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조
2. 사용법
3. 제작
4. 결과
5. 후기
2. 사용법
3. 제작
4. 결과
5. 후기
본문내용
⑤주축을 회전시키고 테이블 이송 핸들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면을 가공한다.
⑥테이블 이송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일감을 다시 좌측으로 보내고 주축을 정지시킨 다음, 버니어 캘리퍼스로 높이를 다시 측정한다.
⑦니 이송 핸들의 마이크로칼라 눈금을 보면서 시계 방향으로 돌려 여유량 치수만큼 니를 올린다.
⑧주축을 회전시키고 테이블 이송 핸들을 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돌려 ⓕ면을 다듬질 가공한다.
⑨테이블 이송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일감을 다시 좌측으로 보낸 다음, 주축을 정지시키고 버니어 캘리퍼스로 높이를 측정한다.
⑩밀링 바이스에서 일감을 풀고 그림Ⅱ-6⒜와 같은 방법으로 다듬질용 줄을 사용하여 가공한 일감의 모서리를 모따기한다.
4. 결과
- 우리의 과제는 가로, 세로 35.36mm, 높이 50mm의 직육면체를 가공하는 것이다.
- 첫째주 결과 : 밀링 작업을 배우고 과제를 부여 받음.
: 원기둥 모양의 재료의 위, 아래 부분을 약 0.1mm 여유분을 남기고 평탄 히가공을 했음.
- 둘째주 결과 : 재료의 위, 아래 외의 4면을 약 0.1mm 여유분을 남기고 평탄 작업을 하 려 했으나 시간상 3면 까지 완성함.
- 셋째주 결과 : 나머지 1면을 평탄 작업 함
: 6면의 여유 부분을 이용하여 치수에 맞게 정밀히 가공하여 제출함.
5. 후기
- 밀링 작업은 태어나서 처음 해보는 작업이었다. 교수님의 말씀을 들었을 때는 재밌고 쉬 울거라 생각 했는데 막상 쇠가 깍이고 튀는 시범을 보니 솔직히 긴장이 됐었다. 하지만 가르쳐 주신대로 안전수칙을 지키며 작업순서대로 해보니 조금씩 자신감이 붙기 시작했 고 작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 처음에 35.36mm 를 어떻게 맞춰서 가공할 것 인가가 관건 이었다. 종이를 오려서 붙일 까, 펜으로 재료에 그려 넣을까, 고민하다가 결국 우리가 택한건 가공 하면서 버니어캘리 퍼스로 35.36을 맞추는 것이었다. 의욕만 앞선 우리의 계획은 가공도 가공이지만 35.36 을 정확히 재는 것이 참 까다로웠다.
- 표면에 생기는 곡선 무늬를 없애는 방법을 많이 생각 해보았다. 밀링을 아주 빠르게 해 보기도 하고 아주 천천히 해 보기도 하였다. 하지만 표면의 매끄러움은 잘 나오지 않았 다.
- 아쉬운 점
: 마지막에 시간이 좀 촉박해서 더 정교한 작업을 하지 못한 점
: 정교 작업을 위한 여유 가공면을 너무 작게 만들어 높이에 대한 정교 가공을 제대로 하지 못한 점 등.
⑥테이블 이송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일감을 다시 좌측으로 보내고 주축을 정지시킨 다음, 버니어 캘리퍼스로 높이를 다시 측정한다.
⑦니 이송 핸들의 마이크로칼라 눈금을 보면서 시계 방향으로 돌려 여유량 치수만큼 니를 올린다.
⑧주축을 회전시키고 테이블 이송 핸들을 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돌려 ⓕ면을 다듬질 가공한다.
⑨테이블 이송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일감을 다시 좌측으로 보낸 다음, 주축을 정지시키고 버니어 캘리퍼스로 높이를 측정한다.
⑩밀링 바이스에서 일감을 풀고 그림Ⅱ-6⒜와 같은 방법으로 다듬질용 줄을 사용하여 가공한 일감의 모서리를 모따기한다.
4. 결과
- 우리의 과제는 가로, 세로 35.36mm, 높이 50mm의 직육면체를 가공하는 것이다.
- 첫째주 결과 : 밀링 작업을 배우고 과제를 부여 받음.
: 원기둥 모양의 재료의 위, 아래 부분을 약 0.1mm 여유분을 남기고 평탄 히가공을 했음.
- 둘째주 결과 : 재료의 위, 아래 외의 4면을 약 0.1mm 여유분을 남기고 평탄 작업을 하 려 했으나 시간상 3면 까지 완성함.
- 셋째주 결과 : 나머지 1면을 평탄 작업 함
: 6면의 여유 부분을 이용하여 치수에 맞게 정밀히 가공하여 제출함.
5. 후기
- 밀링 작업은 태어나서 처음 해보는 작업이었다. 교수님의 말씀을 들었을 때는 재밌고 쉬 울거라 생각 했는데 막상 쇠가 깍이고 튀는 시범을 보니 솔직히 긴장이 됐었다. 하지만 가르쳐 주신대로 안전수칙을 지키며 작업순서대로 해보니 조금씩 자신감이 붙기 시작했 고 작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 처음에 35.36mm 를 어떻게 맞춰서 가공할 것 인가가 관건 이었다. 종이를 오려서 붙일 까, 펜으로 재료에 그려 넣을까, 고민하다가 결국 우리가 택한건 가공 하면서 버니어캘리 퍼스로 35.36을 맞추는 것이었다. 의욕만 앞선 우리의 계획은 가공도 가공이지만 35.36 을 정확히 재는 것이 참 까다로웠다.
- 표면에 생기는 곡선 무늬를 없애는 방법을 많이 생각 해보았다. 밀링을 아주 빠르게 해 보기도 하고 아주 천천히 해 보기도 하였다. 하지만 표면의 매끄러움은 잘 나오지 않았 다.
- 아쉬운 점
: 마지막에 시간이 좀 촉박해서 더 정교한 작업을 하지 못한 점
: 정교 작업을 위한 여유 가공면을 너무 작게 만들어 높이에 대한 정교 가공을 제대로 하지 못한 점 등.
추천자료
디스플레이 공학실험 TFT-LCD 제조실험
[화학공학실험]액체의 밀도 실험 결과레포트
[공학실험]평판위의 경계층 측정 실험 예비, 결과레포트
[공학실험]비압축성 난류 자유제트 실험
[기계공학실험]도립진자실험
[기계공학실험] 유동가시화 실험
[기계공학실험] 풍동실험
[기계공학실험] 베르누이 실험
[공학실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파형측정과 실험데이터 획득
[기계공학실험] 경도 실험
[화학공학실험] 단증류 실험
[기계공학실험] 동흡진기(Dynamic Absorber)를 이용한 진동 제어 실험
[공학생물학실험] 초파리 염색체 실험: 침샘염색체의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하는 방법을 배우...
인장실험 - 기계공학실험 A+ 자료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