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플라스틱 사출 성형
1) 재료 선정
2) PP의 재료적 특성
3) 사출 성형의 과정
4) 사출 성형의 장점
5) 사출 성형의 단점
2. 절삭 가공
1) 재료 선정
2) 대나무의 재료적 특성
3) 절삭 가공의 과정
4) 절삭 가공의 장점
5) 절삭 가공의 단점
1) 재료 선정
2) PP의 재료적 특성
3) 사출 성형의 과정
4) 사출 성형의 장점
5) 사출 성형의 단점
2. 절삭 가공
1) 재료 선정
2) 대나무의 재료적 특성
3) 절삭 가공의 과정
4) 절삭 가공의 장점
5) 절삭 가공의 단점
본문내용
부채살의 갯수에 맞추어 접는다. 양산을 하기위해서 수작업을 할
때는 두꺼운 종이로 접어진 틀에 부채 선지를 붙여 접은다음 분리해
한번 눌어주면 접지 모양이 나온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기계접지를
하고있다.
⑤ 붙이기: 부채살과 갓대를 한대 모은다음 핀을 박는다. 부채살 끝을
고정시키고 갓대에 인접한 부채살 부터 살에 풀칠을 한 다음 붙이고
접어 나간다. 이때 속살의 첫번째에서 한칸의 종이를 남겨놓는다. 속
살에 선지를 다 붙였으면 갓대에 풀질하여 붙이기를 완성한다.
⑥ 잘라내기: 풀이 건조가 된 후 부채 본래의 크기로 잘라낸다. 낫이나
칼로 잘라내기도 하지만 부채 형틀을 고정시킨 작두를 이용해서 잘라
낸다.
⑦ 완성: 부채 밑면을 고정시키고 얇은 종이를 6~10mm 폭으로 잘라서
부채의 테두리에 풀질하여 변선두르기를 한다. 매듭이나 선추를 달아
완성한다.
4) 절삭 가공의 장점
① 치수 정확도 및 표면 정밀도가 우수하다.
② 대나무의 재질을 살릴 수 있다.
③소량 생산일 경우 가공비가 저렴하다.
5) 절삭 가공의 단점
① 재료의 낭비가 불가피 하다.
②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③ 자본, 노동력이 많이 요구된다.
④ 대량생산이 어렵다.
때는 두꺼운 종이로 접어진 틀에 부채 선지를 붙여 접은다음 분리해
한번 눌어주면 접지 모양이 나온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기계접지를
하고있다.
⑤ 붙이기: 부채살과 갓대를 한대 모은다음 핀을 박는다. 부채살 끝을
고정시키고 갓대에 인접한 부채살 부터 살에 풀칠을 한 다음 붙이고
접어 나간다. 이때 속살의 첫번째에서 한칸의 종이를 남겨놓는다. 속
살에 선지를 다 붙였으면 갓대에 풀질하여 붙이기를 완성한다.
⑥ 잘라내기: 풀이 건조가 된 후 부채 본래의 크기로 잘라낸다. 낫이나
칼로 잘라내기도 하지만 부채 형틀을 고정시킨 작두를 이용해서 잘라
낸다.
⑦ 완성: 부채 밑면을 고정시키고 얇은 종이를 6~10mm 폭으로 잘라서
부채의 테두리에 풀질하여 변선두르기를 한다. 매듭이나 선추를 달아
완성한다.
4) 절삭 가공의 장점
① 치수 정확도 및 표면 정밀도가 우수하다.
② 대나무의 재질을 살릴 수 있다.
③소량 생산일 경우 가공비가 저렴하다.
5) 절삭 가공의 단점
① 재료의 낭비가 불가피 하다.
②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③ 자본, 노동력이 많이 요구된다.
④ 대량생산이 어렵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