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공 서비스의 민간 위탁 결정에 누가 영향을 미치는가?
I. 머리말
II. 자료 수집 방법 및 분석 방법
III. 위탁 성과에 따른 군집별 특성
IV. 민간 위탁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사람
VIII. 마무리
참고 문헌
I. 머리말
II. 자료 수집 방법 및 분석 방법
III. 위탁 성과에 따른 군집별 특성
IV. 민간 위탁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사람
VIII. 마무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부자치단체장이나 자치단체장의 업무 과중을 막으면서 효과적으로 위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보는 까닭이다.
한편, 공공 서비스에 관한 민간 위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추진(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할 것인가 대해서는 아직 속단하기 어렵지만, 연구자 개인의 의견으로는 구성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앞의 분석 부분에서 논의하였듯이 위원회 구성이 반드시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없는 데다가, 위원회를 구성할 경우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까닭이다. 곧, 책임의 회피, 업무의 지연 등 위원회가 가지는 단점을 생각할 때, 실무 담당자의 민간 위탁 여건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담당 국과장의 신중한 결정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위원회의 구성은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 문헌
박경원(1989). 도시 공공 서비스의 민간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박경효(1992). “공공서비스 생산의 민간화에 대한 평가 : 서울시 쓰레기 수거 업무 사례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5권 제4호.
박재희서성아(1998). 행정 서비스 제공 방식의 다원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박종화 역(Savas, E. S.)(1994). 민영화의 길. 서울: 한마음사.
손희준(1991). 한국 도시 공공 서비스의 민영화 성과 측정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이계식(1996). 중앙지방 정부 관계의 재정립: 영국 지방 자치의 경험과 교훈, 정책 연구 시리즈 96-03. 한국개발연구원.
이혜훈(1997). “영국 완즈와스 구: 중앙 주도 지방 정부 개혁의 선두 주자,” 아래로부터의 정부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송근원강대창(2002). “위탁 여건에 따른 공공 서비스의 유형,”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제 12권 제 4호: 415-437. 서울: 서울행정학회.
송근원강대창허남식(2003). “공공 서비스의 민간 위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행정연구 제 12권 제 3호: 121-143.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전상경 역(J. C. Wolf)(1991). 시장과 정부. 서울: 교문사, 1991.
허남식(2000). 지방 공공 서비스 민간 위탁의 효율적 집행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Deakin, N. and K. Walsh(1996). “The Enabling State: The Role of Markets and Contract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74.
DeHoog, R. H.(1984a). Contracting-Out for Human Services: Economic,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SUNY Press.
DeHoog, R. H.(1984b).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ontracting-Out of Public Services,” George C. Edwards Ⅲ(ed.), Public Policy Implementation. Connecticut: JAI Press Inc.
DeHoog, R. H.(1990). "Competition, Negotiation or Cooperation: Three Models for Service Contracting," Administration & Society, Vol. 22.
Donahue, J.(1989). The Privatization Decision: Public Ends, Private Means. New York: Basis Books.
Glassberg, A.(1981). "The Urban Fiscal Crisis Becomes Routin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41, Jan.
Globerman, Steven and Aidan R. Vining(1996).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Government Contracting-Out Decision with an Application to I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6, No. 6.
Levin, M. A. and M. B. Sanger(1994). Making Government 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Osborne, D. and Ted Gaebler(1992).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MA: Addison-Wesley.
Rehfuss, J. A.(1989). Contracting-Out in Government: A Guide to Working with Outside Contractors to Supply Public Service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Sappington, D. E. M. and J. E. Stiglitz(1987). "Privatization, Information and Incentive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Vol. 6, Nov/Dec.
Seidenstat, P.(1996). "Privatization: Trends, Interplay of Forces, and Lessons Learned", Policy Studies Journal, Vol. 24, No. 3.
Sharp, E. B.(1990). Urba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From Service Delivery to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Longman.
Weimer, David L. and Aidan R. Vining(1992). Policy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New Jersey: Prentice-Hall Inc..
