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의 인물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의 인물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의 내용

<2>주인공의 특성에 대한 분석
Ⅰ. 멜빈의 심리학적 특성 : 강박 장애
1. 강박 장애의 개념
2. 강박장애의 증상 빛 특징
(1)일반적 증상 및 특징
(2)영화 속 멜빈의 행동
3. 강박장애의 원인
(1)관점에 따른 차이
(2)멜빈의 경우
4. 강박장애의 치료방법
(1)일반적 치료방법
(2)영화 속에서 장애를 극복하는 모습
Ⅱ. 사이먼의 심라학적 특성 : 동성애
1. 동성애의 개념
2. 동성애의 원인
(1)선천적 원인
(2)후천적 원인
(3)사이먼의 동성애 성향의 원인
Ⅲ. 캐롤의 심리학적 특성
1. 캐롤의 심적 상태
2. 문제의 해결

<3>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영화

본문내용

그러나 그녀는 생활에 지쳐 있다. 천식으로 괴로워하는 아들은 도저히 나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낮에는 식당에서 일하고, 밤에는 힘들게 기침을 토하는 아들을 돌봐야 한다. 그녀의 관심사는 오로지 아들 스펜서의 천식이 낫는 것뿐이다. 그녀는 그녀의 책임이 아들을 잘 보살피는 데 있다고 믿는다. 그녀가 하는 일은 모두 가족을 위한 것이고, 그 중에서도 아들을 위한 일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자신의 독립적 삶이 부재한다. 이러한 여성은 자녀에게 집착하게 되고 그들을 과잉보호한다. 영화에서 캐롤이 멜빈이 스펜서에게 말을 걸자 멜빈을 좇아낸 것과 다른 사람에게 스펜서를 맡기지 않으려고 하는 점에서 그녀의 과잉보호가 잘 드러난다. 하지만 아들에게 집착할수록 그녀의 피로감과 스트레스는 더욱 커져간다.
2. 문제의 해결
엉뚱하게도 그녀의 심적인 문제는 멜빈의 요청으로 의사가 오게 되면서부터 해결된다. 의사는 스펜서를 더 건강하게 해 주었고 엄마인 그녀의 도움이 점점더 필요없게 된다. 그녀는 그로 인해 잠시 우울해 지지만, 그녀 자신을 찾아주려는 캐롤 엄마의 도움으로 그녀는 독자적 삶을 찾게 되었고, 외출을 하거나 아들을 집에 두고 여행도 갈 수 있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 멜빈의 강박행동에 대한 집착의 결과가 그녀를 심적 피로감과 불안에서 벗어나게 해 준 것이다.
<3>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영화
이 영화는 심리장애의 하나인 강박장애에 대해 다루고 있다. 강박장애는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강박행동을 계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 영화에서는 강박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강박장애를 극복하기위한 방법으로 이 작품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과 비일상적인 행동을 통한 강박행위의 무의미성을 일깨우는 것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강박장애에 대해서만 집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각자 다른 심리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서로를 통해 그러한 문제를 해결해가고 서로를 감싸게 된다. 이 영화는 그것을 직접적이지 않게 간접적으로 꾸준히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가 모두 각자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놓여있으며 이런 불안은 타인과의 유대를 통해서만 해결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듯 하다.
-참고 자료-
인터넷
강박증 클리닉(http://www.ochelp.co.kr/)
네이버(http://www.naver.com)
문헌
<현대심리학의 이해>
<여성의 눈으로 읽는 문학>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