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숲의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성된 숲도 구멍이나 틈이 많으므로 방음판과 같은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산림파괴는 휴식공간의 손실을 가져온다.
(3) 거대한 녹색댐 기능 상실
숲에 있는 흙은 언뜻 보기엔 단단해 보이지만 공기와 물, 그리고 무수한 생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흙 알갱이 사이에는 무수한 구멍이 있어서 스폰지처럼 물을 저장하였다가 천천히 지하로 흘려 보내주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숲은 1년동안 소양감댐의 10개와 맞먹는 양인 180억톤의 물을 정장하는 거대한 녹색댐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림파괴는 거대한 녹색댐의 상실로 자연재해가 는다.
(4) 재해방지 기능 상실
나무뿌리와 크고 작은풀, 낙엽, 부러진 가지들이 흙을 끌어안아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므로 산사태나 낙석, 홍수같은 피해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든다해도, 울창한 숲이 많다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 숲은 온도조절능력과 강한 바람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어서 우리가 살 수 있는 기후를 알맞게 조절해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산림파괴는 재해방지 기능이 사라져 산사태, 가뭄 등의 자연재해에 노출된다.
(5) 건강증진 기능 상실
야영등 레저의 대부분이 숲을 이용하거나 숲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다. 숲은 아름다움과 쾌적함을 준다. 뿐만 아니라 피톤치드라는 천연 식물향이 있어서 우리의 건강을 증진시켜 줍니다. 따라서 산림파괴는 휴식공간의 상실을 의미한다.
(6) 야생동물들의 보금자리 기능 상실
숲은 온갖 동물과 미생물등에게 삶의 터전이 되어주고, 숲은 이들로부터 숲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얻는 것입니다. 숲의 생태계는 이렇게 서로 도우며 유지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숲의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때 생물의 보고(寶庫)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산림파괴는 삭막한 세상이 되고 인간도 황폐화된다.
3. 우리주변의 숲...... 즉, 마을숲이 인간의 의식주에 미치는 영향
마을숲은 마을의 역사, 문화, 신앙 등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는 숲으로서, 마을 사람들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어 보호 또는 유지되어 온 숲을 말한다. 따라서 마을 숲은 야산의 숲과는 달리 단일 수종으로 구성되거나 단층림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마을 숲은 마을 사람들의 사회적 활동은 물론 정신 문화적 생활 그리고 다양한 이용을 담은 마을 공용의 녹지로, 마을 문화가 오랜 세월에 걸쳐 집적되어 온 상징적 대상물이다.
마을숲이 지니는 문화적 의미는 아주 다양하다. 마을숲은 토착 신앙적으로는 마을 사람들의 숭배의 대상으로서, 풍수 지리적으로는 좋은 땅을 조성하는 구조물로서, 경관적으로는 절승(絶勝)의 장소로서, 이용과 관련해서는 휴식, 집회, 놀이, 운동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활동을 수용하는 그릇으로서, 그리고 바람과 홍수를 막아 마을을 안락하게 해주는 조절장치로서, 또한 마을의 영역을 경계짓는 통과의례적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문화 통합적 시설인 것이다.
4. 결 론
지구 위를 뒤덮은 식물들이 없다면 인간 뿐 아니라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동물들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아마존 강의 큰 나무에서부터 동해바다에 표류하는 가장 작은 해조류에 이르기까지 식물들은 인간이 먹는 식품과 호흡하는 대기의 산소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식물들이 광합성 작용을 통하여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 낸다. 뿐만 아니라 광합성 작용의 일환으로 식물은 산소를 대기 속으로 방출하는데, 여기서 만들어지는 산소는 모든 동물들이 생존하는 데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지구상의 산소 가운데 대부분이 녹조류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그렇다면 녹조류만 잘 키워나간다면 우리가 필요한 산소의 대부분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거기에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녹조류는 2-3일간 살면서 산소도 만들어내고 세포분열도 하다가 죽게 되는데, 이때 죽은 녹조류를 분해하는 것이 미생물이다. 만약 녹조류가 100Kg 의 산소를 만들어냈다면,
미생물이 그 죽은 녹조류를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가 100Kg 이라고 한다. 결국 자신이 만든 산소를 고스란히 써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나무가 100Kg의 산소를 생산해낸다고 했을 때, 그 나무가 호흡하는데 필요한 산소는 1Kg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여기서 우리는 진정 우리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것이 어느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앞에 잠깐 이야기한 바와 같이 식물들만이 스스로 자양분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동물들은 식물을 통해서 영양을 얻을 수 있다. 초식동물이 살아가는 데는 식물이 필요하고, 이러한 초식동물들이 있어야 육식동물들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우리는 수많은 방법으로 식물들을 이용한다. 원시시대부터 식물은 천과 밧줄을 만드는 섬유를 제공해왔고, 나무들은 건물과 가구를 만드는 목재를 내어주고 있다.
다양한 용도의 종이와 생명을 구하는 수많은 약품들도 식물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 진다. 또한 숲은 우리에게 맛있는 물을 만들어 준다. 산림에는 나무, 초본 등의 생물과 나무가 만든 토양이 있다. 식물에 내린 비는 잎과 줄기를 통해 토양 속으로 스며드는데, 토양 속으로 스며든 빗물은 미세한 공간이 발달한 산림토양을 통과하면서 중금속과 같은 불순물이 토양에 달라 붙거나 이온의 교환 및 불용화 과정을 통해 걸러지며 냄새를 없애는 기능도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토양의 Ca, Mg과 같은 미네랄이 물에 녹아 함유된다. 또한 유기물을 분해하는 토양 미생물과 식물 뿌리의 호흡으로 생긴 탄산가스도 물에 녹아 적당한 산도(pH)를 갖게 된다. 땅 속으로 스며든 빗물은 토양온도의 영향으로 여름에는 차갑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느껴진다. 이와 같이 산림토양은 다른 어느 토양보다 맛있는 물을 만드는 기능이 뛰어나다.
나무는 홍수를 막아주고. 또 그때는 물을 흡수한다. 또 나무가 자라면 목재로 씁니다. 공기를 정화시켜준다. 또 거기를 세들이 집을 만들어서 쓰고, 가시오가피같은 것도 한약으로 쓴다. 여러가지 종류의 나무가 있어서 열매도 따먹고 또 그것으로 전기도 나오니 우리는 이렇게 자연의 혜택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우리 인간은 항상 자연을 사랑하면서 보호해야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4.2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