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도대체 한국전쟁은 왜 발생하였을까?
3. 미국·소련·중국의 행방에 숨겨진 현실주의적인 요소들.
4. 맺으며
2. 도대체 한국전쟁은 왜 발생하였을까?
3. 미국·소련·중국의 행방에 숨겨진 현실주의적인 요소들.
4. 맺으며
본문내용
유혹이 너무 컸다는 것이다.
4. 맺으며
국제사 속에서 면밀히 추적한 한국 전쟁의 실상. 이 책은 '소련이 전 세계 공산화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의 김일성 정권을 이용하여 한국전쟁을 일으켰다'는 전통적 시각과, '한국전쟁은 남침이 아니라 북침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으며, 한국사회의 내부적 갈등의 결과로 발발한 것'이라는 브루스 커밍스로 대표되는 수정주의적 시각을 모두 부정한다. 이 책이 초지일관 주장하는 바는 한국전쟁은 국제전쟁이며, 이 전쟁으로 인해 국제 정치의 판도는 새로운 변화를 겪었다는 것.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급격히 향상되었으며, 유럽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도 강화되었다. 반면 소련은 국제 공산주의의 유일한 지도자적 위치를 훼손당했다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전쟁 기원과 과정, 한국전쟁에서의 유엔의 역할, 각 나라들이 참전을 결정하게 된 배경 원인,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전쟁이 남긴 세계적 영향 등을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전쟁의 국제적 양상을 고찰하고 있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국제전의 성격을 강조하다보니 정작 전쟁의 당사자였던 남한과 북한에 대한 서술은 1차 사료들을 거의 이용하지 않은 허점이 엿보인다는 말이 있다. 또한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큰 비극이었던 한국전쟁의 발발부터 시작해 중요한 사건들을 모두 전쟁주역들의 오판의 결과로 이해하는 저자의 설명도 설득력은 약하다. 게다가 한국전쟁을 국제전으로 규정하면서도 이 책은 동아시아의 한 약소민족이 국제 냉전으로 인해 분단과 전쟁으로 돌입하게 된 데 대한 강대국들의 책임이 면제되어 있다는 점도 지적돼야 한다.
4. 맺으며
국제사 속에서 면밀히 추적한 한국 전쟁의 실상. 이 책은 '소련이 전 세계 공산화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의 김일성 정권을 이용하여 한국전쟁을 일으켰다'는 전통적 시각과, '한국전쟁은 남침이 아니라 북침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으며, 한국사회의 내부적 갈등의 결과로 발발한 것'이라는 브루스 커밍스로 대표되는 수정주의적 시각을 모두 부정한다. 이 책이 초지일관 주장하는 바는 한국전쟁은 국제전쟁이며, 이 전쟁으로 인해 국제 정치의 판도는 새로운 변화를 겪었다는 것.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급격히 향상되었으며, 유럽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도 강화되었다. 반면 소련은 국제 공산주의의 유일한 지도자적 위치를 훼손당했다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전쟁 기원과 과정, 한국전쟁에서의 유엔의 역할, 각 나라들이 참전을 결정하게 된 배경 원인,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 전쟁이 남긴 세계적 영향 등을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전쟁의 국제적 양상을 고찰하고 있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국제전의 성격을 강조하다보니 정작 전쟁의 당사자였던 남한과 북한에 대한 서술은 1차 사료들을 거의 이용하지 않은 허점이 엿보인다는 말이 있다. 또한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큰 비극이었던 한국전쟁의 발발부터 시작해 중요한 사건들을 모두 전쟁주역들의 오판의 결과로 이해하는 저자의 설명도 설득력은 약하다. 게다가 한국전쟁을 국제전으로 규정하면서도 이 책은 동아시아의 한 약소민족이 국제 냉전으로 인해 분단과 전쟁으로 돌입하게 된 데 대한 강대국들의 책임이 면제되어 있다는 점도 지적돼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