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스포츠테이핑의 목적을 서술하시오.
2.스포츠테이핑시 주의사항을 서술하시오.
3.족관절 내반염좌시 테이핑 요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4.내측측부 인대손상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5.늑연골 골절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6.전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7.견사관절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8.아킬레스건염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9.대퇴 슬와근의 근단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10.수관절 상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2.스포츠테이핑시 주의사항을 서술하시오.
3.족관절 내반염좌시 테이핑 요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4.내측측부 인대손상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5.늑연골 골절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6.전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7.견사관절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8.아킬레스건염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9.대퇴 슬와근의 근단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10.수관절 상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본문내용
를 감아서 완성.
5.늑연골 골절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
①늑연골을 감싸듯이 늑골의 방향에 맞추어 신축성테이프를 흉부 중앙에서부터 체간측에 붙인다.
②½정도 겹쳐서 다시한번 붙인다.
③1과 2의 테이프위에 비스듬하게 밑에서 위로 붙인다.
④그위에 다시 X자가 되도록 붙인다.
⑤다음은 체간을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감아서 완성한다.
6.전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①장경인대염에 대한 테이핑과 동등하게 경도로 슬관절을 굴곡시킨 상태에서 무릎의 슬과부위에 패드를 대어 언더앵커를 감는다. 대퇴부와 하퇴부에는 먼저 신축성 테이프를 각각 2번씩 감고, 다음으로 백색테이프를 2번씩 각각의 앵커위에 감는다.
②신축성 테이프로 슬관절의 전면 중앙부에서부터 외측을 거쳐 대퇴부 전면 중앙까지 스파이럴 테이프를 감는다.
=>대퇴에 대하여 하퇴가 전방으로 밀려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퇴의 내선을 방지한다.
③동등하게 조금씩 어긋나게 하여 다시 한번 테이프를 감는다.
④ ③과는 반대로 무릎 밑 전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을 거쳐 대퇴부의 중앙까지 스파이럴 테이프를 감는다.
=>대최에 대하여 하퇴가 전방으로 밀려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퇴의 외선을 방지한다.
⑤동등하게 조금씩 어긋나게 하여 다시 한번 테이프를 감는다.
=>양측으로 부터의 스파이럴 테이프 보다 대퇴골에 대해 경골이 전방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⑥내측 및 외측에 신축성 테이프를 세로로 붙인다. (전십자인대와 동등하게 주행하여 붙임)
⑦대퇴부와 하퇴부에 백색 테이프로 2번씩 앵커를 감아서 완성한다.
7.견사관절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
①견사관절의 위에 패드를 올려놓는다. 패드는 직경 3Cm정도가 좋다.
②패드의 위에서부터 신축성 테이프로 압박을 가하면서 붙인다. 이 경우, 먼저 테이프의 위에 패드를 붙여놓으면 신체에도 붙이기 쉽다. 테이프의 방향은 그림과 같이 어깨의 해부학적 방향으로 곧바로 내려서 밀착시켜 붙인다.
③2의 테이프의 위에서부터 동등한 신축성 테이프로 X자가 되도록 상완의 방향으로 붙인다.
④동등한 신축성 테이프로 양단과 함께 stirrup 테이프를 붙인다. 이 경우에 패드는 stirrup 테이프의 중앙에 오도록 주의하고 압박을 가하면서 붙여 완성한다. 그리고 운동시에 테이프가 떨어지지않도록 다시한번 써포트 테이프를 붙이던가 탄력붕대를 감으면 좋다.
=>양단을 stirrup 테이프로 붙이는 것은 4방향에 늘려 당기므로서 발생 되는 압력을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에 의해 압박력이 증가함뿐 아니고 움직임에도 대응하며 견사관절의 흔들림을 감소 시키는 역할을 한다.
8.아킬레스건염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
①족부, 아킬레스건 공통의 언더랩과 앵커를 실시한다.
②족관절을 저굴위로 하여 종골의 회내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신축성 테이프를 사용한다. 족저부 후방 외측보다 후방 비스듬하게 하여 종골이 회외위를 유지 할수 있게끔 하퇴부의 앵커까지 붙인다.
=>저굴위에서의 회내방지
③족관절을 중간위로 하여 같은 위치에서 시작하며 먼저 붙어있는 테이프의 반정도를 겹쳐서 스타업을 붙인다.
=>중간위에서의 회내방지
④족관절을 배굴위로 하여 족저 외측 후방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후방의 종골을 회외위로 유지 하면서 (종골에 걸리는 느낌으로), 아킬레스건 내측으로부터 아킬레스 건을 비스듬하게 위와 옆으로 올리면서 감아 올라간다.
=>배굴위에서의 회내방지
⑤2~4를 백색 테이프 또는 신축성 테이프로 동일하게 붙인다.
⑥하퇴부, 호스슈, 족부에 앵커를 붙여서 완성한다.
