이 깊은 곳에 살지만 모래펄에서도 발견
⑤▶
◀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게
걷는 다리에 길고 짧은 털이 많다
4-5월이 짝짓기 철이다
■ 그 밖의 친구들 ‘수수께끼로 만나봐요’
갯벌에는 게나 조개 들 말고도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다른 친구들을 만나볼까요?
- 갯벌에 구멍을 내어 공기를 통하게 하는 우리는 대대손손 훌륭한 (① ) 란다
- 갯벌 근체 바위에 모여 살아 음~ 바다의 바퀴벌레정도 된다고 할까? 쓰레기는 우리가 해치운다! ( ② )
- 바위에 붙어살아서 고착생물이라고 해. 밀물 때에는 촉수를 내밀어 먹이를 먹는데 관찰 할 때 조심해! 따겁지~(③ )
- 좀 느리기는 하지만 조개를 잡아먹는 내 모습을 보면 놀랄걸?
구멍 뚫린 조가비를 보면.. 나를 떠올리렴 흐흐흐 (④ )
- 생긴 것은 약해 보이지. 이래뵈도 난 공룡 때부터 살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갯벌 생물이라구 (⑤ )
따개비 갯지렁이 큰구슬우렁 개맛 갯강구
그 밖의
갯벌 생물 친구들
▶따개비
갯강구◀
▶서해
비단고동
(흔적)◀
▶쏙
쏙붙이◀
▶엽낭게
엽낭게◀ 모래경단
(팰릿)
▶민챙이알
민챙이◀
▶왕좁쌀무늬고동
갯고동◀
▶그물무늬
금게
도둑게◀
▶아무르
불가사리
별불가사리◀
▶긴발가락
참집게
망둥어◀
▶바다선인장
가시닻해삼◀
▶칠면초
염생식물◀
군락
▶퉁퉁마디
나문재◀
5. 지금 우리의 갯벌은
갯벌의 새로운 모습 간척지 -얻은 것
바다에 뚝(제방)을 쌓아 막은 후 그 안에 있는 물을 빼내어 육지화 하여 농토나 기타 산업부지로 만드는 사업을 간척사업이라고 합니다.
갯벌은 이렇게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의 땅으로 다시 태어나기도 한답니다.
갯벌의 새로운 모습 간척지 -잃은 것
국토 면적의 약 7%가 갯벌이었던 우리나라는 지금 약 절반정도가 매립되어지거나 간척된 상태입니다. 좁은 국토를 넓히기 위해 바다를 메워 육지를 만드는 공사로 많은 지역이 농경지와 공업단지가 만들어 졌습니다.
그러나, 바다가 막히면서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많은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맑은 물을 공급할 것이라는 시화호는, 예상을 초월한 주변 도시의 인구 증가와 공장들로 생활하수와 오염물질이 대량 유입되면서 썩은 물이 넘실대는 죽은 호수로 전락했습니다.
새만금 사업은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와 군산 열도, 그리고 군산 앞바다에 이르는 33km의 방조제를 쌓아 부산시 면적과 맞먹고 여의도의 140배나 되는 1억 2000만평의 바다를 매립하는 국내 최대의 간척사업입니다. 그러나 이 간척사업이 완료되면 동시에 전북지역 갯벌의 90%가 사라질 것입니다. 이미 대부분의 양식장이 모두 폐쇄되었고, 어업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매립된 지역의 갯벌생물은 대부분이 사라졌습니다. 물새들도 날아오지 않습니다.
서해안의 갯벌은 최소한 30,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갯벌을 만든다고 하루아침에 이 긴 역사를 복원해 낼 수 있을까요?
1-16까지 번호를 □ 에 자유롭게 적어보세요. 그리고 아래에서 번호에 맞는 문제를 찾아 답을 적어보세요.
□
□
□
□
□
□
□
□
□
□
□
□
□
□
□
□
[문제]
1)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을 무엇이라 할까? ○○
2) 이 생물은 특이하게 앞으로도 걸을 수 있는 게이다. 다리간격이 다른 게 보다 넓어서 앞으로, 옆으로 모두 걸을 수 있고, 암수가 사이좋게 다니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밤을 절반 쪼개 놓은 모양이라서 이름 붙여진 생물은?
3) 여의도의 140배에 달하는 간척지가 만들어지는 곳으로 전북 군산, 부안, 김제 세 지역의 갯벌을 막아 새로운 육지를 만들고자 한다. 개발과 환경보존이라는 문제로 시끄러운 이곳은 어디일까?
