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컬링의 유래부터 모든것 총망라정리
본문내용
end에 양팀 모두 점수를 얻지 못하면, 바로 옆 end 에서 이긴 팀이 다음 end 를 먼저 시작 한다.
<컬링의 특성>
컬링은 레크레이션과 경기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켜 주는 운동이며, 연령에 관계없이 남녀 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운동 경기이다. 기술은 훈련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초보자도 경기에 참가 할 수 있으며, 운동이라기 보다는 오락으로 도 즐길수 있다. 하지만 컬링 대회는 튼튼한 육체, 기술, 그리고 뛰어난 투구 동작이 요구된다..
1.기술: 투구 동작, 스톤에 회전을 주는것, 스위핑 등.
2.지력: 바둑과 같이 흐름을 읽고 작전을 세운다.
3.체력: 1경기 10 end, 약 2시간 40분이 소요.
4.정신력: 1구로 역전 가능한 정신적인 스포츠.
5.팀웍: 주장(skip)을 중심으로 한 4명의 팀웍과 각자의 역할 분담이 중요.
<투구>
스톤을 던지는 curler 의 동작을 투구라고 한다. 투구는 핵에서부터 미끄러져 투구하는 동작인데 밸런스와 슬라이딩 동작을 필요로 하며, 스톤의 조절은 슬라이딩 동작과 투구하는 스피드에 달려있다. 선수는 팔을 곧게 펴고 손잡이를 약간 돌려 회전을 주어 던진다.
<투구 방법>
1.스톤을 가지고 핵에 정지한다. 스톤은 몸의 정면에 놓는다.
2.스톤을 약간 전방으로 밀어넣고 투구동작으로 들어간다.
3.중심을 뒤로 옮기며 천천히 스톤을 들어올린다. 동시에 슬라이드 할 발을 뒤로 뺀다.
4.뒤로 빼었던 발이 슬라이딩으로 이동한다.
5,슬라이딩 할 발은 스톤의 뒤에 놓여지면서 신체의 중심이 된다.
6.신체와 스톤은 같은 스피드로 링크 반대편 목표를 향해 미끌어 지며, 호그라인 전에 스톤으로 부터 손을 놓는다.
<프리가드존>
호그 라인과 티 라인 사이에서 하우스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각end 마다 처음 4개의 스톤은 프리가드존에 위치 할 경우 take-out 할 수 없으며, 만일 take-out을 했을 경우 쳐낸 스톤은 치워야 하며, 먼저 있던 스톤은 제자리에 다시 놓아야 한다. 다섯 번째의 스톤 부터는 take-out을 할 수 있다.
<스톤 stone>
각 팀의 스톤은 핸들의 색깔로 구분하며, 실수로 상대팀의 스톤을 가지고 투구했을 경우 투구된 스톤은 유효하며, 스톤이 정지한 후 그 위치에 자신의 스톤으로 교체한다. Hog line 을 넘지 못하거나 선상에 위치한 스톤은 즉시 치워져야하며, Back line 을 넘는 스톤은 즉시 치워져야 한다.(단, Back line 선상에 위치한 스톤은 유효함)
<얼음 쓸기>
브러쉬를 이용하여 스톤의 진행방향으로 Sweeping을 하며, 스톤 의 진행방향 에 이물질을 넣어서는 안된다. Sweeper들은 반대편 tee line까지만, Sweeping할 수 있다. 투구된 스톤을 신체의 일부분이나 브러쉬가 건드리면 스톤은 무효가 되며, 즉시 치워버려야 한다. 정지되어 있는 스톤을 건드리면 그 자리에 원위치 시키고, 멈추어 있는 스톤의 Sweeping은 스톤과 스톤이 터치한 다음부터 가능하다.
<스코어 보드>
Scoreboard는 양 사이드의 핵 뒤쪽에 설치하고 기록한다. 가장 위 검은색 안의 점수는 검은색 손잡이의 스톤을 가지고 경기하는 팀의 점수이며 밝은 색의 점수는 밝은 색 손잡이의 스톤을 가지고 경기하는 팀의 점수이다. 그 중간에 놓여져 있는 수는 각 end 를 가리키며, 한 end 가 끝나면 중앙의 원 위에 있는 스톤 마다 1점씩 가산되어 2점이 된다.
