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
■실험 장비
■실험 방법
■결과 및 분석
■액성/소성 한계시험의 고찰
■실험 장비
■실험 방법
■결과 및 분석
■액성/소성 한계시험의 고찰
본문내용
.364
수분 무게(g)
12.000
12.542
12.746
12.96
13.171
13.648
건조토 무게(g)
45
45
45
45
45
45
함수비, w(%)
26.67
27.87
28.32
28.80
29.27
30.33
Brass cup 낙하횟수(N)
44
30
25
18
16
11
액성한계(LL)
28.56
28.49
28.32
27.68
27.73
27.46
■ logN의 기울기
y = -5.8003x + 36.293
● 소성한계시험결과
소성한계 시험(PL TEST)
용 기 번 호
1
2
3
평균값
실측 무게(g)
캔 + 습윤토
58.853
64.405
70.499
64.586
캔 + 건조토
54.307
59.307
64.251
59.288
캔
34.307
34.307
34.251
34.288
수분 무게(g)
4.546
5.098
6.248
5.297
건조토 무게(g)
20
25
30
25
함수비, w(%)
22.730
20.392
20.827
21.316
● 시험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지수
소성지수
연경지수
구분
1
2
3
4
5
6
LL
28.560
28.490
28.320
27.680
27.730
27.460
Wn
26.670
27.870
28.320
28.800
29.270
30.330
IP
7.004
IC
0.2698
0.0885
0.0000
-0.1599
-0.2199
-0.4098
액성지수
구분
1
2
3
4
5
6
LL
21.318
Wn
26.670
27.870
28.320
28.800
29.270
30.330
IP
7.004
IC
0.7644
3.9792
4.0434
4.1119
4.1790
4.3304
유동지수
■액성/소성 한계시험의 고찰
● 액성한계시험의 고찰
1. 액성한계 측정기의 황동접시 낙하높이를 1㎝로 조정하여야 하나 개인차에 따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했다.
2. 초당 2회의 낙하속도를 유지하여야 하나 정확하지 못했다.
3. 반복법으로 시험을 함에 따라 시료가 손실 되었다.
4. 반죽과정에서 손의 열에 의해 함수량이 낮아졌다.
5. 각 실험에서 홈의 크기가 일정하지 못했고 낙하실험을 한 후 합류간격 1.5㎝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했다.
● 소성한계시험의 고찰
1. 반죽시 손바닥의 마찰열에 의해 함수량이 낮아졌다.
2. 반죽하면서 유리판에 붙은 시료의 양을 무시하였다.
3. 균일하게 3㎜의 국수모양으로 성형하지 못했다.
수분 무게(g)
12.000
12.542
12.746
12.96
13.171
13.648
건조토 무게(g)
45
45
45
45
45
45
함수비, w(%)
26.67
27.87
28.32
28.80
29.27
30.33
Brass cup 낙하횟수(N)
44
30
25
18
16
11
액성한계(LL)
28.56
28.49
28.32
27.68
27.73
27.46
■ logN의 기울기
y = -5.8003x + 36.293
● 소성한계시험결과
소성한계 시험(PL TEST)
용 기 번 호
1
2
3
평균값
실측 무게(g)
캔 + 습윤토
58.853
64.405
70.499
64.586
캔 + 건조토
54.307
59.307
64.251
59.288
캔
34.307
34.307
34.251
34.288
수분 무게(g)
4.546
5.098
6.248
5.297
건조토 무게(g)
20
25
30
25
함수비, w(%)
22.730
20.392
20.827
21.316
● 시험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지수
소성지수
연경지수
구분
1
2
3
4
5
6
LL
28.560
28.490
28.320
27.680
27.730
27.460
Wn
26.670
27.870
28.320
28.800
29.270
30.330
IP
7.004
IC
0.2698
0.0885
0.0000
-0.1599
-0.2199
-0.4098
액성지수
구분
1
2
3
4
5
6
LL
21.318
Wn
26.670
27.870
28.320
28.800
29.270
30.330
IP
7.004
IC
0.7644
3.9792
4.0434
4.1119
4.1790
4.3304
유동지수
■액성/소성 한계시험의 고찰
● 액성한계시험의 고찰
1. 액성한계 측정기의 황동접시 낙하높이를 1㎝로 조정하여야 하나 개인차에 따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했다.
2. 초당 2회의 낙하속도를 유지하여야 하나 정확하지 못했다.
3. 반복법으로 시험을 함에 따라 시료가 손실 되었다.
4. 반죽과정에서 손의 열에 의해 함수량이 낮아졌다.
5. 각 실험에서 홈의 크기가 일정하지 못했고 낙하실험을 한 후 합류간격 1.5㎝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했다.
● 소성한계시험의 고찰
1. 반죽시 손바닥의 마찰열에 의해 함수량이 낮아졌다.
2. 반죽하면서 유리판에 붙은 시료의 양을 무시하였다.
3. 균일하게 3㎜의 국수모양으로 성형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