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길랑바레 소개
(1) 병태생리
(2) 증상
(3) 진단
(4) 타 증상과의 감별
(5) 치료
(6) 경과
2.길랑바레 병태생리
3.길랑바레 논문소개
(1) 병태생리
(2) 증상
(3) 진단
(4) 타 증상과의 감별
(5) 치료
(6) 경과
2.길랑바레 병태생리
3.길랑바레 논문소개
본문내용
id는 효과가 미비하고, 치료기간도 길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며, IVIq 및 PE 가 치료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3번째 논문에서는 IVIq의 치료 우수성을 임상 실험을 통해 검증함과 동시에, 더 나은 치료법을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논문을 마무리 짓고 있다.
길랑 바레 증후군 에 관한 관련논문 중 특히 한국 논문을 검색해 보았을 때, 여타의 다른 질환보다 논문 수도 적었고, 논문의 질도(한국 논문의 경우) 높지 않은 수준이어서, 한국 논문을 고찰하지 못한 것과 한방적 치료를 생각해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움이 남는다. 상기 질환의 치료 경험이나, 지식이 축적된다면 보다 나은 치료가 가능하지 않을까 의문을 제기하며 Conference를 마치고자 한다.
Ⅴ. REFERENCE
1. www, wikipedia.com
2. www. pubmed.com
3. Ganglioside Molecular Mimicry It's Pathological Roles in Guillain-Baree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_ Infection and Immunity. Dec. 2006_Robert K. Yu, Seigo Usaki, Toshio Ariga
Institute of Molecular Medicine and Genetics and Institute of Neuroscience, Medical College of Georgia, Augusta, Georgia 30912
4. Prominent Plasmacytosis Following Intravenous Immunoglobulin Correlates with Clinical Improvement in Guillain Barre Syndrome_J Neurol Neurosung Psychiatry 2006._Izumi Mori, Christophe Parizotm Karim Dorgham, Sophie Demeret, Zahir Amoura, Francis Bolgert, Guy Gorochov
5. Prospective study on anti-ganglioside antibodies in childhood GuillainBarre syndrome _
J Schessl1, M Koga2, K Funakoshi2, J Kirschner1, W Muellges3, A Weishaupt3, R Gold4, R Korinthenberg1
길랑 바레 증후군 에 관한 관련논문 중 특히 한국 논문을 검색해 보았을 때, 여타의 다른 질환보다 논문 수도 적었고, 논문의 질도(한국 논문의 경우) 높지 않은 수준이어서, 한국 논문을 고찰하지 못한 것과 한방적 치료를 생각해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움이 남는다. 상기 질환의 치료 경험이나, 지식이 축적된다면 보다 나은 치료가 가능하지 않을까 의문을 제기하며 Conference를 마치고자 한다.
Ⅴ. REFERENCE
1. www, wikipedia.com
2. www. pubmed.com
3. Ganglioside Molecular Mimicry It's Pathological Roles in Guillain-Baree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_ Infection and Immunity. Dec. 2006_Robert K. Yu, Seigo Usaki, Toshio Ariga
Institute of Molecular Medicine and Genetics and Institute of Neuroscience, Medical College of Georgia, Augusta, Georgia 30912
4. Prominent Plasmacytosis Following Intravenous Immunoglobulin Correlates with Clinical Improvement in Guillain Barre Syndrome_J Neurol Neurosung Psychiatry 2006._Izumi Mori, Christophe Parizotm Karim Dorgham, Sophie Demeret, Zahir Amoura, Francis Bolgert, Guy Gorochov
5. Prospective study on anti-ganglioside antibodies in childhood GuillainBarre syndrome _
J Schessl1, M Koga2, K Funakoshi2, J Kirschner1, W Muellges3, A Weishaupt3, R Gold4, R Korinthenberg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