4) 세계 5대 갯벌이 있는 나라는 미국, 캐나다, 브라질, 유럽 그리고 이 나라이다. 어느 나라일까?
5) 갯벌의 종류 중에서 가장 많은 생물이 관찰되는 곳은 어느 갯벌일까? 모래와 갯벌이 적당하게 섞여있는 갯벌로 다양한 생물들이 관찰된다.
6) 모래펄에 살고, 통통한 몸에 가로로 흑갈색의 성장선이 있다. 이 조개는 무엇일까?
7) 이 식물은 소금기가 있는 곳에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는 특이한 생물이다. 나문재, 칠면초, 퉁퉁마디 등이 있다.
8) 죽거나 병든 동물들을 먹는 갯벌의 청소부이다. 고둥 표면에 작은 돌기가 많이 나있고, 여럿이서 떼로 모여 있다. 이 생물은?
9) 기후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를 옮기는 새를 가리킨다.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갯벌이 중요한 이유는 이 친구들이 먼거리를 이동하는데 중간에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힘을 보충한다.(두 자)
10) 하루에 두 번 밀물과 썰물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과 ○○이다.
11) [○, × 문제] 모래로 이루어진 곳도 갯벌에 속한다.
12) [○, × 문제] 갯벌은 우리가 생활하는 육지처럼 영토에 속한다.
13) 우리나라 바닷가 어느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생물로 항구나 갯바위 등 유기물이 많은 곳에서 산다. 바퀴벌레와 비슷하게 생긴 이 생물은?
14)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둬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소금을 무엇이라 할까? ○○○
15) 갯벌체험을 하기위해서는 미리 물때표를 보고 간조시간에 맞춰야 체험이 가능하다. 만약 오늘의 간조시간이 12:30 이라면 갯벌체험이 가장 적당한 때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일까?
16) 갯벌강의를 해주신 강사님의 성함을 쓰고 예쁜 별명을 지어주세요.
★ 게 관찰 상식 - 어떤 것이 암컷이고 어떤 것이 수컷일까?
게
알맞게 짝지어 주세요
①▶
◀㉠
앞으로 걸어갈 수 있는 특이한 게
몸은 둥근 밤 모양을 하고 있다
수컷이 암컷을 껴안고 다닌다
②▶
◀㉡
너비가 4-5Cm 몸이 길다
다리가 좁은 톱니로 날카롭다
분홍이나 주황색의 집게다리
③▶
◀㉢
주로 염생식물 주변 펄갯벌에 산다
눈자루는 안테나처럼 접었다 폈다한다수놈은 집게발 하나가 과장되게 크다
④▶
◀㉣
서해에서만 자라는 세계 희귀종이다
양쪽에 둥근반점이 있어 호랑이 얼굴과 비슷. 수심이 깊은 곳에 살지만 모래펄에서도 발견
⑤▶
◀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게
걷는 다리에 길고 짧은 털이 많다
4-5월이 짝짓기 철이다
■ 그 밖의 친구들 ‘수수께끼로 만나봐요’
갯벌에는 게나 조개 들 말고도 많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다른 친구들을 만나볼까요?
- 갯벌에 구멍을 내어 공기를 통하게 하는 우리는 대대손손 훌륭한 (① ) 란다
- 갯벌 근체 바위에 모여 살아 음~ 바다의 바퀴벌레정도 된다고 할까? 쓰레기는 우리가 해치운다! ( ② )
- 바위에 붙어살아서 고착생물이라고 해. 밀물 때에는 촉수를 내밀어 먹이를 먹는데 관찰 할 때 조심해! 따겁지~(③ )
- 좀 느리기는 하지만 조개를 잡아먹는 내 모습을 보면 놀랄걸?
구멍 뚫린 조가비를 보면.. 나를 떠올리렴 흐흐흐 (④ )
- 생긴 것은 약해 보이지. 이래뵈도 난 공룡 때부터 살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갯벌 생물이라구 (⑤ )
따개비 갯지렁이 큰구슬우렁 개맛 갯강구
그 밖의
갯벌 생물 친구들
▶따개비
갯강구◀
▶서해
비단고동
(흔적)◀
▶쏙
쏙붙이◀
▶엽낭게
엽낭게◀ 모래경단
(팰릿)
▶민챙이알
민챙이◀
▶왕좁쌀무늬고동
갯고동◀
▶그물무늬
금게
도둑게◀
▶아무르
불가사리
별불가사리◀
▶긴발가락
참집게
망둥어◀
▶바다선인장
가시닻해삼◀
▶칠면초
염생식물◀
군락
▶퉁퉁마디
나문재◀
5. 지금 우리의 갯벌은
갯벌의 새로운 모습 간척지 -얻은 것
바다에 뚝(제방)을 쌓아 막은 후 그 안에 있는 물을 빼내어 육지화 하여 농토나 기타 산업부지로 만드는 사업을 간척사업이라고 합니다.
