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광고언어와 광고
1. 광고의 목적
2. 광고의 기능
1) 정보 제공
2) 오락
3) 설득
4) 회상
5) 계속적인 재확인
6) 여타의 기업노력에 대한 지원
7) 가치의 부여
Ⅱ. 광고언어의 특징
Ⅲ. 광고언어의 텍스트 수용론
Ⅳ. 광고언어의 실제 표현법
1. 제품의 제시(Product presentation)
2. 실연(Demonstration)
1) 한크 사이덴(Hank Seiden)의 좋은 실연의 기준
2) 주요 유형
3. 문제해결(Problem solving)
4. 생활의 단면(Slice of life)
5. 해설(Narration)
6. 풍자(Satire)
7. 상징 또는 유사(Symbolism/ Analogy)
Ⅴ. 광고언어의 문법파괴현상
참고문헌
1. 광고의 목적
2. 광고의 기능
1) 정보 제공
2) 오락
3) 설득
4) 회상
5) 계속적인 재확인
6) 여타의 기업노력에 대한 지원
7) 가치의 부여
Ⅱ. 광고언어의 특징
Ⅲ. 광고언어의 텍스트 수용론
Ⅳ. 광고언어의 실제 표현법
1. 제품의 제시(Product presentation)
2. 실연(Demonstration)
1) 한크 사이덴(Hank Seiden)의 좋은 실연의 기준
2) 주요 유형
3. 문제해결(Problem solving)
4. 생활의 단면(Slice of life)
5. 해설(Narration)
6. 풍자(Satire)
7. 상징 또는 유사(Symbolism/ Analogy)
Ⅴ. 광고언어의 문법파괴현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언어에 대한 문법적 지식이다. 이러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있는 언어학적 영역을 우리는 구조론이라고 부르며, 구조론은 제시된 것처럼 모든 언어학적 지식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구조론에서는 주로 주어와 동사의 일치문제, 단어의 배열문제, 문장의 종류 등을 다룬다. 그러나 언어의 문법적 구조와 관련하여 특별한 것은 광고언어의 의도적 문법파괴 행위이다. 광고언어의 문법파괴 현상은 크게 3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철자법과 관련된 문법파괴 유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 적으로 철자법을 오기하는 문법파괴 현상은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다. 먼저, 영국의 말더듬이 연구협회의 광고는 말을 더듬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철자법을 어기고 있다.
<사례 1> 영국 말더듬이 연구협회
If YOU FIND MY S-S-S-STAMMERING F-F-F-FRUSTRATES YOU, HOW DO YOU THINK F-F-F-FEEL?
만일 당신이 내가 말을 더-더-더-더듬거리는 것을 보고 기-기-기-기분이 언짢아진다면 당신 생각에 내 기분은 어-어-어-어떨 것 같습니까?
광고언어의 문법파괴에 있어서 두 번째 유형은 한글과 한자어(漢字語)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즉, 한글의 발음은 같지만 한자로 보면 뜻이 다른 한자 신조어를 의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의 <사례 2>의 곰바우 소주 광고는 \"이봐, 곰바우 무슨 水作을 한거야?\"라고 말하고 있다. 이 문장의 문맥상 \'수작\'은 일반적인 용도인 酬酌(부정적 의미)으로 해석되어야 마땅하지만, 여기서는 水作(물을 이용한 작업)이라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고 한글 대신 한자로 표기하고 있다. 소비자의 기대치의 허를 찌른 매우 절묘한 파격이라고 볼 수 있다. 광고의 본문에서도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천연 암반수로도 충분한데 그 물을 MC 공법(물을 자장 처리하는 첨단 공법)으로 처리했으니 이것이 바로 \'水作\' 이죠\"라고 사려 깊게 부연하고 있다.
<사례 2> 이봐, 곰바우 무슨 水作을 한거야? (곰바우 소주)
한편 <사례 3>는 소비자에게 익숙한 기존의 한자숙어를 의도적으로 변형시켜 자사제품의 우월성을 증명하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방식의 한자 신조어는 신문제목에서도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커, 통신망침입‥‥ 害 커\" , \'꽁꽁 언 한일 관계, 弗亂 이웃에 부채질\' 등의 문법에 맞지 않는 한자 신조어에 대해 신문윤리위원회는 \"비정상적인 신문제목이 신문의 품위를 크게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한자에 익숙치 못한 청소년에게 미치는 악영향도 크다\"며 경고하고 있다(바른언론).
