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남염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남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담낭염이란
☞ 증상
 A. 만성담낭염
 B. 급성 담낭염
☞ 담낭염이 발생할수 있는 위험인자
☞ 합병증
☞ 진단
☞ 치료법
☞ 원인
☞ 증상
☞ 진단
☞ 치료
☞ 간내(intrahepatic) 담석의 치료
☞ 예방

-----------------------------------------------------
1) 발작시의 증상
1.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2.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titis)
3.췌장암 (pancreatic carcinoma)

본문내용

며 또한 뱃 속이 팽창한다고 하는 등 복부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호소를 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간헐기의 증상(그림 2-6)도 없고 복통이 씻은듯이 가라앉는 경우도 제법 있다. 그러나 의사에게 문의하지 않는다는 것은 위험하다. 왜냐하면 증상이 담석에 의한 복통처럼 보여도 급성췌장염이나 십이지장궤양에 의한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깨끗이 가라앉았다고 생각되는 경우라도 병원에 가서 그것이 무엇에 의한 통증이었는 지를 검사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1.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⑴ 원인
가장 많은 것이 담석과 알콜 섭취이다. 그러나 원인불명인 것도 적지 않다.
⑵ 증상
갑자기 상복부통이 시작되고 격통을 호소한다. 아픔은 등으로 방산된다. 발열, 구토가 있고 쇼크가 되는 수도 있다. 황달이 출혈하고 췌부에 압통이 있다. 정신증상을 나타내는 수도 있다.
⑶ 진단
검사에는 혈중 및 요중 아밀라아제리파아제트립신의 상승과, amylase-creatinine clearance 비율의 상승이 중요하다.
⑷ 치료
증증도를 판정하여 전신관리를 충분히 행한다. 경과가 빠르고 사망률도 높은 질환이다.
① 체외분비의 억제를 꾀한다
절식하고 수분의 섭취도 금한다. 위관을 통해 위액을 흡인한다.
② 진통제
③ 항효소요법 : 항트립신제
④ 체액, 전해질의 보완
⑤ 감염의 예방
⑥ 수술적응
다른 급성복증을 제외할 수 없을 경우 / 출혈성 괴사췌염으로 복강내배액을 필요로 할 경우 / 췌농양이 있을 경우
⑦ 식사요법
처음 수일은 절식한다. 이어서 증상이 좋아지면 미음, 과즙에서 시작하여 3일마다 엷은 죽을 거쳐 정상으로 돌아간다. 두부, 된장국, 어육, 닭고기 등을 소량으로 섭취케 하지만 지방제한은 장기간 계속해야 한다.
2.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titis)
⑴ 개념
급성 췌장염과는 달리 비가역성의 조직변화, 임상적인 기능변화를 남기는 것을 말한다.
① 조직학적인 진단이 분명하고,
② X 선상 pancrease 의 확실한 석회화
③ 췌장액 외분비 기능검사에서 이상을 보이는 것 들 중 1가지만 있으면 임상적으로 만성 췌장염으로 진단된다.
⑵ 원인
알코올을 많이 마시거나 담도질환, 급성 췌장염의 만성화 등이 원인이 되는 일이 많다.
⑶ 증상
상복부통, 우계륵부통, 배부통이 있으며 배와위에서 고통이 심하고, 전굴자세로 가벼워진다. 알콜, 지방식 섭취 후에 심해진다. 정신증상이 강한 예도 있다.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을 보이며 진행하면 지방성 설사 증상을 보인다.
⑷ 진단
검사에는 혈중요중 아밀라아제의 상승을 나타내는 일이 많으나 급성 췌장염의 경우만큼 높지 않다. 이자액 외분비기능검사, 지방흡수시험에서 이상을 보이는 일이 많다. 내당력의 이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단순 복부 X선 사진으로 이자에 일치한 석회화가 나타난다.
⑸ 치료
치료에는 고칼로리고단백저지방식(low fat diet) 의 식이요법이 원칙이며, 알코올 섭취를 금지해야 한다. 진통제이자효소제비타민제 등의 약물요법이 주치료이며, 췌장낭종췌장농양췌관폐쇄가 있는 증례는 외과수술을 필요로 하는 일이 있다.
3.췌장암 (pancreatic carcinoma)
⑴ 개념 : 세계적으로 췌암은 증가하고 있다. 진단방법도 발전하고 있으며 췌암의 조기발견이 바람직하다.
⑵ 원인 : 밝혀지지 않았으며 남자에 많다.
⑶ 증상 : 초기엔 거의 증상이 없다. 고전적인 세가지 징후는 동통, 체중감소, 황달이지만 이것은 제법 진행된 암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췌두부암이라면 무통성의 담낭종대 (Couvoisier 징후)를 볼 수 있다.
⑷ 진단 : 복통황달체중감소 등과 피와 오줌 속에 높은 값으로 나타나는 amylase,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의 이상, 상부의 소화관 조영으로 십이지장창(duodenal fenestra) 이 크게 열려 있는 점 등으로 췌장암을 의심할 수 있다. 이어서 복부 초음파검사 또는 CT 를 행하여 이상이 인지되는 경우에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RCP)복부혈관 조영법과 에코 가이드에 의해서 흡인한 세포를 진단하는 것으로 진단을 확정한다.
⑸ 치료
외과수술이 원칙이나, 대개 늦게 발견되어 수술 등 국소적인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근치적인 적출수술을 한 경우에도 15% 정도가 5년 생존률을 보인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을 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