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의 종류와 처치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쇼크
2. 화상
3. 외출혈
4. 내출혈
5. 짐승한테 물렸거나 곤충에 쏘였다.
6. 염좌(삠)
7. 골절(뼈가 부러졌을 때)
8. 의식불명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를 45도 정도 높이면서 빨리 가까운 병원에 가도록 한다. 그 외에 상처 부위가 빨갛게 부어오르고 심하게 아플때에도 병원에 가도록한다.
6. 염 좌 (삠)
염좌란, 인대와 기타 조직이 심하게 늘어나거나 뒤틀려서 생긴 관절의 부상이다. 그러므로 움직이려고 하면 통증은 더 심해지며, 관절부위의 피부는 다친 조직에서 출혈이 일어나 색깔이 변할 수도 있다.
<응급처치>
- 얼음이나 찬 것을 대주어 통증을 감소시킨다.
- 다친 곳을 꽉 싸매어 고정시킨다.
- 다친 부위를 약간 올려 준다.
7. 골 절 (뼈가 부러졌을 때)
골절이란,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것이다. 그러나 뼈가 부러졌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잘 모를 때에는 일단 부러졌다고 보고 필요한 응급처치를 한다.
*골절시 부목고정의 이점
① 골절단에 의한 근육, 척수, 신경, 혈관의 손상을 방지한다.
② 골절단에 의한 피부의 열상을 방지한다.
즉, 폐쇄성 골절이 개방성 골절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③ 골절단에 의하여 혈관이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다.
④ 손상 부위 조직에서 과도하게 출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응급처치>
- 부상자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 가벼운 옷 등으로 체온을 유지 해준다.
- 다친 부위를 고정한다.
- 응급전화로 구급차를 부른다.
- 다친 부분이 다리이면 혈액 순환과 멍을 줄이기 위해 약간 올려서 받쳐준다.
- 얼음찜질이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8. 의식불명
의식불명은 신체의 반사가 마비된 비정상적인 상태로 혀가 후두로 말려들어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의식이 없는 부상자는 즉시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의식 불명이 되는 주원인은 대뇌 손상, 뇌졸중, 심장마비, 쇼크, 종양, 저산소증, 약물 중독, 저혈당, 간질, 체온 이상 등이 있습니다.
<응급처치>
-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확보 해 호흡 할 수 있게 한다.
- 기도 확보, 호흡, 순환 상태를 수분 간격으로 확인하고 맥박수와 호흡수를 기록한다.
- 부상자의 반응 수준을 기록하면 나중에 의학적 처치 판단에 유용할 수 있다.
- 다른 부상이 있는지 자세히 검사한다.
- 병원으로 긴급 후송한다.
<참고문헌>
1.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김재호 | 대경북스 | 2003년 08월 30일
2.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워크북
박창열,박장규,고영규,손진수 | 대경북스 | 2004년 03월 12일
3. 학교보건
이장소, 김재호 지음 | 대경북스 펴냄 | 2004.03.1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