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포츠 마사지의 효과
1. 기계적 효과
2. 생리적 효과
3. 반사효과
4. 피부에 미치는 효과
5.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6. 심리적인 효과
스포츠마사지의 기본 테크닉
1. 경찰법
2. 유념법
3. 강찰법
4. 고타법
5. 압박법
6. 신전․견인법에 의한 운동법
7. 진동법
1. 기계적 효과
2. 생리적 효과
3. 반사효과
4. 피부에 미치는 효과
5.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6. 심리적인 효과
스포츠마사지의 기본 테크닉
1. 경찰법
2. 유념법
3. 강찰법
4. 고타법
5. 압박법
6. 신전․견인법에 의한 운동법
7. 진동법
본문내용
게 해 준다.
④ 노화된 피부의 상피를 제거해 준다.
⑤ 피부의 저항력을 높여준다.
경찰법이 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혈액이나 림프의 흐름을 촉진함으로써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영향을 높여 근력을 강하게 한다.
② 피하나 근육에 주입한 액체의 흡수를 촉진한다.
또한, 경찰법이 내장기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배속에 있는 장기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②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돕는다.
③ 배변을 돕는다.
2. 유념법
유념법은 손바닥 전체로 근육을 붙잡고 압박하여 반죽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말초에서 중추쪽을 향해 주무르는 방법이다.
유념법의 효과
유념법이 피부와 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순환을 촉진한다.
② 노폐물을 제거해준다.
③ 혈관이 확대되어 동맥혈의 혈류량이 증가한다.
④ 정맥혈의 흐름을 촉진한다.
⑤ 신진대사가 활발해진다.
⑥ 근육을 부드럽게 해준다.
⑦ 근육의 용적을 늘리고 근육을 증가시키며, 근수축력을 강화시킨다.
유념법이 복부 및 피부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위장의 작용을 촉진해 소화흡수를 도와주며, 장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돕는다.
② 피부의 지각기능을 향상시킨다.
③ 피하지방을 분쇄하여 흡수를 촉진한다.
3. 강찰법
강찰법은 무지를 피술자의 국소에 세워서 누르고 주관절절을 고정시킨 후 고관절을 둥글게 원을 그리듯이 움직이며 송곳을 찔러 넣는 것과 같이 문지르는 방법이다.
유착을 완화시키거나 응어리를 푸는 효과가 있으며, 매유 가한 손기술이기 때문에 시술시 주의를 요한다.
강찰법의 효과
강찰법은 혈액 및 림프의 순환을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조직이 유착되거나 병적산물이 있을 때는 압박에 의해 국부순환에 장애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강찰법을 실시하면, 건강한 부위와 좋지 않은 부위 사이에 음압이 생겨 주위의 혈행을 유도하고, 좋지 않은 부위에 고여 있는 물질을 주위로 분산시키고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농후한 응혈이나, 만성염증선 산물 등은 그냥 방치해두면 쉽게 흡수되지 않으므로 강찰법에 의한 마사지로 풀어 분산시키는 것이 좋다.
4. 고타법
고타법은 손의 각 부위를 이용하여 환부를 두들기는 방법이다.
고타법의 효과
고타법에 의한 마사지로 나타나는 생리적 작용은 고타법의 종류, 속도, 강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고타법이 순환계와 신경계에 미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고타법이 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으로 혈관을 수축시키는 경우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경우가 있다. 기계적 자극에 의해 혈관을 수축시키는 경우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경우가 있다. 기계적 자극에 의해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촉해도 그 반동으로 오히려 충혈을 일으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고타법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① 단속적인 자극은 흥분성을 증가시키며, 지속적인 자극은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② 중 정도의 느슨함, 단시간의 고타는 흥분성을 나타낸다.
③ 빠르고, 약간 긴 고타는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수권고타와 절타는 혈행을 좋게 하고, 신경기능에 영향을 주며, 박타법은 피하모세혈관을 확장시킴으로써 혈액을 활발하게 하고 내장이 부담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한편, 지두고타법은 강도에 따라 진정과 흥분작용을 일으킨다. 환상고타를 팔이나 다리에 실시하면, 혈행을 촉진하므로 마비된 근육의 이완 등에 효과가 있다.
5. 압박법
압박법은 무지나 손바닥을 마사지할 부위에 대고 압박하는 방법이다. 반사적인 기능항진이나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실시한다.
압박법의 효과
압박법의 생리적 작용은 압박의 강도나 지속시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다.
