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사(인사예절)의 순서
Ⅲ. 인사(인사예절)의 9용태(九容態)
Ⅳ. 인사(인사예절)의 방식
Ⅴ. 인사(인사예절)의 바른 방법
Ⅵ. 인사(인사예절)와 경례
1. 큰경례(정중례)
2. 보통경례(일상례)
3. 거수경례(제복례)
4. 목례(약례)
Ⅶ. 인사(인사예절)와 악수
Ⅷ. 인사(인사예절)와 절
1. 평절
1) 남자
2) 여자
2. 큰절
1) 혼례시 교배할 때, 폐백 드릴 때, 헌수드릴 때
2) 제사, 상사 때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인사(인사예절)의 순서
Ⅲ. 인사(인사예절)의 9용태(九容態)
Ⅳ. 인사(인사예절)의 방식
Ⅴ. 인사(인사예절)의 바른 방법
Ⅵ. 인사(인사예절)와 경례
1. 큰경례(정중례)
2. 보통경례(일상례)
3. 거수경례(제복례)
4. 목례(약례)
Ⅶ. 인사(인사예절)와 악수
Ⅷ. 인사(인사예절)와 절
1. 평절
1) 남자
2) 여자
2. 큰절
1) 혼례시 교배할 때, 폐백 드릴 때, 헌수드릴 때
2) 제사, 상사 때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른 손을 위로 두 손을 반쯤 겹치게 하여 어깨 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다)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붙인다.
라) 왼 무릎을 꿇은 후, 오른 무릎을 꿇어 깊이 내려앉는다.
마) 윗몸을 반쯤 굽혀 절한다.(2초 정도 머무름)
바)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오른발, 왼발의 순서로 일어선다.
사) 재배한 후 수평으로 올렸던 두 손을 허리 높이로 내려 공수하여 선다.
2) 제사, 상사 때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가짐으로 한다.
(1) 남자
가) 왼손을 위로 하여 공수한다.
나) 공수한 손을 자연스럽게 턱 높이로 들었다가 바닥에 내리며 평절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2초 정도 머무름)
다) 몸을 일으키면서 두 손을 모아 가슴에 대고 턱 높이로 들었다가 다시 절한 후 공수한 자세로 한두 걸음 뒤로 물러선다.
라) 문상 때는 고인의 영좌를 향해 오른손을 위로 공수하고 제사 때의 큰절로 재배한 후, 상주와 맞절(평절)을 하고 인삿말을 나눈다.
(2) 여자
가) 오른손을 위로 두 손을 반쯤 겹치게 하여 어깨 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나)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붙인다.
다) 왼 무릎, 오른 무릎의 순서로 꿇어 깊이 내려앉는다.
라) 윗몸을 깊이 숙여 절한다.( 2초 정도 머무름)
마) 윗몸을 일으켜 오른발, 왼발의 순서로 일어선다.
바) 4배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2배를 하기도 한다.
사) 두 손을 원 위치로 내려 공수하여 선다.
아) 문상 때는 고인의 영좌를 향해 왼손을 위로 공수하고 제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큰절을 한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인삿말을 나눈다.
Ⅸ. 결론
인사는 상대편에게 존경하고 기쁘게 해주는 표시이다. 우리가 전연 모르는 상점이나 식당에 들어갔을 때, 주인이나 안내하는 사람이, “어서 오십시오”
“감사하다. 안녕히 가세요.”
하고 공손히 인사를 하면 매우 기분이 좋다.
그런데 인사는 반드시 예의바르게 해야 한다. 그저 건성으로 마지 못해하거나, 장난삼아 하는 인사는 받아서 기분이 좋기는커녕 오히려 불쾌해지는 수도 있다. 어떤 음식점이나 백화점에서는 손님을 끌기 위하여 서부 활극에 나오는 카우보이 같은 야단스런 옷차림을 한 안내자를 문 앞에 세워 놓았는데. 그 안내자가 몹시 경망스럽고 이상한 몸짓으로,
“어서 옵쇼!”
“어서 갑쇼!”
하고 소리를 지르면, 오히려 손님들은 불쾌해서 딴 곳으로 가 버리기도 한다. 인사란 사람에 따라, 그리고 때에 따라 곳에 따라 다르게 해야 한다. 상을 받거나, 졸업을 하거나 하는 기쁜 일을 맞이하는 사람에게는, “이번에 큰상을 받으셔서 기쁘시겠습니다. 정말 축하드립니다.”
“형, 졸업을 축하해”
하고 기쁨을 주는 인사를 해야 된다.
병을 앓는 사람에게는 속히 완쾌되도록 위로와 용기를 주는 말을 해야 한다.
자기 집에 찾아온 손님에게는
“어서 오세요.”
“찾아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고 인사를 하고, 돌아가는 손님에게는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 가세요.”
