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속적인 경련성 자궁수축을 자극하므로 태아를 분만하기 전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부작용으로 혈압상승작용이 있기 때문에 고혈압산부에게는 사용할 수 없으며, 정맥 주사시 두통이나 약간의 흉통, 심계항진,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
2. 고위험분만과 관련하여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parity 관련하여
a. high parity란 무엇인가? <고위험 분만>
정상분만이 어려운 고위험 분만은
① 분만의 다섯요소(passenger, passage way, power, psycholosical factor, position; 산모의 5P)에 문제가 있는 난산
② 정상임신기간보다 일찍 진통이 발생하는 조기분만
③ 정상기간보다 늦게 진통이 발생하는 과숙분만
등이 있다.
b.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이란 무엇인가? <조기파막>
① 정의 :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파수되는 것을 말한다.(분만시 주수는 38~40주로 정상임)
② 원인 : 구체적인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경관무력증, 선진분의 늦은 진입, 자궁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많은 연령, 다산부, 흡연모, 조산, 임신 중 저체중 증가 등과 관련된다.
③ 증후 : 파막된 후 24시간 이내에 89~90%가 분만을 시작하게 된다.
c. chronic hypertensive disease이란 무엇인가?<만성 고혈압>
① 정의 : 임신 전 있었던 고혈압이 임신 후에도 계속 지속됨
② 특징 : 임신 전 혈압이 140/90mmHg이상이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있거나 산후 6주까지 고혈압이 지속되는 경우
③ 원인 : 혈관 질환이나 신장질환, 당뇨병과 연관되며 경산부와 30세 이후의노산부에게 흔히 나타난다.
d. large fetus란 무엇인가? <거대아>
① 거대아(giant baby)
ⓐ 정의 : 태아의 몸무게가 4,500gm이상 될 때
ⓑ 원인 : 대부분 모체가 당뇨병인 경우가 많으며 다산부에게서도 가능함, 원래 대대로 덩치가 큰 집안, 거대아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크다
ⓒ 영향 : 산부에게는 자궁근육섬유의 과다신전으로 자궁기능부전을 일으키기 쉬우며, 태아에게는 주산기 사망률이 증가하고, 쇄골골절 및 경부신경 마비가 초래될 수 있다.
② 임신성 당뇨로 인한 거대아
ⓐ 임신 중반기 이후 임부의 췌장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인슐린을 충분히 방출하지 못할 때, 고혈당이 있으며, 혈당이 높으면 태아의 췌장에서도 인슐린의 방출요구가 높아진다. 이때 인슐린의 자극으로 태아세포내로 다량의 포도당이 이동하므로 태아는 거구증이 된다.
ⓑ 특징 : 이러한 신생아의 특징은 얼굴이 둥글고 토실토실 하여 쿠싱 증후군 환자 같은 형이며, 아두 골반 불균형(CPD)을 초래할 수 있다.
e. multiple pregnancy란 무엇인가? <다태임신>
① 정의 : 둘 이상의 태아를 임신하는 것으로 쌍태아 임신이 대부분이다.
② 종류 : 일란성 쌍태아(하나의 수정란이 발달 초기에 두 개의 배아형태로 분할), 이란성 상태아(두개의 난자에 각각 수정되어 성장)
③ 다태 임신의 문제점 : 쌍태아의 15%이상이 체중 2500g이하이고, 대부분 조산이며, 산모의 경우는 과도한 자궁증대로 힌한 자궁기능 부전에 빠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산후출혈이 올 수 있다.
2) Labor와 관련하여
a. premature labor란 무엇인가? <조기분만>
① 정의 : 임신 20주~37주 사이에 분만하는 것으로 조산을 말한다.
② 원인 : 연령(20세 이하, 40세 이상), 흡연, 코카인, 심리적 스트레스, 피료, 장시간의 근무, 영양부족, 당뇨, 고혈압, 무증후성 세균뇨 등의 감염, 양수과다증, 다태임신과 같은 자궁의 과도신장, 자궁의 기형, 자궁의 수술력, 조산력, 전치태방, 태반조기박리, 태아에 기형이 있을 때 등
b. persistent occiput posterior란 무엇인가? <후방후두위>
정상분만 시 태아의 선진부 및 태향은 ROA, LOA로 후두가 골반 앞에 붙어 있어 나올 때 45˚만 돌면된다, 그러나 후방후두위는 비정상으로 후두가 골반 뒤에 붙어 있어서 나올 때 135˚를 돌아야 한다. 따라서 분만시 통증이 많아 어렵다. 이럴 때 만일 자궁수축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태아의 크기가 보통 이상이면서 충분히 굴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전방으로 회전하지 못하면 횡경정지가 촐되기도 한다. 이럴 땐 제왕절개를 고려한다.
c. breech presentation란 무엇인가? <둔위>
① 정의 : 머리가 선진부여야 정상인데 엉덩이가 선진부인 경우로 태위는 임신 경과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임신 33주까지는 진단을 유보하는 것이 좋다.
