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은 없으므로 자신의 사랑법이 최선인 것으로 알고 사랑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인 듯 하다. 김승옥 소설을 대표하는 분위기와 독특한 문체가 사랑이라는 미묘한 감정과 얽혀 무진기행에서 더욱 빛나고 있다.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이나 서울 1964년 겨울이나 서울의 달빛 0장등 1인칭 화자에 의해 서술되므로 내가 소설을 읽는 동안 주인공 ‘나’가 되어 소설을 읽어 나가고 있다. 그리고 시어처럼 쓰인 아름다운 문장들이 소설의 분위기를 지배하고 있으며, 1960년대를 넘어서 현재에도 ‘지금, 여기’의 삶과에 공감을 가지고, 김승옥의 소설의 문체는 여전히 유효한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리해 보면, 김승옥의 소설은 50년대 문학이 거의 예외 없이 보여주었던 강력한 문제의식 내지 교훈주의, 번역한 듯한 투의 문장에서 벗어나고, 경직된 것을 탈피하여 재기발랄한 감수성과 위트, 말장난(서울 1964년 겨울에 잘 드러난다), 이국적이며 애상적인 문체가 돋보이고, 인간의 숙면적 조건으로서의 고독을 존재 그 자체의 생생한 모습으로 포착하고 있는 점에서 아직도 널리 읽히는 소설인 듯싶다. 아마 앞으로도 분위기 소설의 전통을 계승할 것으로 생각된다.
추천자료
무진기행
무진기행을 읽고
감상문 - 무진기행
무진기행을읽고
무진기행을 읽고
김승옥 무진기행 감상
김승옥의 무진기행
무진기행을 읽고
무진기행
[독후감] 무진기행을 읽고 _ 김승옥 저
가사문학(가사) 노처녀가, 권주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남정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가사(가사문학) 면앙정가, 오섬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성주중흥가, 갑민가 작품분석, ...
고려속요(고려가요) 청산별곡 작품분석, 고려속요(고려가요) 서경별곡 작품분석, 고려속요(고...
고소설(고전소설) 임진록 작품분석, 고소설(고전소설) 사씨남정기, 고소설(고전소설) 위경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