이렇게 인사를 합니다.
위의 이야기는 김완기 선생님께서 만드신 ‘예절 바른 어린이“라는 책의 내용이다.
어린이 여러분 이렇게 인사는 상황이나 때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그리고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예의바른 인사가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줄 수 있다. 지금도 여러분들이 인사를 잘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계속 바른 인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
참고문헌
류탁영, 예절의 기본틀, 석정출판사
박명옥·최배영(2004), 테마가 있는 예절이야기
박동오(1994), 현대인의 예절, 창우사
정태윤(1999), 생활예절, 정
조관일(1994), 어린이 예절백과, 바른사
홍남석(1990), 현대인의 생활예절, 도서출판 세세
다)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붙인다.
라) 왼 무릎을 꿇은 후, 오른 무릎을 꿇어 깊이 내려앉는다.
마) 윗몸을 반쯤 굽혀 절한다.(2초 정도 머무름)
바)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오른발, 왼발의 순서로 일어선다.
사) 재배한 후 수평으로 올렸던 두 손을 허리 높이로 내려 공수하여 선다.
2) 제사, 상사 때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가짐으로 한다.
(1) 남자
가) 왼손을 위로 하여 공수한다.
나) 공수한 손을 자연스럽게 턱 높이로 들었다가 바닥에 내리며 평절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2초 정도 머무름)
다) 몸을 일으키면서 두 손을 모아 가슴에 대고 턱 높이로 들었다가 다시 절한 후 공수한 자세로 한두 걸음 뒤로 물러선다.
라) 문상 때는 고인의 영좌를 향해 오른손을 위로 공수하고 제사 때의 큰절로 재배한 후, 상주와 맞절(평절)을 하고 인삿말을 나눈다.
(2) 여자
가) 오른손을 위로 두 손을 반쯤 겹치게 하여 어깨 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린다.
나)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붙인다.
다) 왼 무릎, 오른 무릎의 순서로 꿇어 깊이 내려앉는다.
라) 윗몸을 깊이 숙여 절한다.( 2초 정도 머무름)
마) 윗몸을 일으켜 오른발, 왼발의 순서로 일어선다.
바) 4배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2배를 하기도 한다.
사) 두 손을 원 위치로 내려 공수하여 선다.
아) 문상 때는 고인의 영좌를 향해 왼손을 위로 공수하고 제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큰절을 한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인삿말을 나눈다.
Ⅸ. 결론
인사는 상대편에게 존경하고 기쁘게 해주는 표시이다. 우리가 전연 모르는 상점이나 식당에 들어갔을 때, 주인이나 안내하는 사람이, “어서 오십시오”
“감사하다. 안녕히 가세요.”
하고 공손히 인사를 하면 매우 기분이 좋다.
그런데 인사는 반드시 예의바르게 해야 한다. 그저 건성으로 마지 못해하거나, 장난삼아 하는 인사는 받아서 기분이 좋기는커녕 오히려 불쾌해지는 수도 있다. 어떤 음식점이나 백화점에서는 손님을 끌기 위하여 서부 활극에 나오는 카우보이 같은 야단스런 옷차림을 한 안내자를 문 앞에 세워 놓았는데. 그 안내자가 몹시 경망스럽고 이상한 몸짓으로,
“어서 옵쇼!”
“어서 갑쇼!”
하고 소리를 지르면, 오히려 손님들은 불쾌해서 딴 곳으로 가 버리기도 한다. 인사란 사람에 따라, 그리고 때에 따라 곳에 따라 다르게 해야 한다. 상을 받거나, 졸업을 하거나 하는 기쁜 일을 맞이하는 사람에게는, “이번에 큰상을 받으셔서 기쁘시겠습니다. 정말 축하드립니다.”
“형, 졸업을 축하해”
하고 기쁨을 주는 인사를 해야 된다.
병을 앓는 사람에게는 속히 완쾌되도록 위로와 용기를 주는 말을 해야 한다.
자기 집에 찾아온 손님에게는
“어서 오세요.”
“찾아와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고 인사를 하고, 돌아가는 손님에게는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 가세요.”
이렇게 인사를 합니다.
위의 이야기는 김완기 선생님께서 만드신 ‘예절 바른 어린이“라는 책의 내용이다.
어린이 여러분 이렇게 인사는 상황이나 때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그리고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예의바른 인사가 다른 사람에게 기쁨을 줄 수 있다. 지금도 여러분들이 인사를 잘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계속 바른 인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
참고문헌
류탁영, 예절의 기본틀, 석정출판사
박명옥·최배영(2004), 테마가 있는 예절이야기
박동오(1994), 현대인의 예절, 창우사
정태윤(1999), 생활예절, 정
조관일(1994), 어린이 예절백과, 바른사
홍남석(1990), 현대인의 생활예절, 도서출판 세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