9.대퇴 슬와근의 근단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①슬관절을 70도 정도 굴곡 시켜 대퇴부의 상하에 백색 테이프로 앵커를 붙인다.
②내측위로부터 외측밑으로 비스듬하게 백색테이프를 붙인다.
③½정도 겹쳐서 동등하게 붙인다.
④2와 3을 각각 10번씩 상호적으로 짜서 올린다.
⑤2~4의 테이프를 상하의 앵커로 고정하고 세로방향의 써포트를 위의 앵커로부터 ½정도 겹치게 하여 감으며 최종적으로는 앵커로 고정하여 완성한다.
10.수관절 상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①언더랩을 장측과 수관절에 걸쳐서 감고 전완부에 백색 테이프로 2번정도 감는다. ½정도 겹쳐서 앵커를 접어 그림과 같이 역 V자로 하고 가위를 사용하여 구멍을 만든다. 그 구멍에 모지를 넣어 비스듬하게 한번 감는다. 3번째의 앵커로서 수관절에 동등한 폭의 백색 테이프를 한번 감는다.
②다시한번 동등한 폭의 백색테이프로 앵커를 감는다. 수관절으 l장측으로부터 실시하여 배측으로 돌려 장측으로 비스듬이 내려 수관절 배측의 앵커까지 감는다.
③손을 척측굴곡, 장측굴곡, 회내위로 유지하고 신축성 테이프로 2.의 앵커방향에 따라 손의 배측으로부터 수관절의 밑으로 돌린다. 그리고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이때에 수관절보다 조금 말초에 가까운 곳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요측굴곡, 배측굴곡, 회외방지
④또다시 손을 척측굴곡, 장측굴곡, 회내위로 하여 동등한 폭의 신축성 테이프로 장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수관절의 밑으로 돌린다. 수관절보다 조금 말초에 가까운 곳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3,4로 요측굴곡의 최종 가동역까지 고정하도록 제어한다. 4는 요측굴곡 제한의 보조와 3의 테이프의 운동제한에 의해 편위되는 것을 조절한다. - 척측굴곡과 회내도 제한하여 수관절 전체를 고정시킬때는 다음의 5,6도 추가한다.
⑤신축성 테이프로 장측에서부터 시작하여 모지의 밑을 거쳐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⑥5와 같이 신축성 테이프로 손등의 중앙으로부터, 모지 밑을 거쳐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⑦3,4의 위에서부터 백색 테이프로 신축성 테이프를 겹쳐서 동등하게 감고, 최종적으로는 손의 장측, 수근관절, 전완부에 앵커를 감아서 완성한다. (5,6을 추가할 경우에는 동등하게 백색 테이프를 신축성 테이프의 위에서부터 겹쳐서 감는다.)
5.늑연골 골절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
①늑연골을 감싸듯이 늑골의 방향에 맞추어 신축성테이프를 흉부 중앙에서부터 체간측에 붙인다.
②½정도 겹쳐서 다시한번 붙인다.
③1과 2의 테이프위에 비스듬하게 밑에서 위로 붙인다.
④그위에 다시 X자가 되도록 붙인다.
⑤다음은 체간을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감아서 완성한다.
6.전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①장경인대염에 대한 테이핑과 동등하게 경도로 슬관절을 굴곡시킨 상태에서 무릎의 슬과부위에 패드를 대어 언더앵커를 감는다. 대퇴부와 하퇴부에는 먼저 신축성 테이프를 각각 2번씩 감고, 다음으로 백색테이프를 2번씩 각각의 앵커위에 감는다.
②신축성 테이프로 슬관절의 전면 중앙부에서부터 외측을 거쳐 대퇴부 전면 중앙까지 스파이럴 테이프를 감는다.
=>대퇴에 대하여 하퇴가 전방으로 밀려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퇴의 내선을 방지한다.
③동등하게 조금씩 어긋나게 하여 다시 한번 테이프를 감는다.
④ ③과는 반대로 무릎 밑 전면 중앙으로부터 내측을 거쳐 대퇴부의 중앙까지 스파이럴 테이프를 감는다.
=>대최에 대하여 하퇴가 전방으로 밀려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퇴의 외선을 방지한다.
⑤동등하게 조금씩 어긋나게 하여 다시 한번 테이프를 감는다.
=>양측으로 부터의 스파이럴 테이프 보다 대퇴골에 대해 경골이 전방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⑥내측 및 외측에 신축성 테이프를 세로로 붙인다. (전십자인대와 동등하게 주행하여 붙임)
⑦대퇴부와 하퇴부에 백색 테이프로 2번씩 앵커를 감아서 완성한다.
7.견사관절 손상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
①견사관절의 위에 패드를 올려놓는다. 패드는 직경 3Cm정도가 좋다.
②패드의 위에서부터 신축성 테이프로 압박을 가하면서 붙인다. 이 경우, 먼저 테이프의 위에 패드를 붙여놓으면 신체에도 붙이기 쉽다. 테이프의 방향은 그림과 같이 어깨의 해부학적 방향으로 곧바로 내려서 밀착시켜 붙인다.
