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화이트헤드의 철학(생성의 문제와 존재의 문제)
Ⅲ. 화이트헤드의 철학(생성의 원자론)
Ⅳ. 화이트헤드의 철학(지각론)
Ⅴ. 화이트헤드의 우주론과 불교의 우주론 비교
Ⅵ.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대한 평가
Ⅶ. 결론
참고문헌
Ⅱ. 화이트헤드의 철학(생성의 문제와 존재의 문제)
Ⅲ. 화이트헤드의 철학(생성의 원자론)
Ⅳ. 화이트헤드의 철학(지각론)
Ⅴ. 화이트헤드의 우주론과 불교의 우주론 비교
Ⅵ.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대한 평가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책을 모색하고 있는 반면에 불교는 종교적인 관점에서 세계의 문제를 설명하면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Ⅵ.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대한 평가
화이트헤드(Alfread North Whitehead 1861-1947)는 철학사와 신학사를 넘어서서 장구한 인류 지성사의 빛나는 보고(寶庫)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화이트헤드에 대한 다음과 같은 평가는 그가 인류 지성사에 얼마나 큰 획을 기록 하였는지를 알게 해 준다.
김경재 교수는 화이트헤드를 \"고도의 전자현미경과 같은 정밀한 분석력으로 이 세계를 파해친 천재\"라고 하였다. 김상일 교수는 화이트헤드를 \"20세기 최대의 지성을 갖춘 인물로, 20세기의 그 어느 누구도 방대한 그의 학문 능력을 현재로서는 능가할 수 없다\"고 하였다. 동양철학자 김용옥 은 \"화이트헤드는 21세기의 붓다다. 안타깝게도 서양인들은 그를 쳐다볼 눈이 없다\"고 하였다.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를 번역한 연세대학교 오영환 교수는 \"20세기는 수학과 철학의 분야에 서 화이트헤드를 능가할 만한 인물은 낳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다. 미국의 과정철학자이며 신학 자인 찰스 하트숀(Charles Hartshorne)은 \"금세기에 있어서 형이상학자로서의 화이트헤드를 능가 할 사람은 없으며, 어쩌면 그와 견줄 만한 경쟁자도 없는 것 같다. 개념의 명료성이나 우리의 전 체적인 지적 상황에 대한 적합성에 있어서 화이트헤드에 대등할 만한 이는 없어 보인다\"고 말하였다. 또한 과정신학자 존 캅(John B. Cobb, Jr.)은 인류역사의 창조적 사상가로서 플라톤, 아리 스토텔레스, 칸트, 그리고 마지막으로 화이트헤드라고 평가하였다.
Ⅶ. 결론
생성은 새로운 단위 존재의 출현 과정이다. 그것은 다양한 유형의 가능태를 세계 속에 끌어들여 현실화시켜 가는 미시적 과정이다. 그리고 세계는 이런 미시적 단위 존재들로 구성되는 거시적 과정이다. 과정철학은 전자를 진정한 의미의 존재인 현실적 계기로, 후자를 이에 근거하는 파생적 존재인 결합체 내지 사회로 각각 범주에 속한다. 하지만 합생 내의 여러 위상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존재론적 기술은 결합체라는 범주에 의해 보완되면서, 전통적으로 인식론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온 온갖 개념과 쟁점들에 대한 해명의 작업을 포섭하고 있다. 과정철학에서 존재와 인식의 연계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술어는 지각(perception)이라는 말이다. 화이트헤드가 사용하는 지각이라는 말은, 주체가 그 객체를 받아들여 자기를 구성하는 활동을 일컫는 존재론적 범주인 파악을 인식론적 문맥에서 대신하는 비범주적 술어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화이트헤드에게 있어 지각은 완결된 주체가 갖는 객체 인식의 통로가 아니라 합생하는 주체가 갖는 자기 구성활동, 즉 객체를 자기화하는 존재론적 활동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그의 지각론 전체는 합생의 여러 위상에서 나타나는 파악, 즉 느낌들을 인식론적 술어로 분석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인식과 존재 사이의 범주적 구별에 사라진다는 것도 이런 의미에서이다. 지각작용과 존재의 자기구성 활동이 범주적으로 구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상일 - 화이트헤드와 동양철학, 서울 : 서광사, 1993
강영계 - 철학의 이해, 서울 : 박영사, 1995
도올·김용옥 - 이성의 기능,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통나무, 1998
렘프레히트 -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1992
박영식 - 서양철학사의 이해, 철학과 현실사, 2000
이상훈 - 화이트헤드의 존재 개념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96
토마스 호진스키 - 화이트헤드 철학 풀어 읽기, 2003
Ⅵ.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대한 평가
화이트헤드(Alfread North Whitehead 1861-1947)는 철학사와 신학사를 넘어서서 장구한 인류 지성사의 빛나는 보고(寶庫)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화이트헤드에 대한 다음과 같은 평가는 그가 인류 지성사에 얼마나 큰 획을 기록 하였는지를 알게 해 준다.
