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역사, 간척사업의 필요성, 갯벌로써의 가치
Part 2. 새만금 갯벌로써의 가치
part 3. 현재의 새만금 지구의 주변 생태계
Part 4. 새만금 수질대책
Part 2. 새만금 갯벌로써의 가치
part 3. 현재의 새만금 지구의 주변 생태계
Part 4. 새만금 수질대책
본문내용
안관리 및 이용방안
b. 표층퇴적물 특성 및 해저지형변화 파악 : 조제 건설에 따른 퇴적물 특성 및 해저지형 변화, 갑문을 통한 퇴적물의 급작스런 방출에 따른 영향
c. 부유 및 해저 퇴적물의 특성 및 거동 파악 : 외해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의 이동, 거동 및 기원과 금강, 새만금 하구역에서 공급된 부유퇴적물의 이동 및 거동
iii) 갯벌/지질 환경변화 평가
a. 갯벌 퇴적환경 특성 및 건강도 변화 : 퇴적물의 건강도(유기물, 중금속 등) 및 시추코아 평가, 기존자료 및 모니터링 자료를 통한 변화양상 모델개발 및 평가
b. 해저지형 및 퇴적환경 변화 : 장조사.관측을 통한 해저지형변화를 시공간적으로 분석, 수치모델 개발 및 실험을 통한 해저지형과 퇴적물 변화예측 평가
c. 퇴적물의 기원. 이동 및 거동 변화 : 부유퇴적물 및 해저퇴적물의 이동 및 거동 측정,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류 및 에너지 흐름변화와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변화와의 상관관계 평가
iv) 단계별 추진계획
> 1단계(2002~2004)
새만금 갯벌.해저 퇴적환경의 과거와 현재 파악, 퇴적환경변화 주요 인자 파악 및 모니터 링 체계 구축, 만경수역 갯벌의 변화상 파악
> 2단계(2005~2007)
새만금 갯벌. 해저 퇴적환경의 중. 장기변화 파악,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갯벌형성촉진기술 개발
> 3단계(2008~2011) 만경수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갯벌.지질 분야의 추가대책을 수립하는 등 탄 력적으로 운용
④물리특성/유동 분야
i) 주요쟁점사항
a. 방조제 건설에 따른 방조제 내.외측 해수순환구조 및 해수특성과 해수유동의 변화
b. 방조제 외측 연안해역이 동-서로 배치된 고군산열도에 의해 교란됨에 따른 해수순환 구조의 변화 양상
c. 2개 배수 갑문의 위치상 담수방출 및 해수유통에 의한 물리적 충격이 방조제 남쪽 연안수역에 집중됨에 따른 인근해역의 변화
d. 방조제 건설에 따른 해안선의 직선화가 연안해의 계절구조, 방조제 외측 해측 해수순환계에 미치는 영향
ii) 세부과제
a. 만경수역의 물리. 유동환경 : 조석. 조류 및 내만 해수순환구조, 내만과 외해역과의 해수교환, 물리특성의 수직 및 수평분포, 체류시간(residence time)
b. 방조제 외측 연안 수역에서의 물리. 유동환경 : 남쪽과 북쪽수역별 조석. 조류의 물리특성 및 변화양상, 갑문주변에서의 해수유동
c. 유출수의 이동과 영향 : 갑문과 만경수역을 통한 방출량, 유출수의 이동경로와 확장범위 및 연안수와의 혼합, 곰소만과 금강하구 등 인접수역에 미치는 영향
iii) 물리특성/유동 환경변화 평가
a. 만경수역 내 해수 수직안정성 및 체류시간 : 수층의 수직 및 수평혼합 변화 평가, 해수와 담수의 혼합 및 체류시간 평가
b. 방조제 건설로 인한 외측 연안수역의 변화 : 방조제 건설 진척에 따른 외측연안 물리. 해수유동 변화 평가, 고군산열도에 의한 물리 .해수유동의 변화평가, 갑문을 통한 배출 양에 따른 물리. 해수유동 분포변화 평가
c. 방조제 외측 연안에서의 상호작용 : 해저지형변화에 따른 해수유동 반응 평가, 해수유동이 해저지형 및 인접해역 유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iv) 단계별 추진계획
> 1단계(2002~2004)
상시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기초 물리. 유동환경 모니터링, 만경수역 해수유동과 갑문을 통한 방출수의 경로 및 확장범위 평가
> 2단계(2005~2007)
방조제 외해역 해수유동 환경 변화 평가, 해양환경 변화 최소화 방안 제시
> 3단계(2008~2011)
만경수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물리특성. 유동분야의 추가대책을 수립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용
⑤적조환경분야
i)주요쟁점사항
a.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가 방조제 내측 및 외측수역의 적조발생 잠재력과 적조발생 동태에 미치는 영향