② 원인 : 자궁의 기형, 자궁의 과다 신전, 태아 기형 등
③ 둔위의 종류 : 완전 둔위, 단둔위, 불완전 둔위
④ 정상위로 하기 위한 방법 : 외회전(둔위를 두위로 변경시키기 위해 초임부는 32주, 경임부는 34주에 손을 복부에 대고, 복부를 움직여 원위치로 태아를 돌리는 것)
3) Delivery와 관련하여
a. dystocia란 무엇인가? <난산>
① 정의 : 분만의 다섯요소(5P)인 태아, 만출력, 산도, 산부의 심리적 문제 및 자세이상으로 인해 분만 진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하며, 대개 분만이 지연되면서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② 분류 : 만출력 이상은 주로 자궁기능부전으로 나타나며, 태아이상의 경우는 태위, 태세 및 태아 발육이상이 원인이 되며 산도이상은 골반 및 연조직의 이상으로 나타나며, 그 외 공포와 불안의 산부의 심리이상, 산부의 비효과적인 자세 이상 등이다.
b. prolonged labor란 무엇인가? <분만의 지연>
① 정의 : 분만지연은 대부분 지연된 잠재기에서 나타나며, 이는 자궁의 고긴장성 기능부전에 의해 나타나기 쉽다.
② 예후 및 합병증 : 분만이 지연되면 분만 초기에 태아질식증후가 나타나며 자궁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면 태아저산소증이 되어질 수 있다. 만약 파막 후에 분만 지연이 계속되면 자궁내 감염 또한 고려해 보아야 한다.
③ 자궁이완시켜줌
c. laceration란 무엇인가? <산도의 열상>
① 정의 : 산부가 힘을 주어 태아가 만출될
2. 고위험분만과 관련하여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parity 관련하여
a. high parity란 무엇인가? <고위험 분만>
정상분만이 어려운 고위험 분만은
① 분만의 다섯요소(passenger, passage way, power, psycholosical factor, position; 산모의 5P)에 문제가 있는 난산
② 정상임신기간보다 일찍 진통이 발생하는 조기분만
③ 정상기간보다 늦게 진통이 발생하는 과숙분만
등이 있다.
b.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이란 무엇인가? <조기파막>
① 정의 :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파수되는 것을 말한다.(분만시 주수는 38~40주로 정상임)
② 원인 : 구체적인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경관무력증, 선진분의 늦은 진입, 자궁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많은 연령, 다산부, 흡연모, 조산, 임신 중 저체중 증가 등과 관련된다.
③ 증후 : 파막된 후 24시간 이내에 89~90%가 분만을 시작하게 된다.
c. chronic hypertensive disease이란 무엇인가?<만성 고혈압>
① 정의 : 임신 전 있었던 고혈압이 임신 후에도 계속 지속됨
② 특징 : 임신 전 혈압이 140/90mmHg이상이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있거나 산후 6주까지 고혈압이 지속되는 경우
③ 원인 : 혈관 질환이나 신장질환, 당뇨병과 연관되며 경산부와 30세 이후의노산부에게 흔히 나타난다.
d. large fetus란 무엇인가? <거대아>
① 거대아(giant baby)
ⓐ 정의 : 태아의 몸무게가 4,500gm이상 될 때
ⓑ 원인 : 대부분 모체가 당뇨병인 경우가 많으며 다산부에게서도 가능함, 원래 대대로 덩치가 큰 집안, 거대아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크다
ⓒ 영향 : 산부에게는 자궁근육섬유의 과다신전으로 자궁기능부전을 일으키기 쉬우며, 태아에게는 주산기 사망률이 증가하고, 쇄골골절 및 경부신경 마비가 초래될 수 있다.
