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 공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적 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耐久性)
콘크리트 블록에 철근을 보강하면 수평, 수직하중에도 내구정이 크다.
⑵ 내화성(耐火性)
콘크리트블록은 불연재료 이므로 화재(火災)에 내력이 크고, 자체 연소성(燃燒性)이 전혀없고, 방화상(防火上)아주 유리하다.
⑶ 거주성(居住性)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기온의 변화에 따른 실내 습도의 변화가 아주 적으므로, 쾌적한 환경이 요구되는 주택건축에 적당한 구조가 된다.
⑷ 소음방지(騷音防止)
블록조의 벽체는 목조건물(木造建物)의 벽체에 비하여 음향차단(音響遮斷) 효과가 크다.
3. 재 료
(1) 시멘트에 모래, 왕모래, 잔자갈 등을 섞어 진동, 가압하여 성형한 것
(2) 성형후 500도시(度時)이상, 습도 100%에 가까운 상태로 둔 다음 통산 4000度時이상 다습상태에서 보양하고, 그 후 7일 이상 경과 후 사용
(3) 비중이 1.8이상은 중량블록, 그 이하는 경량블록이라 한다.
(4) 압축강도가 80㎏f/㎠이상이면 1급, 60㎏f/㎠이상은 2급, 40㎏f/㎠이상을 3급으로 구분
4. 블록의 종류
(1)속빈시멘트블록
형 상
치 수
허 용 치
길 이
높 이
두 께
길 이 두 께
높 이
기 본 블 록
390
190
210
190
150
100
± 2
± 3
이 형 블 록
길이 높이 및 두께의 최소 크기를 90mm이상으로 한다. 또 가로근 삽입블록, 모서리블록과 같이 기본블록과 동일한 크기인 것의 치수 및 허용치는 기본블록에 따른다.
(2)치장콘크리트블록
4. 블록 쌓기 일반사항
(1) 살두께가 두꺼운 편이 위로가게 하여 쌓는다.
(2) 하루쌓기 높이는 1.2~1.5m(6~7켜)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3) 줄눈은 막힌 줄눈으로 하고, 줄눈두께는 10mm가 되게 한다.
(4) 직교하는 벽은 통줄눈으로 하고 줄눈에 철근 또는 철망을 넣어 보강하도록 한다.
(5) 블록은 모르터 접촉면에만 물을 축인다.
5.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공사
(1) 단순조적 블록조와 같은 방법으로 블록공사를 하되 블록의 빈속을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내력벽 또는 이에 준하는 장막벽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2) 철근은 보통 원형철근을 이용하고, 결속선은 0.8mm(BWG #21)이상의 철선을 달구어 사용
한다.
(3) 보강블록조는 원칙적으로 통줄눈쌓기로 한다.
보강블록쌓기 배근법
석 구 조
1. 석구조의 개요
돌구조(stone construction)는 돌을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한 일종의 조적식 구조이다.
예전에는 석재만으로 벽체를 만든 순수석조가 많았지만 최근에 와서는 석재로만 쌓는 경우
는 극히 드물고 대개 뒷벽에 벽돌 또는 콘크리트의 벽체와 일체로 축조하거나 붙여 쌓는다.
현재 건축용 석재는 대부분이 표면마감재, 즉 장식재로 사용되고 있는 형편이고 철근콘크리
트 또는 철골조의 고층건축물의 벽체에 붙여 외장용으로 사용되며, 창문 갓둘레. 외부계단
등의 특수부분이나 외부에 장식적 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용될때가 많다.
2. 석구조의 장단점
⑴ 장점
① 외관이 장중하고 미려하다.
② 방한, 방서적이다.
( 석재는 비열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서 방한, 방서적이다.)
③ 내구 내화적이다.
( 석재는 녹는점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다 )
④ 마모, 풍화에 손색이 없다.
⑤ 매장량이 풍부하다.
⑵ 단점
① 벽체에 습기가 차기 쉽다.
( 석재는 공극이 큰 재료이므로 습수율이 높다. )
② 지진이나 횡력에 약하다.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1/20 ~ 1/40 정도이다 )
③ 가공이 어렵고 공기가 길다.
④ 운반, 채석상의 어려움으로 고가인 편이다.
( 중량이 무거운편. 자연상태 화강암 2600~2700㎏/㎥ )
3. 석재의 종류와 특성
(1)종류
① 화성암
ⓐ화강암(granite) : 강도 내마모성 빛깔 광택 흡수성이 작고 돌결이 치밀하며, 석질이
굳고 내구력이 있으며 큰 재료상태로 얻기 쉽고 가공시 아름다운
면을 가질수 있으나. 800℃ 이상의 열을 접하면 균열이 생기고 붕
괴하므로 세밀한 조각용으로는 부적합하며, 우리나라에는 많으며
구조용 장식용재이다.
ⓑ안산암(andesite) : 빛깔이 좋지 않고 광택이 나지 않으며, 큰 부재를 얻기가 힘들며,
가공성이 떨어지고 내화력은 화강암보다 크고 강도와 내구성이 크
므로 구조용재이며 국내의 분포가 많고 채색하기 쉬운 것이 특색이다.
ⓒ화산암 : 화산에서 분출된 암장이 급냉각하여 응고한 것으로, 내부에서 기체가 방출되
면서 다공질로 되어 있는 비중이 0.7정도의 경석이다. 내화도가 높은 다공질
로 경량골재나 내화재 등으로 사용된다.
ⓓ부석(pumice stone) : 경량이고 다공질인 것이 특색이며, 제주도의 돌은 대부분이 부
석이다.
② 수성암
ⓐ 점판암 (clay slate stone) : 진흙의 압력을 받아 응결한 것을 이판암이라 하고, 이것
이 더욱 큰 압력을 받아 변질, 경화한 것을 점판암이라
한다. 이것은 얇게 쪼개지므로 지붕재료로 쓰며 온돌의
구들장으로 쓴다.
ⓑ사암(sand stone) : 내구력이 안산암과 비슷하고 톱으로 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응회암(tufa) : 강도가 약하고 흡수율이 놓고 풍하 변색이 되기 쉽고 외관도 좋지 않
다. 연질 경량으로 채석이나 가공이 쉽기 때문에 많이 사용한다.
ⓓ석회석(serpentine) : 치밀하고 견고하나 내화성 내화학성이 없어 분해되어 분말로 된
다. 석재로는 도로포장용 자갈에 사용되며, 시멘트 및 석회 등의
주원료이다.
③ 변성암
ⓐ대리석(marble) : 장식용으로 무늬가 아름답고 연마하면 미려한 광택과 빛깔 무늬가 아
름다우며 조각용으로 우수하다. 산 및 열에 약하고 풍화 마멸 내구성
이 적으므로 외장용으로는 좋지 않다.
ⓑ사문석(serpentine) : 암갈색의 짙은 문양이 있어 판석으로 만들어 물갈기를 하면 광택
이 나는 부분 등에 특수한 장식효과를 내기 위하여 붙여 쓴다
⑵ 성질
내구 연수는 화강암·안산암이 200년이고, 대리석·사암은 50년이다.
내화성은 석영을 포함하는 것은 변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대리석도 800℃내외
에서 타서 생석회가 된다.
안산암·사암·응회암 등은 내화성이 강하고 1200℃정도의 화재에도 견딘다

키워드

조적,   조적공사,   조적 공사,   블록,   벽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4.1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