① 간헐적 압박법의 효과
팔이나 다리의 말초에서 중추로 향해 시술하는 한 손 또는 두 손의 간헐적 압박법에 의한 마사지는 정맥림프의 흐름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팔이나 다리의 순환장애, 수종 등에 효과가 있다.
관절부에 행하는 간헐적 압박은 관절에 자극을 주어 강하게 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질환으로 관절의 조직이 약해져 있는 경우에 효과가 있다.
복부에 행하는 간헐적 압박은 복부내압을 변화시켜 위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위장의 기능저하로 인한 질환에 효과가 있다.
② 지속적 압박법의 효과
지속적 압박법은 언제나 신경이나 근의 흥분성을 높여주는 작용을 하므로 신경통경련 등에 시술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6. 신전견인법에 의한 운동법
신전법과 견인법은 근육의 작용이 불완전하거나 경직되었을 때나, 관절운동에 장애가 있을 경우에 관절가동범위의 확대를 위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한편, 근육의 발육을 좋게 하고, 관절을 강화시키기 위해 운동법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법은 상해를 당했을 때 빠른 회복과 재활을 위해서 의료마사지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운동법의 효과
신전법을 실시하면 관절의 가동범위를 확대시켜주며, 운동 전후에 실시하면 긴장된 근육을 늘려줌으로써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견인법은 관절의 가동범위를 확대하고 관절유착을 풀어주어 상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신전시키고자 하는 부위를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척추 치료에도 사용된다.
7. 진동법
진동법은 손으로 시술부를 누르거나 잡은 상태에서 시술하는 손 자체를 진동시켜 그 진동을 피술자의 몸 조직에 전달하는 기술로 그만큼 숙련이 필요한 기법이다.
진동법의 효과
진동법으로 마사지를 하면 나타나는 생리적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정맥혈의 순환이 좋아지며, 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반사적으로 혈관을 확대하고, 진동에 의해 기계적 작용으로 정맥혈의 순환을 돕기 때문에 순환도 좋아지며 내장을 자극하여 내장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수장진동법 및 지단진동법에 의한 마사지는 ① 신경이나 근의 작용을 높여주며, ② 복부에 이것을 실시하면, 기계적으로 위장의 작용을 높여 음식물의 소화흡수나 변통을 좋게 해준다. 이 두 가지 진동법은 신경근내장기능이 감퇴했을 경우에 실시하면 효과가 있다.
한편, 견인성 진동법은 ① 혈행을 높여주며, ② 신경기능을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팔이나 다리의 마비, 지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의 기능이상, 예를 들면 서경 등에 실시하면 효과가 있다.
④ 노화된 피부의 상피를 제거해 준다.
⑤ 피부의 저항력을 높여준다.
경찰법이 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혈액이나 림프의 흐름을 촉진함으로써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영향을 높여 근력을 강하게 한다.
② 피하나 근육에 주입한 액체의 흡수를 촉진한다.
또한, 경찰법이 내장기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배속에 있는 장기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②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돕는다.
③ 배변을 돕는다.
2. 유념법
유념법은 손바닥 전체로 근육을 붙잡고 압박하여 반죽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말초에서 중추쪽을 향해 주무르는 방법이다.
유념법의 효과
유념법이 피부와 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순환을 촉진한다.
② 노폐물을 제거해준다.
③ 혈관이 확대되어 동맥혈의 혈류량이 증가한다.
④ 정맥혈의 흐름을 촉진한다.
⑤ 신진대사가 활발해진다.
⑥ 근육을 부드럽게 해준다.
⑦ 근육의 용적을 늘리고 근육을 증가시키며, 근수축력을 강화시킨다.
유념법이 복부 및 피부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위장의 작용을 촉진해 소화흡수를 도와주며, 장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돕는다.
② 피부의 지각기능을 향상시킨다.
③ 피하지방을 분쇄하여 흡수를 촉진한다.
3. 강찰법
강찰법은 무지를 피술자의 국소에 세워서 누르고 주관절절을 고정시킨 후 고관절을 둥글게 원을 그리듯이 움직이며 송곳을 찔러 넣는 것과 같이 문지르는 방법이다.
유착을 완화시키거나 응어리를 푸는 효과가 있으며, 매유 가한 손기술이기 때문에 시술시 주의를 요한다.
