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H. M. Jones에 의하면 대학만이 갖는 고유한 성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미국 내 교사 양성기구의 변천이 우리의 실정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 대학이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분위기는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가?
* 미국 내 교사 양성기구의 변천이 우리의 실정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 대학이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분위기는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가?
본문내용
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흘러나오는 음악 역시 대중음악에 편중하기 보다는 클래식과 같은 유명한 고전 음악을 함께 틀어주는 노력을 통해 창의성을 자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의 많은 고등 교육 기구에 나타나는 그 반학문적이고 반지성적인 특성 등 잘못된 태도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것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그것은 두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교육이 강의실 내에서 진행되는 어떤 것이라는, 즉 교수는 주고 학생은 받는 하나의 강의의 방식에 따라 생기는 어떤 것이라는 널리 퍼져 있는 잘못된 생각이 된다. 두 번째 설명은 미국의 모든 고등 교육 기구에 일반화된 것인데, 그 영향은 혹은 부담은 기구의 크기에 따라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수는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 성장, 발전한다는 신념아래 학생 개개인의 흥미, 적성, 능력과 창의성을 최대로 개발하여 자아 실현된 인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학생 역시 무조건적인 주입이 아니라 스스로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자세를 가지고 학문적이고 지성적인 의식을 보여주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교와 공동체의 관계의 본질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남아 있다. 그 관계는 밀접한 것이어야 하지만, 의존적인 것이어서는 안 된다. 대학교의 첫 번째 책임은 그 사회에 즉각적으로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교가 그 일부가 되는 보다 큰 학습 사회에 봉사하는 것, 즉 그 당시의 세대가 아니라 미래의 세대에 봉사하는 것이 된다. 반드시 이러한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도시 대학교들이 매우 열렬하고도 관대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을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사회의 일부가 되어야 하는 의무는 남아 있게 된다. 즉 그들은 그 도시의 문화생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그들은 정치와 공공 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장되어야 한다. 대학교 자체는 이러한 모든 활동에 대해 협조적이어야 하며, 그리하여 그 구성원들이 그 도시에 살기 편하도록 해 주고, 대학 시설들을 시민을 위한 목적에 유용하도록 만들며, 그 교수들로 하여금 정치적, 언론적, 심지어 경제적 책임을 지도록 권장해 주어야 한다. 그것은 대학교가 지역 도서관이나 박물관을 비롯한 다른 문화 기관들과 매우 밀접하게 협동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대학교들은 대부분 거대한 소요지와 무한한 잠재적 부를 지니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도시 자체 내에 거대한 문화적 자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필요로 하는 것은 자신의 기회와 잠재 가능성을 깨닫는 것이다. 즉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철학과 교양이다. 우리가 끊임없이 쌓아야 하는 교양공부 중의 하나는 언어인 것 같다. 언어는 학생들이 책이나 대화를 실제로 즐길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할 만큼 하기 위하여서도 충분히 오랜 시간 동안 학습되어야 한다.
결국 대학이 갖추어야할 이상적인 분위기는 도시적인 주위 환경과 우리의 과장 없는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비겁하지 않는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조화일 것이다.
미국의 많은 고등 교육 기구에 나타나는 그 반학문적이고 반지성적인 특성 등 잘못된 태도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것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그것은 두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교육이 강의실 내에서 진행되는 어떤 것이라는, 즉 교수는 주고 학생은 받는 하나의 강의의 방식에 따라 생기는 어떤 것이라는 널리 퍼져 있는 잘못된 생각이 된다. 두 번째 설명은 미국의 모든 고등 교육 기구에 일반화된 것인데, 그 영향은 혹은 부담은 기구의 크기에 따라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수는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 성장, 발전한다는 신념아래 학생 개개인의 흥미, 적성, 능력과 창의성을 최대로 개발하여 자아 실현된 인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학생 역시 무조건적인 주입이 아니라 스스로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자세를 가지고 학문적이고 지성적인 의식을 보여주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교와 공동체의 관계의 본질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남아 있다. 그 관계는 밀접한 것이어야 하지만, 의존적인 것이어서는 안 된다. 대학교의 첫 번째 책임은 그 사회에 즉각적으로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교가 그 일부가 되는 보다 큰 학습 사회에 봉사하는 것, 즉 그 당시의 세대가 아니라 미래의 세대에 봉사하는 것이 된다. 반드시 이러한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도시 대학교들이 매우 열렬하고도 관대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을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사회의 일부가 되어야 하는 의무는 남아 있게 된다. 즉 그들은 그 도시의 문화생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그들은 정치와 공공 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장되어야 한다. 대학교 자체는 이러한 모든 활동에 대해 협조적이어야 하며, 그리하여 그 구성원들이 그 도시에 살기 편하도록 해 주고, 대학 시설들을 시민을 위한 목적에 유용하도록 만들며, 그 교수들로 하여금 정치적, 언론적, 심지어 경제적 책임을 지도록 권장해 주어야 한다. 그것은 대학교가 지역 도서관이나 박물관을 비롯한 다른 문화 기관들과 매우 밀접하게 협동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대학교들은 대부분 거대한 소요지와 무한한 잠재적 부를 지니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도시 자체 내에 거대한 문화적 자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필요로 하는 것은 자신의 기회와 잠재 가능성을 깨닫는 것이다. 즉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철학과 교양이다. 우리가 끊임없이 쌓아야 하는 교양공부 중의 하나는 언어인 것 같다. 언어는 학생들이 책이나 대화를 실제로 즐길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할 만큼 하기 위하여서도 충분히 오랜 시간 동안 학습되어야 한다.
결국 대학이 갖추어야할 이상적인 분위기는 도시적인 주위 환경과 우리의 과장 없는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비겁하지 않는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조화일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
'평생교육'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형이상학파 시
교회의 사회봉사에 관한 고찰
계층분석과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이해와 적용
동성애에 대한 신약적 고찰
노인광고의 이미지와 노년층 광고모델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
Philip Larkin
Romeo and Juliet에 나타난 두 형태의 사랑
모바일 인터넷 놀이문화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연구의 이론
종교개혁기의 교육활동, 종교개혁기 카톨릭의 반성과 교육운동, 종교개혁기 루터 교육사상,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