b. 방조제 건설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동진수역 및 만경수역의 부영양화가 유독성 적조생물 및 먹이 새물 등에 미치는 영향
c. 새만금 해역의 특성에 맞는 친환경적 적조방제 기술개발과 적조방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생태계 영향 최소화 방안
ii) 세부과제
a. 방조제 내측 수역의 적조환경 : 만경강 및 동진강 수역에서의 적조발생 원인 및 동태 파악, 적조발생 예측모델 개발
b. 방조제 외측 연안수역의 적조환경 : 적조발생 동태 및 적조의 이동. 확산 등 적조예측모델 개발, 해역환경(기수->해양)변화에 따른 적조생물 및 동물플랑크톤 천이 및 생리, 생태적 반응 평가
c. 인접수역에 미치는 영향 : 적조발생 환경과 동태변화 및 적조생물의 독성 등 유해성 평가, 부유생물상 군집구조 및 먹이망에 미치는 영향 평가
d. 적조피해 예방 및 방제대책 : 새만금 주변수역에 적합한 환경친화적 적조 방제기술 개발, 적조환경 제어기술 확립 및 적조방제에 의한 생태계 영향 평가
iii) 적조 환경변화 평가
a. 방조제 내.외측 수역의 적조발생 및 부유생물 안전성 : 유무해성 적조발생건수, 밀도의 증감 및 적조발생 잠재력 평가, 적조생물의 독력 및 수산생물에 대한 치사력 평가, 적조생물 및 동식물 플랑크톤 종의 천이 및 다양성 평가, 생태계 내 먹이망 구조의 안정도 평가
b. 적조방제로 인한 생물 및 생태계 영향 : 적조방조제 사용에 다른 생태계 영향 평가, 적조구제 효율성 평가에 따른 적정방제제 사용량 평가, 적조발생환경 제어 및 방제로 인한 적조발생 잠재력 평가
iv) 단계별 추진계획
> 1단계(2002~2004)
방조제 내외측 수역에서의 적조 발생. 이동. 확산모델 개발, 방조제 내외측 수역에서의 적조생물의 유해성 등 분석연구, 방조제 내외측 수역 적조발생이 생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적조생물 및 동식물플랑크톤의 구집구조 등의 변동 상황과 상호관계 파악
> 2단계(2005~2007)
환경 친화적 적조방제 시스템 설계 및 원격탐색 기술 연구, 적조발생 환경의 효율적 제어 기술 확보 및 적조감지 시스템 현장설치에 의한 실시간 적조 모니터링
> 3단계(2008~2011)
만경수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적조환경 분야의 추가대책을 수립하는 등 탄 력적으로 운용
b. 표층퇴적물 특성 및 해저지형변화 파악 : 조제 건설에 따른 퇴적물 특성 및 해저지형 변화, 갑문을 통한 퇴적물의 급작스런 방출에 따른 영향
c. 부유 및 해저 퇴적물의 특성 및 거동 파악 : 외해에서 공급되는 퇴적물의 이동, 거동 및 기원과 금강, 새만금 하구역에서 공급된 부유퇴적물의 이동 및 거동
iii) 갯벌/지질 환경변화 평가
a. 갯벌 퇴적환경 특성 및 건강도 변화 : 퇴적물의 건강도(유기물, 중금속 등) 및 시추코아 평가, 기존자료 및 모니터링 자료를 통한 변화양상 모델개발 및 평가
b. 해저지형 및 퇴적환경 변화 : 장조사.관측을 통한 해저지형변화를 시공간적으로 분석, 수치모델 개발 및 실험을 통한 해저지형과 퇴적물 변화예측 평가
c. 퇴적물의 기원. 이동 및 거동 변화 : 부유퇴적물 및 해저퇴적물의 이동 및 거동 측정,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류 및 에너지 흐름변화와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변화와의 상관관계 평가
iv) 단계별 추진계획
> 1단계(2002~2004)
새만금 갯벌.해저 퇴적환경의 과거와 현재 파악, 퇴적환경변화 주요 인자 파악 및 모니터 링 체계 구축, 만경수역 갯벌의 변화상 파악
> 2단계(2005~2007)
새만금 갯벌. 해저 퇴적환경의 중. 장기변화 파악,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갯벌형성촉진기술 개발
> 3단계(2008~2011) 만경수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갯벌.지질 분야의 추가대책을 수립하는 등 탄 력적으로 운용
④물리특성/유동 분야
i) 주요쟁점사항
a. 방조제 건설에 따른 방조제 내.외측 해수순환구조 및 해수특성과 해수유동의 변화
b. 방조제 외측 연안해역이 동-서로 배치된 고군산열도에 의해 교란됨에 따른 해수순환 구조의 변화 양상
c. 2개 배수 갑문의 위치상 담수방출 및 해수유통에 의한 물리적 충격이 방조제 남쪽 연안수역에 집중됨에 따른 인근해역의 변화
