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도덕경을 읽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도덕경> 중 선택한 부분에 대한 요약

Ⅱ. 요약한 부분에 대한 독후감

본문내용

다. 17장에서 노자는 가장 좋은 다스림은 통치자의 존재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고 얘기하며 그렇치 않을 경우 정치 그 자체가 무용하다는 생각을 알리고 있다. 어떻게 보면 참 당연한 얘기일 수 도 있으나 노자는 이상적인 정치에 대해 얘기하고 이상적이지 않은 정치는 차라리 없는 것 보다 못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듯하다. 18장에서는 지혜가 나오면 큰 거짓이 나온다고 했다. 인의와 예악은 형식이니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노자의 주장을 얘기하고자 했던 것 같은데 이는 사회의 병리현상을 주장하고 서술한 듯 하다. 19장에서는 성과 지를 끊고 인과 의를 버리라고 한다. 즉, 순박한 마음으로 욕심을 버리라고 얘기하고 있는데 노자는 이를 사회 병리현상의 치유방법으로 제시한 것 같다. 20장에서는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고 얘기한다. 이 말에 대해 생각해 보면, 실제 노자가 나의 생각처럼 주장을 하려고 했는지는 잘 알 수 없지만 많이 알면, 여러 가지 고민을 하고 그 것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근심을 하게 되는 것이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하는 고민인 것 같다. 그러나 현재 살아가고 있는 세상에서는 배움을 하지 않을 수는 없는데 과연 노자는 무엇을 주장하고자 했을까? 노자의 사상에 대해 특히 20장에 대해서는 좀 더 자료를 찾아 자세히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겠다. 도덕경을 읽고 생각이 드는 한가지 바램이라 하면 도덕경이 그렇게 이해하기 쉬운 내용은 아닌듯 하지만 사람들이 좀 더 노자 생각에 관심을 갖고 무엇을 느끼려 한다면 좋겠고, 그렇치 못하더라도 나 자신이라도 그 가르침을 깨닫고 항상 맘속에 새기고 살아야겠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30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