<심판>
경기에는 한명의 주심이 지명된다. 그 주심은 경기규칙을 숙지하여 경기의 일반적 감독 및 분쟁을 조정한다. 주심은 심판의 결정에 대한 청원 (Appeal)을 듣고 결정하며, 그의 결정은 최종적인 것이다.
<반칙>
-실격이 되는 반칙
1. 호그 라인을 지나서 스톤을 놓을 경우
2. 스톤이 반대편 호그 라인을 넘지 못한 경우
3. 스톤이 Back Line을 넘어갈 경우
-투구할때의 반칙
투구 동작 중에 핸들을 고쳐 잡은 경우: 그 스톤은 즉시 치워진다.
-프리가드존에서의반칙
각 end마다 처음 4개의 스톤을 프리가드존에 위치했을 때 take-out 한 경우 :쳐낸 스톤 은 치운다.
<경기 용품>
*브러쉬
스톤이 진행하는 앞쪽에서 얼음을 쓸어주기 위한 도구로서 브러쉬나 브룸 이 사용된다.
얼음을 쓸어 줄 경우 쓸지 않는 때보다 스톤을 약 25ft(3.66m)까지 더 나아가게 할 수 있으며, 스톤의 커브곡선을 완만하게 하여 장애물을 비켜가도록 한다. 이러한 얼음 쓸기는 스톤이 나아가는 길의 먼지 등 불순물을 제거하며 얼음 표면 을 잠시 녹여서 스톤이 진행하는 쪽의 마찰을 감소시켜준다.
*스톤
16개의 스톤은 컬링 경기의 필수 도구이며, 스코틀랜드 및 웨일즈 지방에서 생산되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지며, 모든 스톤은 무게가 19.96kg이어야 하고, 둘레는 91.44cm 이어야 하며, 높이는 11.43cm이어야 한다.
손잡이는 스톤을 들어 올려 투구할 수 있도록 모든 스톤에 달려 있어야한다.
둥근 모양의 스톤에는 위아래에 Cups라고 부르는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양쪽 면에는 RIM이라고 하는 매끄러운 표면이 있다. 매우 좁은 이 RIM은 정확하게 미끌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신발
선수 개인의 선호에 따라 신발을 고르지만, 대부분의 선수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최선 의 것을 찾을 때까지 다양한 형태의 신발 창을 경험하게 된다. 많은 컬러들이 왼 발은 미끄러지는 신발 창(Slider)을, 오른발은 좀더 달라붙는(anti-slider) 신발 창을 선호한다.
*핵
선수는 고무로 만들어진 hack 이라고 하는 고정된 발판에서 투구를 시작한다.
핵은 선수로 하여금 신중하게 스톤을 투구하게 도와주며, 길이는 18inch(45.72m)의 Foot line 안쪽에 핵이 놓여진다.
주장(skip) 이 마지막 공을 던져 상대편 공을 맞춰서 상대편 공을 하우스 밖으로 밀어내고 자신의 공을 하우스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이긴다. (hit and stay) 마지막 돌은 매우 중요하며 그리고 팀들의 게임 순서를 바꿀수있는 목적을 잃는다. 그러므로 컬링은 전략게임으로써 때때로 '빙판 위의 체스' 라고도 불리워 진다.
<컬링의 특성>
컬링은 레크레이션과 경기 두 가지를 모두 충족시켜 주는 운동이며, 연령에 관계없이 남녀 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운동 경기이다. 기술은 훈련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초보자도 경기에 참가 할 수 있으며, 운동이라기 보다는 오락으로 도 즐길수 있다. 하지만 컬링 대회는 튼튼한 육체, 기술, 그리고 뛰어난 투구 동작이 요구된다..
