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목차
제2장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 제3장 혈액생리 제4장 심장과 순환계 제6장 신장생리 제7장 신경계 제8장 감각계 제9장 내분비계 제10장 근육과 운동생리 제12장 생식계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본문내용
제2장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 1. 소화관의 운동과 음식물의 이동 (1) 소화계 ① 소화관: 세 겹의 조직 층으로 구성(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 - 점막: 소화관 가장 안쪽에 위치, 내벽을 보호, 윤활유의 구실을 하는 상피조직으로 구성 - 점막하조직: 점막을 둘러싸고 있는 종합조직의 층 - 평활근: 환상근섬유, 종주근섬유 ② 소화선 - 소화관 밖에 있는 것: 타액선, 췌장 - 소화관의 점막 또는 점막하조직 깊이 자리 잡는 종류: 위선, 소장선 (2) 소화계의 활동성 조절 ① 화학적 조절 - 음식물이 소화관 자극 ⇒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류로 들어감 ⇒ 호르몬은 몸속을 순환하다가 어떤 소화선 및 위장관 근육층을 촉진 또는 억제 - 대표적 호르몬: 가스트린, 세크트린, 콜레시스토키닌 - 중 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