② 임신성 당뇨로 인한 거대아
ⓐ 임신 중반기 이후 임부의 췌장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인슐린을 충분히 방출하지 못할 때, 고혈당이 있으며, 혈당이 높으면 태아의 췌장에서도 인슐린의 방출요구가 높아진다. 이때 인슐린의 자극으로 태아세포내로 다량의 포도당이 이동하므로 태아는 거구증이 된다.
ⓑ 특징 : 이러한 신생아의 특징은 얼굴이 둥글고 토실토실 하여 쿠싱 증후군 환자 같은 형이며, 아두 골반 불균형(CPD)을 초래할 수 있다.
e. multiple pregnancy란 무엇인가? <다태임신>
① 정의 : 둘 이상의 태아를 임신하는 것으로 쌍태아 임신이 대부분이다.
② 종류 : 일란성 쌍태아(하나의 수정란이 발달 초기에 두 개의 배아형태로 분할), 이란성 상태아(두개의 난자에 각각 수정되어 성장)
③ 다태 임신의 문제점 : 쌍태아의 15%이상이 체중 2500g이하이고, 대부분 조산이며, 산모의 경우는 과도한 자궁증대로 힌한 자궁기능 부전에 빠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산후출혈이 올 수 있다.
2) Labor와 관련하여
a. premature labor란 무엇인가? <조기분만>
① 정의 : 임신 20주~37주 사이에 분만하는 것으로 조산을 말한다.
② 원인 : 연령(20세 이하, 40세 이상), 흡연, 코카인, 심리적 스트레스, 피료, 장시간의 근무, 영양부족, 당뇨, 고혈압, 무증후성 세균뇨 등의 감염, 양수과다증, 다태임신과 같은 자궁의 과도신장, 자궁의 기형, 자궁의 수술력, 조산력, 전치태방, 태반조기박리, 태아에 기형이 있을 때 등
b. persistent occiput posterior란 무엇인가? <후방후두위>
정상분만 시 태아의 선진부 및 태향은 ROA, LOA로 후두가 골반 앞에 붙어 있어 나올 때 45˚만 돌면된다, 그러나 후방후두위는 비정상으로 후두가 골반 뒤에 붙어 있어서 나올 때 135˚를 돌아야 한다. 따라서 분만시 통증이 많아 어렵다. 이럴 때 만일 자궁수축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태아의 크기가 보통 이상이면서 충분히 굴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전방으로 회전하지 못하면 횡경정지가 촐되기도 한다. 이럴 땐 제왕절개를 고려한다.
c. breech presentation란 무엇인가? <둔위>
① 정의 : 머리가 선진부여야 정상인데 엉덩이가 선진부인 경우로 태위는 임신 경과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임신 33주까지는 진단을 유보하는 것이 좋다.
② 원인 : 자궁의 기형, 자궁의 과다 신전, 태아 기형 등
③ 둔위의 종류 : 완전 둔위, 단둔위, 불완전 둔위
④ 정상위로 하기 위한 방법 : 외회전(둔위를 두위로 변경시키기 위해 초임부는 32주, 경임부는 34주에 손을 복부에 대고, 복부를 움직여 원위치로 태아를 돌리는 것)
3) Delivery와 관련하여
a. dystocia란 무엇인가? <난산>
① 정의 : 분만의 다섯요소(5P)인 태아, 만출력, 산도, 산부의 심리적 문제 및 자세이상으로 인해 분만 진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하며, 대개 분만이 지연되면서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② 분류 : 만출력 이상은 주로 자궁기능부전으로 나타나며, 태아이상의 경우는 태위, 태세 및 태아 발육이상이 원인이 되며 산도이상은 골반 및 연조직의 이상으로 나타나며, 그 외 공포와 불안의 산부의 심리이상, 산부의 비효과적인 자세 이상 등이다.
b. prolonged labor란 무엇인가? <분만의 지연>
① 정의 : 분만지연은 대부분 지연된 잠재기에서 나타나며, 이는 자궁의 고긴장성 기능부전에 의해 나타나기 쉽다.
② 예후 및 합병증 : 분만이 지연되면 분만 초기에 태아질식증후가 나타나며 자궁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되면 태아저산소증이 되어질 수 있다. 만약 파막 후에 분만 지연이 계속되면 자궁내 감염 또한 고려해 보아야 한다.
③ 자궁이완시켜줌
c. laceration란 무엇인가? <산도의 열상>
① 정의 : 산부가 힘을 주어 태아가 만출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