1.기술: 투구 동작, 스톤에 회전을 주는것, 스위핑 등.
2.지력: 바둑과 같이 흐름을 읽고 작전을 세운다.
3.체력: 1경기 10 end, 약 2시간 40분이 소요.
4.정신력: 1구로 역전 가능한 정신적인 스포츠.
5.팀웍: 주장(skip)을 중심으로 한 4명의 팀웍과 각자의 역할 분담이 중요.
<투구>
스톤을 던지는 curler 의 동작을 투구라고 한다. 투구는 핵에서부터 미끄러져 투구하는 동작인데 밸런스와 슬라이딩 동작을 필요로 하며, 스톤의 조절은 슬라이딩 동작과 투구하는 스피드에 달려있다. 선수는 팔을 곧게 펴고 손잡이를 약간 돌려 회전을 주어 던진다.
<투구 방법>
1.스톤을 가지고 핵에 정지한다. 스톤은 몸의 정면에 놓는다.
2.스톤을 약간 전방으로 밀어넣고 투구동작으로 들어간다.
3.중심을 뒤로 옮기며 천천히 스톤을 들어올린다. 동시에 슬라이드 할 발을 뒤로 뺀다.
4.뒤로 빼었던 발이 슬라이딩으로 이동한다.
5,슬라이딩 할 발은 스톤의 뒤에 놓여지면서 신체의 중심이 된다.
6.신체와 스톤은 같은 스피드로 링크 반대편 목표를 향해 미끌어 지며, 호그라인 전에 스톤으로 부터 손을 놓는다.
<프리가드존>
호그 라인과 티 라인 사이에서 하우스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각end 마다 처음 4개의 스톤은 프리가드존에 위치 할 경우 take-out 할 수 없으며, 만일 take-out을 했을 경우 쳐낸 스톤은 치워야 하며, 먼저 있던 스톤은 제자리에 다시 놓아야 한다. 다섯 번째의 스톤 부터는 take-out을 할 수 있다.
<스톤 stone>
각 팀의 스톤은 핸들의 색깔로 구분하며, 실수로 상대팀의 스톤을 가지고 투구했을 경우 투구된 스톤은 유효하며, 스톤이 정지한 후 그 위치에 자신의 스톤으로 교체한다. Hog line 을 넘지 못하거나 선상에 위치한 스톤은 즉시 치워져야하며, Back line 을 넘는 스톤은 즉시 치워져야 한다.(단, Back line 선상에 위치한 스톤은 유효함)
<얼음 쓸기>
브러쉬를 이용하여 스톤의 진행방향으로 Sweeping을 하며, 스톤 의 진행방향 에 이물질을 넣어서는 안된다. Sweeper들은 반대편 tee line까지만, Sweeping할 수 있다. 투구된 스톤을 신체의 일부분이나 브러쉬가 건드리면 스톤은 무효가 되며, 즉시 치워버려야 한다. 정지되어 있는 스톤을 건드리면 그 자리에 원위치 시키고, 멈추어 있는 스톤의 Sweeping은 스톤과 스톤이 터치한 다음부터 가능하다.
<스코어 보드>
Scoreboard는 양 사이드의 핵 뒤쪽에 설치하고 기록한다. 가장 위 검은색 안의 점수는 검은색 손잡이의 스톤을 가지고 경기하는 팀의 점수이며 밝은 색의 점수는 밝은 색 손잡이의 스톤을 가지고 경기하는 팀의 점수이다. 그 중간에 놓여져 있는 수는 각 end 를 가리키며, 한 end 가 끝나면 중앙의 원 위에 있는 스톤 마다 1점씩 가산되어 2점이 된다.
<심판>
경기에는 한명의 주심이 지명된다. 그 주심은 경기규칙을 숙지하여 경기의 일반적 감독 및 분쟁을 조정한다. 주심은 심판의 결정에 대한 청원 (Appeal)을 듣고 결정하며, 그의 결정은 최종적인 것이다.