한편, 공공 서비스에 관한 민간 위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추진(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할 것인가 대해서는 아직 속단하기 어렵지만, 연구자 개인의 의견으로는 구성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앞의 분석 부분에서 논의하였듯이 위원회 구성이 반드시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없는 데다가, 위원회를 구성할 경우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까닭이다. 곧, 책임의 회피, 업무의 지연 등 위원회가 가지는 단점을 생각할 때, 실무 담당자의 민간 위탁 여건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담당 국과장의 신중한 결정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위원회의 구성은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 문헌
박경원(1989). 도시 공공 서비스의 민간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박경효(1992). “공공서비스 생산의 민간화에 대한 평가 : 서울시 쓰레기 수거 업무 사례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5권 제4호.
박재희서성아(1998). 행정 서비스 제공 방식의 다원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박종화 역(Savas, E. S.)(1994). 민영화의 길. 서울: 한마음사.
손희준(1991). 한국 도시 공공 서비스의 민영화 성과 측정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이계식(1996). 중앙지방 정부 관계의 재정립: 영국 지방 자치의 경험과 교훈, 정책 연구 시리즈 96-03. 한국개발연구원.
이혜훈(1997). “영국 완즈와스 구: 중앙 주도 지방 정부 개혁의 선두 주자,” 아래로부터의 정부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송근원강대창(2002). “위탁 여건에 따른 공공 서비스의 유형,”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제 12권 제 4호: 415-437. 서울: 서울행정학회.
송근원강대창허남식(2003). “공공 서비스의 민간 위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행정연구 제 12권 제 3호: 121-143.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전상경 역(J. C. Wolf)(1991). 시장과 정부. 서울: 교문사, 1991.
허남식(2000). 지방 공공 서비스 민간 위탁의 효율적 집행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Deakin, N. and K. Walsh(1996). “The Enabling State: The Role of Markets and Contract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74.
DeHoog, R. H.(1984a). Contracting-Out for Human Services: Economic,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SUNY Press.
DeHoog, R. H.(1984b).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ontracting-Out of Public Services,” George C. Edwards Ⅲ(ed.), Public Policy Implementation. Connecticut: JAI Press Inc.
DeHoog, R. H.(1990). "Competition, Negotiation or Cooperation: Three Models for Service Contracting," Administration & Society, Vol. 22.
Donahue, J.(1989). The Privatization Decision: Public Ends, Private Means. New York: Basis Books.
Glassberg, A.(1981). "The Urban Fiscal Crisis Becomes Routin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41, Jan.
Globerman, Steven and Aidan R. Vining(1996).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Government Contracting-Out Decision with an Application to I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6, No. 6.
Levin, M. A. and M. B. Sanger(1994). Making Government 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Osborne, D. and Ted Gaebler(1992).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MA: Addison-Wesley.
Rehfuss, J. A.(1989). Contracting-Out in Government: A Guide to Working with Outside Contractors to Supply Public Services.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Sappington, D. E. M. and J. E. Stiglitz(1987). "Privatization, Information and Incentive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Vol. 6, Nov/Dec.
Seidenstat, P.(1996). "Privatization: Trends, Interplay of Forces, and Lessons Learned", Policy Studies Journal, Vol. 24, No. 3.
Sharp, E. B.(1990). Urba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From Service Delivery to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Longman.
Weimer, David L. and Aidan R. Vining(1992). Policy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New Jersey: Prentice-Hall Inc..
추천자료
브랜드가 소비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공공재 이론과 사회이슈와의 접목
신공공관리론
(한국사회문제B형)추적한국건강불평등을 읽고 의료를 서비스로 간주하는 관점의 등장배경과 ...
호텔의 리더십, 인적자원, 조직몰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공과 민간의 역할분담
[A+] 공공의료 현황 및 관련 법률 공공의료의 절대적 빈곤 민간의료의 급격한 팽창 보건의...
음반저작권(음악저작권, MP3저작권) 개념, 의의, 음반저작권(음악저작권, MP3저작권) 영향, ...
[서비스교육훈련]교육훈련의 개념, 패밀리 레스토랑에서의 교육훈련, 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
[아동복지론] 빈곤문제(貧困問題)로 인하여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빈곤 아동 지원서비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공적, 사적)의 실태와 그 중 한 곳의 사적(...
[이직][이직 정의][이직 범위][이직 효과][이직 결정요인][이직 선행연구][이직 면담]이직의 ...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행정의 이념, 사회복지행정 과정,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사회복지의 재원(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