강찰법의 효과
강찰법은 혈액 및 림프의 순환을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조직이 유착되거나 병적산물이 있을 때는 압박에 의해 국부순환에 장애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강찰법을 실시하면, 건강한 부위와 좋지 않은 부위 사이에 음압이 생겨 주위의 혈행을 유도하고, 좋지 않은 부위에 고여 있는 물질을 주위로 분산시키고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농후한 응혈이나, 만성염증선 산물 등은 그냥 방치해두면 쉽게 흡수되지 않으므로 강찰법에 의한 마사지로 풀어 분산시키는 것이 좋다.
4. 고타법
고타법은 손의 각 부위를 이용하여 환부를 두들기는 방법이다.
고타법의 효과
고타법에 의한 마사지로 나타나는 생리적 작용은 고타법의 종류, 속도, 강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고타법이 순환계와 신경계에 미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고타법이 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으로 혈관을 수축시키는 경우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경우가 있다. 기계적 자극에 의해 혈관을 수축시키는 경우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경우가 있다. 기계적 자극에 의해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촉해도 그 반동으로 오히려 충혈을 일으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고타법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① 단속적인 자극은 흥분성을 증가시키며, 지속적인 자극은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② 중 정도의 느슨함, 단시간의 고타는 흥분성을 나타낸다.
③ 빠르고, 약간 긴 고타는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수권고타와 절타는 혈행을 좋게 하고, 신경기능에 영향을 주며, 박타법은 피하모세혈관을 확장시킴으로써 혈액을 활발하게 하고 내장이 부담을 줄이는 작용을 한다.
한편, 지두고타법은 강도에 따라 진정과 흥분작용을 일으킨다. 환상고타를 팔이나 다리에 실시하면, 혈행을 촉진하므로 마비된 근육의 이완 등에 효과가 있다.
5. 압박법
압박법은 무지나 손바닥을 마사지할 부위에 대고 압박하는 방법이다. 반사적인 기능항진이나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실시한다.
압박법의 효과
압박법의 생리적 작용은 압박의 강도나 지속시간의 길고 짧음에 따라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다.
① 간헐적 압박법의 효과
팔이나 다리의 말초에서 중추로 향해 시술하는 한 손 또는 두 손의 간헐적 압박법에 의한 마사지는 정맥림프의 흐름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팔이나 다리의 순환장애, 수종 등에 효과가 있다.
관절부에 행하는 간헐적 압박은 관절에 자극을 주어 강하게 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질환으로 관절의 조직이 약해져 있는 경우에 효과가 있다.
복부에 행하는 간헐적 압박은 복부내압을 변화시켜 위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위장의 기능저하로 인한 질환에 효과가 있다.
② 지속적 압박법의 효과
지속적 압박법은 언제나 신경이나 근의 흥분성을 높여주는 작용을 하므로 신경통경련 등에 시술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6. 신전견인법에 의한 운동법
신전법과 견인법은 근육의 작용이 불완전하거나 경직되었을 때나, 관절운동에 장애가 있을 경우에 관절가동범위의 확대를 위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한편, 근육의 발육을 좋게 하고, 관절을 강화시키기 위해 운동법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법은 상해를 당했을 때 빠른 회복과 재활을 위해서 의료마사지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운동법의 효과
신전법을 실시하면 관절의 가동범위를 확대시켜주며, 운동 전후에 실시하면 긴장된 근육을 늘려줌으로써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견인법은 관절의 가동범위를 확대하고 관절유착을 풀어주어 상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신전시키고자 하는 부위를 구분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척추 치료에도 사용된다.
7. 진동법
진동법은 손으로 시술부를 누르거나 잡은 상태에서 시술하는 손 자체를 진동시켜 그 진동을 피술자의 몸 조직에 전달하는 기술로 그만큼 숙련이 필요한 기법이다.
진동법의 효과
진동법으로 마사지를 하면 나타나는 생리적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정맥혈의 순환이 좋아지며, 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반사적으로 혈관을 확대하고, 진동에 의해 기계적 작용으로 정맥혈의 순환을 돕기 때문에 순환도 좋아지며 내장을 자극하여 내장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수장진동법 및 지단진동법에 의한 마사지는 ① 신경이나 근의 작용을 높여주며, ② 복부에 이것을 실시하면, 기계적으로 위장의 작용을 높여 음식물의 소화흡수나 변통을 좋게 해준다. 이 두 가지 진동법은 신경근내장기능이 감퇴했을 경우에 실시하면 효과가 있다.
한편, 견인성 진동법은 ① 혈행을 높여주며, ② 신경기능을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팔이나 다리의 마비, 지각신경이나 운동신경의 기능이상, 예를 들면 서경 등에 실시하면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