<반칙>
-실격이 되는 반칙
1. 호그 라인을 지나서 스톤을 놓을 경우
2. 스톤이 반대편 호그 라인을 넘지 못한 경우
3. 스톤이 Back Line을 넘어갈 경우
-투구할때의 반칙
투구 동작 중에 핸들을 고쳐 잡은 경우: 그 스톤은 즉시 치워진다.
-프리가드존에서의반칙
각 end마다 처음 4개의 스톤을 프리가드존에 위치했을 때 take-out 한 경우 :쳐낸 스톤 은 치운다.
<경기 용품>
*브러쉬
스톤이 진행하는 앞쪽에서 얼음을 쓸어주기 위한 도구로서 브러쉬나 브룸 이 사용된다.
얼음을 쓸어 줄 경우 쓸지 않는 때보다 스톤을 약 25ft(3.66m)까지 더 나아가게 할 수 있으며, 스톤의 커브곡선을 완만하게 하여 장애물을 비켜가도록 한다. 이러한 얼음 쓸기는 스톤이 나아가는 길의 먼지 등 불순물을 제거하며 얼음 표면 을 잠시 녹여서 스톤이 진행하는 쪽의 마찰을 감소시켜준다.
*스톤
16개의 스톤은 컬링 경기의 필수 도구이며, 스코틀랜드 및 웨일즈 지방에서 생산되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지며, 모든 스톤은 무게가 19.96kg이어야 하고, 둘레는 91.44cm 이어야 하며, 높이는 11.43cm이어야 한다.
손잡이는 스톤을 들어 올려 투구할 수 있도록 모든 스톤에 달려 있어야한다.
둥근 모양의 스톤에는 위아래에 Cups라고 부르는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양쪽 면에는 RIM이라고 하는 매끄러운 표면이 있다. 매우 좁은 이 RIM은 정확하게 미끌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신발
선수 개인의 선호에 따라 신발을 고르지만, 대부분의 선수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최선 의 것을 찾을 때까지 다양한 형태의 신발 창을 경험하게 된다. 많은 컬러들이 왼 발은 미끄러지는 신발 창(Slider)을, 오른발은 좀더 달라붙는(anti-slider) 신발 창을 선호한다.
*핵
선수는 고무로 만들어진 hack 이라고 하는 고정된 발판에서 투구를 시작한다.
핵은 선수로 하여금 신중하게 스톤을 투구하게 도와주며, 길이는 18inch(45.72m)의 Foot line 안쪽에 핵이 놓여진다.
주장(skip) 이 마지막 공을 던져 상대편 공을 맞춰서 상대편 공을 하우스 밖으로 밀어내고 자신의 공을 하우스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이긴다. (hit and stay) 마지막 돌은 매우 중요하며 그리고 팀들의 게임 순서를 바꿀수있는 목적을 잃는다. 그러므로 컬링은 전략게임으로써 때때로 '빙판 위의 체스' 라고도 불리워 진다.
추천자료
생활스포츠 요가
[일본문화]일본의 스포츠
[체코][체코문화][체코의 문화][체코의 수도 프라하][체코의 프라하의 봄][체코의 관광지]체...
생활스포츠 요가 레포트
생활스포츠지도사 (보디빌딩) 구술,실기 실제 나온 문제들로 구성된 족보
[요가] 생활스포츠레포트
원시 스포츠 특징, 체육 활동, 정의, 생활, 유래, 유희, 종교, 행사, 원시시대 체육, 가치, ...
스포츠 관광의 특징, 개념, 영역, 효과, 사회 문화적 효과, 골프 관광, 국내 골프관광 활성화...
여가의 개념, 레크리에이션의 특성, 레저스포츠의 개념
문화생활,여가,여가문화,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스포츠와 문화 - 스포츠와 인종차별에 관해
E-sports-컴퓨터 게임,이스포츠 게임,스포츠마케팅사례,문화주의란
[데상트 상품 기획 공모전] 공모주제 : 내가 입고 싶은 생활 속의 스포츠웨어 유니폼의 새로...
생활 속 경제 REPORT-스포츠 토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