d. 방조제 건설에 따른 해안선의 직선화가 연안해의 계절구조, 방조제 외측 해측 해수순환계에 미치는 영향
ii) 세부과제
a. 만경수역의 물리. 유동환경 : 조석. 조류 및 내만 해수순환구조, 내만과 외해역과의 해수교환, 물리특성의 수직 및 수평분포, 체류시간(residence time)
b. 방조제 외측 연안 수역에서의 물리. 유동환경 : 남쪽과 북쪽수역별 조석. 조류의 물리특성 및 변화양상, 갑문주변에서의 해수유동
c. 유출수의 이동과 영향 : 갑문과 만경수역을 통한 방출량, 유출수의 이동경로와 확장범위 및 연안수와의 혼합, 곰소만과 금강하구 등 인접수역에 미치는 영향
iii) 물리특성/유동 환경변화 평가
a. 만경수역 내 해수 수직안정성 및 체류시간 : 수층의 수직 및 수평혼합 변화 평가, 해수와 담수의 혼합 및 체류시간 평가
b. 방조제 건설로 인한 외측 연안수역의 변화 : 방조제 건설 진척에 따른 외측연안 물리. 해수유동 변화 평가, 고군산열도에 의한 물리 .해수유동의 변화평가, 갑문을 통한 배출 양에 따른 물리. 해수유동 분포변화 평가
c. 방조제 외측 연안에서의 상호작용 : 해저지형변화에 따른 해수유동 반응 평가, 해수유동이 해저지형 및 인접해역 유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iv) 단계별 추진계획
> 1단계(2002~2004)
상시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기초 물리. 유동환경 모니터링, 만경수역 해수유동과 갑문을 통한 방출수의 경로 및 확장범위 평가
> 2단계(2005~2007)
방조제 외해역 해수유동 환경 변화 평가, 해양환경 변화 최소화 방안 제시
> 3단계(2008~2011)
만경수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물리특성. 유동분야의 추가대책을 수립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용
⑤적조환경분야
i)주요쟁점사항
a.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가 방조제 내측 및 외측수역의 적조발생 잠재력과 적조발생 동태에 미치는 영향
b. 방조제 건설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동진수역 및 만경수역의 부영양화가 유독성 적조생물 및 먹이 새물 등에 미치는 영향
c. 새만금 해역의 특성에 맞는 친환경적 적조방제 기술개발과 적조방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생태계 영향 최소화 방안
ii) 세부과제
a. 방조제 내측 수역의 적조환경 : 만경강 및 동진강 수역에서의 적조발생 원인 및 동태 파악, 적조발생 예측모델 개발
b. 방조제 외측 연안수역의 적조환경 : 적조발생 동태 및 적조의 이동. 확산 등 적조예측모델 개발, 해역환경(기수->해양)변화에 따른 적조생물 및 동물플랑크톤 천이 및 생리, 생태적 반응 평가
c. 인접수역에 미치는 영향 : 적조발생 환경과 동태변화 및 적조생물의 독성 등 유해성 평가, 부유생물상 군집구조 및 먹이망에 미치는 영향 평가
d. 적조피해 예방 및 방제대책 : 새만금 주변수역에 적합한 환경친화적 적조 방제기술 개발, 적조환경 제어기술 확립 및 적조방제에 의한 생태계 영향 평가
iii) 적조 환경변화 평가
a. 방조제 내.외측 수역의 적조발생 및 부유생물 안전성 : 유무해성 적조발생건수, 밀도의 증감 및 적조발생 잠재력 평가, 적조생물의 독력 및 수산생물에 대한 치사력 평가, 적조생물 및 동식물 플랑크톤 종의 천이 및 다양성 평가, 생태계 내 먹이망 구조의 안정도 평가
b. 적조방제로 인한 생물 및 생태계 영향 : 적조방조제 사용에 다른 생태계 영향 평가, 적조구제 효율성 평가에 따른 적정방제제 사용량 평가, 적조발생환경 제어 및 방제로 인한 적조발생 잠재력 평가
iv) 단계별 추진계획
> 1단계(2002~2004)
방조제 내외측 수역에서의 적조 발생. 이동. 확산모델 개발, 방조제 내외측 수역에서의 적조생물의 유해성 등 분석연구, 방조제 내외측 수역 적조발생이 생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적조생물 및 동식물플랑크톤의 구집구조 등의 변동 상황과 상호관계 파악
> 2단계(2005~2007)
환경 친화적 적조방제 시스템 설계 및 원격탐색 기술 연구, 적조발생 환경의 효율적 제어 기술 확보 및 적조감지 시스템 현장설치에 의한 실시간 적조 모니터링
> 3단계(2008~2011)
만경수역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맞추어 적조환경 분야의 추가대책을 수립하는 등 탄 력적으로 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