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제6장 프로이트의 발달이론 제7장 에릭슨의 자아정체성 이론 제8장 성장배경과 진로 제9장 융의 분석심리학 제10장 조건형성의 이론 제11장 사회학습이론과 자기교시법 제12장 의사소통의 기술 제13장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제14장 엘리스의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제15장 벡크 등의 인지이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본문내용
제6장 프로이트의 발달이론 1. 프로이트의 인간관 인간은 기본적인 생물학적 본능을 만족시키려는 욕망과 이것을 제약하는 도덕과 이상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 2. 성격의 구조 ① 원초아: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에너지를 방출시켜 긴장을 감소시키고 욕구를 만족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프로이트는 이 쾌락원리라고 부름 ② 초자아: 좋은 행동에 대해서는 보상을 하고, 나쁜 행동에 대해서는 처벌을 하는 사회적 법칙이나 관습에 따라 사람들이 행동하도록 기능 ③ 자아: 현실을 추구 3. 정신적 에너지 리비도 삶의 본능과 성적 본능의 에너지를 리비도라고 하고 리비도는 원초아 속에 포함되어 있다고 봄 4. 의식과 무의식 ① 무의식: 프로이트 이론의 핵심개념으로 우리는 무의식적 욕구나 충동을 의식하지 못하지만 이들은 끊임없이 밖으로 표출되고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힘이 있어서 인간의 행동과 생각 ? 정서 등을 지배하고 결정하는 힘을 발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② 전(前)의식: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에 위치한 상태로서 인간이 주의를 기울여 자각하려고 노력하면 의식할 수도 있는 것으로 봄 5. 불안과 자아 방어기제 ① 방어기제와 적응기제: 원초아의 욕망과 초자아의 윤리의식 간에 발생하는 갈등과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 ② 방어기제에: 억압, 부정, 투사, 치환, 반동형성, 고착, 합리화, 퇴행, 승화 등 6. 성격발달의 단계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