갯벌은 이렇게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의 땅으로 다시 태어나기도 한답니다.
갯벌의 새로운 모습 간척지 -잃은 것
국토 면적의 약 7%가 갯벌이었던 우리나라는 지금 약 절반정도가 매립되어지거나 간척된 상태입니다. 좁은 국토를 넓히기 위해 바다를 메워 육지를 만드는 공사로 많은 지역이 농경지와 공업단지가 만들어 졌습니다.
그러나, 바다가 막히면서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많은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맑은 물을 공급할 것이라는 시화호는, 예상을 초월한 주변 도시의 인구 증가와 공장들로 생활하수와 오염물질이 대량 유입되면서 썩은 물이 넘실대는 죽은 호수로 전락했습니다.
새만금 사업은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와 군산 열도, 그리고 군산 앞바다에 이르는 33km의 방조제를 쌓아 부산시 면적과 맞먹고 여의도의 140배나 되는 1억 2000만평의 바다를 매립하는 국내 최대의 간척사업입니다. 그러나 이 간척사업이 완료되면 동시에 전북지역 갯벌의 90%가 사라질 것입니다. 이미 대부분의 양식장이 모두 폐쇄되었고, 어업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매립된 지역의 갯벌생물은 대부분이 사라졌습니다. 물새들도 날아오지 않습니다.
서해안의 갯벌은 최소한 30,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갯벌을 만든다고 하루아침에 이 긴 역사를 복원해 낼 수 있을까요?
1-16까지 번호를 □ 에 자유롭게 적어보세요. 그리고 아래에서 번호에 맞는 문제를 찾아 답을 적어보세요.
□
□
□
□
□
□
□
□
□
□
□
□
□
□
□
□
[문제]
1)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을 무엇이라 할까? ○○
2) 이 생물은 특이하게 앞으로도 걸을 수 있는 게이다. 다리간격이 다른 게 보다 넓어서 앞으로, 옆으로 모두 걸을 수 있고, 암수가 사이좋게 다니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밤을 절반 쪼개 놓은 모양이라서 이름 붙여진 생물은?
3) 여의도의 140배에 달하는 간척지가 만들어지는 곳으로 전북 군산, 부안, 김제 세 지역의 갯벌을 막아 새로운 육지를 만들고자 한다. 개발과 환경보존이라는 문제로 시끄러운 이곳은 어디일까?
4) 세계 5대 갯벌이 있는 나라는 미국, 캐나다, 브라질, 유럽 그리고 이 나라이다. 어느 나라일까?
5) 갯벌의 종류 중에서 가장 많은 생물이 관찰되는 곳은 어느 갯벌일까? 모래와 갯벌이 적당하게 섞여있는 갯벌로 다양한 생물들이 관찰된다.
6) 모래펄에 살고, 통통한 몸에 가로로 흑갈색의 성장선이 있다. 이 조개는 무엇일까?
7) 이 식물은 소금기가 있는 곳에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는 특이한 생물이다. 나문재, 칠면초, 퉁퉁마디 등이 있다.
8) 죽거나 병든 동물들을 먹는 갯벌의 청소부이다. 고둥 표면에 작은 돌기가 많이 나있고, 여럿이서 떼로 모여 있다. 이 생물은?
9) 기후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를 옮기는 새를 가리킨다.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갯벌이 중요한 이유는 이 친구들이 먼거리를 이동하는데 중간에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힘을 보충한다.(두 자)
10) 하루에 두 번 밀물과 썰물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과 ○○이다.
11) [○, × 문제] 모래로 이루어진 곳도 갯벌에 속한다.
12) [○, × 문제] 갯벌은 우리가 생활하는 육지처럼 영토에 속한다.
13) 우리나라 바닷가 어느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생물로 항구나 갯바위 등 유기물이 많은 곳에서 산다. 바퀴벌레와 비슷하게 생긴 이 생물은?
14)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둬 햇볕과 바람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소금을 무엇이라 할까? ○○○
15) 갯벌체험을 하기위해서는 미리 물때표를 보고 간조시간에 맞춰야 체험이 가능하다. 만약 오늘의 간조시간이 12:30 이라면 갯벌체험이 가장 적당한 때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일까?
16) 갯벌강의를 해주신 강사님의 성함을 쓰고 예쁜 별명을 지어주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