김경재 교수는 화이트헤드를 \"고도의 전자현미경과 같은 정밀한 분석력으로 이 세계를 파해친 천재\"라고 하였다. 김상일 교수는 화이트헤드를 \"20세기 최대의 지성을 갖춘 인물로, 20세기의 그 어느 누구도 방대한 그의 학문 능력을 현재로서는 능가할 수 없다\"고 하였다. 동양철학자 김용옥 은 \"화이트헤드는 21세기의 붓다다. 안타깝게도 서양인들은 그를 쳐다볼 눈이 없다\"고 하였다. 화이트헤드의 {과정과 실재}를 번역한 연세대학교 오영환 교수는 \"20세기는 수학과 철학의 분야에 서 화이트헤드를 능가할 만한 인물은 낳지 못했다\"고 평가하였다. 미국의 과정철학자이며 신학 자인 찰스 하트숀(Charles Hartshorne)은 \"금세기에 있어서 형이상학자로서의 화이트헤드를 능가 할 사람은 없으며, 어쩌면 그와 견줄 만한 경쟁자도 없는 것 같다. 개념의 명료성이나 우리의 전 체적인 지적 상황에 대한 적합성에 있어서 화이트헤드에 대등할 만한 이는 없어 보인다\"고 말하였다. 또한 과정신학자 존 캅(John B. Cobb, Jr.)은 인류역사의 창조적 사상가로서 플라톤, 아리 스토텔레스, 칸트, 그리고 마지막으로 화이트헤드라고 평가하였다.
Ⅶ. 결론
생성은 새로운 단위 존재의 출현 과정이다. 그것은 다양한 유형의 가능태를 세계 속에 끌어들여 현실화시켜 가는 미시적 과정이다. 그리고 세계는 이런 미시적 단위 존재들로 구성되는 거시적 과정이다. 과정철학은 전자를 진정한 의미의 존재인 현실적 계기로, 후자를 이에 근거하는 파생적 존재인 결합체 내지 사회로 각각 범주에 속한다. 하지만 합생 내의 여러 위상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존재론적 기술은 결합체라는 범주에 의해 보완되면서, 전통적으로 인식론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온 온갖 개념과 쟁점들에 대한 해명의 작업을 포섭하고 있다. 과정철학에서 존재와 인식의 연계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술어는 지각(perception)이라는 말이다. 화이트헤드가 사용하는 지각이라는 말은, 주체가 그 객체를 받아들여 자기를 구성하는 활동을 일컫는 존재론적 범주인 파악을 인식론적 문맥에서 대신하는 비범주적 술어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화이트헤드에게 있어 지각은 완결된 주체가 갖는 객체 인식의 통로가 아니라 합생하는 주체가 갖는 자기 구성활동, 즉 객체를 자기화하는 존재론적 활동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그의 지각론 전체는 합생의 여러 위상에서 나타나는 파악, 즉 느낌들을 인식론적 술어로 분석해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인식과 존재 사이의 범주적 구별에 사라진다는 것도 이런 의미에서이다. 지각작용과 존재의 자기구성 활동이 범주적으로 구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상일 - 화이트헤드와 동양철학, 서울 : 서광사, 1993
강영계 - 철학의 이해, 서울 : 박영사, 1995
도올·김용옥 - 이성의 기능,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통나무, 1998
렘프레히트 -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1992
박영식 - 서양철학사의 이해, 철학과 현실사, 2000
이상훈 - 화이트헤드의 존재 개념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96
토마스 호진스키 - 화이트헤드 철학 풀어 읽기, 2003
추천자료
프롬 아이젱크 유형론, 올포트 특질론, 5대요인
[유아발달][유아발달이론][유아지각발달][유아지식발달][유아성심리발달][정서발달][사회성발...
가족은 개인에게 필요한 존재인지 생각해 보고 왜 필요한지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기술(가...
말과 글 - 욕망이론으로 본 현대광고-광고카피 <헤드라인>의 10가지 유형 및 실제 광고
[영유아기][지각발달][성장발달][신체운동기능][치아관리]영유아기의 지각발달, 영유아기의 ...
[관광행동] 관광자행동론 및 관광경험과 관광자 만족
생물학적 노화이론(유전적 노화이론, 비유전적 세포이론, 면역이론)
나의 성격을 정신장애이론과 비교 후 스트레스 대처요법과 정신건강론을 배우면서 느낀 점
카스맥주 - 카스마케팅카스마케팅전략,카스기업분석,맥주시장,맥주시장분석,맥주시장마케팅,...
국제관계의_제이론,세력균형,상호의존론,패권안정이론
[노인복지론] 생물학적 노화이론(유전적 노화이론, 비유전적 세포이론, 면 이론)
인지란,인지발달이란,피아제의 인지발달론,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피아제의 인지발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개인심리이론 ( 발생배경, 열등감과 보상, 우월에 대한 추구, 생활양...
심리학개론]지각의 오류 중 후광효과와 투영효과 그리고 대조효과의 개념을 서술하고, 실생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