③2의 테이프의 위에서부터 동등한 신축성 테이프로 X자가 되도록 상완의 방향으로 붙인다.
④동등한 신축성 테이프로 양단과 함께 stirrup 테이프를 붙인다. 이 경우에 패드는 stirrup 테이프의 중앙에 오도록 주의하고 압박을 가하면서 붙여 완성한다. 그리고 운동시에 테이프가 떨어지지않도록 다시한번 써포트 테이프를 붙이던가 탄력붕대를 감으면 좋다.
=>양단을 stirrup 테이프로 붙이는 것은 4방향에 늘려 당기므로서 발생 되는 압력을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에 의해 압박력이 증가함뿐 아니고 움직임에도 대응하며 견사관절의 흔들림을 감소 시키는 역할을 한다.
8.아킬레스건염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
①족부, 아킬레스건 공통의 언더랩과 앵커를 실시한다.
②족관절을 저굴위로 하여 종골의 회내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신축성 테이프를 사용한다. 족저부 후방 외측보다 후방 비스듬하게 하여 종골이 회외위를 유지 할수 있게끔 하퇴부의 앵커까지 붙인다.
=>저굴위에서의 회내방지
③족관절을 중간위로 하여 같은 위치에서 시작하며 먼저 붙어있는 테이프의 반정도를 겹쳐서 스타업을 붙인다.
=>중간위에서의 회내방지
④족관절을 배굴위로 하여 족저 외측 후방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후방의 종골을 회외위로 유지 하면서 (종골에 걸리는 느낌으로), 아킬레스건 내측으로부터 아킬레스 건을 비스듬하게 위와 옆으로 올리면서 감아 올라간다.
=>배굴위에서의 회내방지
⑤2~4를 백색 테이프 또는 신축성 테이프로 동일하게 붙인다.
⑥하퇴부, 호스슈, 족부에 앵커를 붙여서 완성한다.
9.대퇴 슬와근의 근단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①슬관절을 70도 정도 굴곡 시켜 대퇴부의 상하에 백색 테이프로 앵커를 붙인다.
②내측위로부터 외측밑으로 비스듬하게 백색테이프를 붙인다.
③½정도 겹쳐서 동등하게 붙인다.
④2와 3을 각각 10번씩 상호적으로 짜서 올린다.
⑤2~4의 테이프를 상하의 앵커로 고정하고 세로방향의 써포트를 위의 앵커로부터 ½정도 겹치게 하여 감으며 최종적으로는 앵커로 고정하여 완성한다.
10.수관절 상해에 대한 테이핑법을 설명하고 실제 테이핑을 시술하시오.
=>①언더랩을 장측과 수관절에 걸쳐서 감고 전완부에 백색 테이프로 2번정도 감는다. ½정도 겹쳐서 앵커를 접어 그림과 같이 역 V자로 하고 가위를 사용하여 구멍을 만든다. 그 구멍에 모지를 넣어 비스듬하게 한번 감는다. 3번째의 앵커로서 수관절에 동등한 폭의 백색 테이프를 한번 감는다.
②다시한번 동등한 폭의 백색테이프로 앵커를 감는다. 수관절으 l장측으로부터 실시하여 배측으로 돌려 장측으로 비스듬이 내려 수관절 배측의 앵커까지 감는다.
③손을 척측굴곡, 장측굴곡, 회내위로 유지하고 신축성 테이프로 2.의 앵커방향에 따라 손의 배측으로부터 수관절의 밑으로 돌린다. 그리고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이때에 수관절보다 조금 말초에 가까운 곳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요측굴곡, 배측굴곡, 회외방지
④또다시 손을 척측굴곡, 장측굴곡, 회내위로 하여 동등한 폭의 신축성 테이프로 장측에서부터 시작하여 수관절의 밑으로 돌린다. 수관절보다 조금 말초에 가까운 곳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3,4로 요측굴곡의 최종 가동역까지 고정하도록 제어한다. 4는 요측굴곡 제한의 보조와 3의 테이프의 운동제한에 의해 편위되는 것을 조절한다. - 척측굴곡과 회내도 제한하여 수관절 전체를 고정시킬때는 다음의 5,6도 추가한다.
⑤신축성 테이프로 장측에서부터 시작하여 모지의 밑을 거쳐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⑥5와 같이 신축성 테이프로 손등의 중앙으로부터, 모지 밑을 거쳐 스파이럴로 전완부의 앵커까지 감는다.
⑦3,4의 위에서부터 백색 테이프로 신축성 테이프를 겹쳐서 동등하게 감고, 최종적으로는 손의 장측, 수근관절, 전완부에 앵커를 감아서 완성한다. (5,6을 추가할 경우에는 동등하게 백색 테이프를 신축성 테이프의 위에서부터 겹쳐서 감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