<사례 3> 有유 備비 無무 夏하 미리미리 준비하면 더위가 없다? (삼성 에어컨하이쿨)
광고언어의 문법파괴의 세 번째 유형은 비표준어를 광고언어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례 4>는 \'반갑다\'는 뜻의 인터넷용어인 \'방가\' 와 함께 역시 인터넷에서 반갑다는 뜻을 나타내는 부호를 함께 사용하여 옛날에 사랑받던 포미콘이 다시 시장에 등장한 사실을 알리고 있다. <사례 5>도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표현을 광고에 이용하고 있다
<사례 4> 방가^_^ (포미콘)
<사례 5> 어솨요 ~ 속션-한 유닌 세상입니다
참고문헌
김완석, 광고 언어의 심리학, 새국어생활, 1992
박영준 외, 광고언어연구, 박이정, 2003
신문, 광고의 문체와 표현, 집문당, 1998
이현우, 광고와 언어,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8
임현, 국어 교육에 있어서 광고언어 활용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전병용, 광고와 언어, 전병용, 글로벌, 1999
첫째로, 철자법과 관련된 문법파괴 유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 적으로 철자법을 오기하는 문법파괴 현상은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다. 먼저, 영국의 말더듬이 연구협회의 광고는 말을 더듬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철자법을 어기고 있다.
<사례 1> 영국 말더듬이 연구협회
If YOU FIND MY S-S-S-STAMMERING F-F-F-FRUSTRATES YOU, HOW DO YOU THINK F-F-F-FEEL?
만일 당신이 내가 말을 더-더-더-더듬거리는 것을 보고 기-기-기-기분이 언짢아진다면 당신 생각에 내 기분은 어-어-어-어떨 것 같습니까?
광고언어의 문법파괴에 있어서 두 번째 유형은 한글과 한자어(漢字語)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즉, 한글의 발음은 같지만 한자로 보면 뜻이 다른 한자 신조어를 의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의 <사례 2>의 곰바우 소주 광고는 \"이봐, 곰바우 무슨 水作을 한거야?\"라고 말하고 있다. 이 문장의 문맥상 \'수작\'은 일반적인 용도인 酬酌(부정적 의미)으로 해석되어야 마땅하지만, 여기서는 水作(물을 이용한 작업)이라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고 한글 대신 한자로 표기하고 있다. 소비자의 기대치의 허를 찌른 매우 절묘한 파격이라고 볼 수 있다. 광고의 본문에서도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천연 암반수로도 충분한데 그 물을 MC 공법(물을 자장 처리하는 첨단 공법)으로 처리했으니 이것이 바로 \'水作\' 이죠\"라고 사려 깊게 부연하고 있다.
<사례 2> 이봐, 곰바우 무슨 水作을 한거야? (곰바우 소주)
한편 <사례 3>는 소비자에게 익숙한 기존의 한자숙어를 의도적으로 변형시켜 자사제품의 우월성을 증명하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방식의 한자 신조어는 신문제목에서도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커, 통신망침입‥‥ 害 커\" , \'꽁꽁 언 한일 관계, 弗亂 이웃에 부채질\' 등의 문법에 맞지 않는 한자 신조어에 대해 신문윤리위원회는 \"비정상적인 신문제목이 신문의 품위를 크게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한자에 익숙치 못한 청소년에게 미치는 악영향도 크다\"며 경고하고 있다(바른언론).
<사례 3> 有유 備비 無무 夏하 미리미리 준비하면 더위가 없다? (삼성 에어컨하이쿨)
광고언어의 문법파괴의 세 번째 유형은 비표준어를 광고언어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례 4>는 \'반갑다\'는 뜻의 인터넷용어인 \'방가\' 와 함께 역시 인터넷에서 반갑다는 뜻을 나타내는 부호를 함께 사용하여 옛날에 사랑받던 포미콘이 다시 시장에 등장한 사실을 알리고 있다. <사례 5>도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표현을 광고에 이용하고 있다
<사례 4> 방가^_^ (포미콘)
<사례 5> 어솨요 ~ 속션-한 유닌 세상입니다
참고문헌
김완석, 광고 언어의 심리학, 새국어생활, 1992
박영준 외, 광고언어연구, 박이정, 2003
신문, 광고의 문체와 표현, 집문당, 1998
이현우, 광고와 언어,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8
임현, 국어 교육에 있어서 광고언어 활용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전병용, 광고와 언어, 전병용, 글로벌, 1999
추천자료
[신문방송]대학광고물 사례를 통한 대학광고유형 분석
광고분석 하기
(포스트모더니즘,광고)광고의 기능과 포스트모더니즘
광고와 여성
광고관련서적 독후감
광고의 성 역할 고정관념
공익광고의 감추어진 폭력성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광고][포스트모더니즘 시]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
[방통대 광고기획제작]광고카피의 정의와 특성 그리고 효과적인 제작방법 및 유의사항
광고의 정의와 사례분석
광고,시에서의 인칭대명사와 호칭사용 조사.
[부정, 부정적 제품평가, 부정적 비교광고수준, 부정적 정보유형, 부정적 구전커뮤니케이션, ...
[구전, 구전예언, 구전서사시, 구전소설, 구전광고, 구전커뮤니케이션]구전과 구전예언, 구전...
공익광고가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