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 총정리 - 선사시대~추상표현주의 까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미술사 총정리 - 선사시대~추상표현주의 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선사시대와 원시미술 : 근원으로의 회귀
2. 이집트 : 사후세계를 위한 미술
3. 메소포타미아 : 현실과의 투쟁
4. 그리스 : 인간으로의 각성
*아르카익Archaic시대(기원전 7세기-6세기)
*클래식Classic시대(기원전 5세기-4세기)
*헬레니즘 시대Hellenism (기원전 3세기-1세기)
*로마시대 : 정복자들의 미술
5. 중세 미술 : 종교의 시대
*초기 기독교 미술early christian art 4-8C
*비잔틴미술Byzantine Art 5-10C
*로마네스크 미술Romanesque Art 11-12C
*고딕미술 Gothic Art 13-14C
6. 르네상스 미술Renaissance Art : 인간과 자연의 탐구
*초기 르네상스
*전성기 르네상스
*북유럽의 르네상스
7. 바로크 미술Baroque Art : 양식의 혁명 1600-1750
8.로코코 미술Rococo Art : 소유와 욕망
9.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 전통과 혁신의 시대
*신고전주의 미술Neo-Classcisme
*낭만주의 미술Romanticism Art
*사실주의Realism
10. 전통과의 단절 : 19C말-20C초
11. 인상주의Impressionisme
12. 신인상주의Neo-Impressionism
13. 후기 인상주의Post-Impressionism
14. 상징주의Symbolism
15. 아르누보 Art Nouveau
16. 나비파 Les Nabis
17. 근대 조각의 거장들
18. 야수파 Fauvisme
19. 표현주의Expressionism
20. 다리파Die Brucke
21. 청기사파Der Blaue Reiter
22. 입체파Cubisme
23. 콜라주collage와 파피에 콜레papier coll
24. 미래주의 Futurisme
25. 드 스틸De Stijl
26. 구성주의
27. 다다Dada
28. 초현실주의Surr alisme
29. 현대 미술 : 다양성의 시대
30. 추상 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본문내용

를 사기행위로 판단하면서, 기성세대들의 태도와 인습에 도전하기 위하여 반 예술적 부정과 파괴를 예술의 표현수단으로 채택하였다. 1918년 7월 다다선언에서 트리스탄 짜라는 "다다의 시작은 예술의 시작이 아니라 혐오의 시작이다"라고 하였고, "모든 미학적, 윤리적 가치들을 무효화하고, 다다가 전하는 가르침까지도 포함한 모든 교훈들을 믿지 말라"고 주장하였다.
1. 1차 세계대전 이라는 시대적 참상 속에 유럽과 미국 양 대륙에서 일어난 동시다발적 국 제 운동
2. 기존가치와 전통적 위엄을 거부하는 지적 무정부주의를 지향
3. 각종 예술 장르 간의 경계를 넘어 시, 회화, 음악, 연극, 영화 등 모든 예술의 총합을 이 룬 총체예술
다다운동은 어떤 특정한 스타일을 지닌 양식을 지닌 예술 운동이라기보다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 새로운 예술윤리를 세우려는 하나의 정신적, 도덕적 혁명으로 전통적 고정관념으로부터 세계를 해방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질서-비이성적이고 부조리한 성격을 지닌 질서를 발견하고자 했던 창조적 회의주의에서 나온 것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장 아르프Jean Arp, 막스 에른스트Max Ernst, 만 레이Man Ray
28. 초현실주의Surr alisme
1차 세계 대전은 유럽인들에게 커다란 마음의 상처를 주며 사람들은 이러한 현실에 반反한 다른 세상을 탐구하는 계기를 맞게된다. 기성세대의 윤리, 종교, 정치, 사회등 광범위한 가치관에 일대전환을 꾀하여 자유로운 정신을 구가하고자 했던 정신적 경향이었다.
초현실주의가 기성의 가치관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점과 성性에 대한 개방적인 접근방식을 취했다는점, 반反기독교적 사고, 기발한 조형적 개념을 표현하였다는 점등은 다다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현실주의는 기성의 가치인 이성이 파괴된 후에 스스로 일어나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려는 야심적 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초현실주의는 근본적으로 경험의 경계를 넘어서려고 애썼으며 현실을 본능적이고 잠재적인 꿈의 경험과 융합시켜서 논리적이며 실재하는 현실, 그 자체를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시켜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현실에 도달하려 했다. 프로이드Freud의 리비도Libido, 혼돈된 꿈의 상태, 에로티시즘등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것도 우리가 살고 있는 기존의 현실세계에 초현실적인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려는 열망에서였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인간에게는 여성뿐만 아니라 野性도 있으며 선善 뿐만 아니라 악惡도 있다는 것, 눈을 뜨고 지내는 현실뿐만 아니라 자신도 알 수 없는 곳을 배회하는 꿈의 세계도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 등, 인간내면의 속성을 직시하였다.
* 미로Joan Mir , 달리Salvador Dali, 아르프Jean Arp, 에른스트Max Ernst
29. 현대 미술 : 다양성의 시대
이만년 이상 지속되어온 미술의 전통은 20세기에 들어서 그림 내부의 질서와 형식을 중시하는 새로운 원리에 의하여 그 근본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다. 현대 미술이 그 내부의 질서로 눈을 돌리자 새로운 미술 양식이 봇물 터지듯 나오기 시작하였다.
더이상 회화는 자연을 그대로 묘사하는데 중점을 두던 것을 그만두고 형태와 색채를 새로운 각도에서 재해석하고 연구하였던 것이다. 더욱 뚜렷해진 개성과 주관은 복잡하고 다양한 양식으로 전개되는 현대미술로 나타난다. 특히, 추상 미술의 등장은 새로운 표현의 세계를 열었다.
30. 추상 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1) 시대적 상황
미국화단이 세계미술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0년대부터였다. 20세기 전반의 마티스, 피카소, 칸딘스키의 추상미술이 순수한 색채와 선의 구성을 통한 형식의 문제에 탐구하고 있을 때 미국미술은 아직도 사실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1930년대 겪었던 경제공황이나 사회적 불만은 지역주의나 사회적 사실주의와 같은 미술경향을 낳게 하면서 화가와 미술은 사회와 밀접하게 관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은 유럽과 미국의 화단을 크게 바꾸어 놓아 전쟁을 피해 앙드레 브르통, 페르낭 레제, 피에르 몬드리안, 살바도르 달리, 한스 호프만 등의 유럽화가들이 미국으로 정착하였던 것이다. 가장 실험적이고 아방가르드적인 유럽화가들의 미국거주는 미국화단에 큰 자극이 되었다. 매우 어려운 시기였던 경제공황과 전쟁을 겪으면서 자란 뉴욕의 젊은 화가 들은 합리적이고 논리를 근거로 한 입체주의, 기하학적 추상보다는 자신의 사고와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확인할 수 있는 미술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초현실주의의 자유연상의 색 효과, 독일표현주의의 두터운 물감의 물질성, 동양의 서예적 획을 도입하여 앞서간 경향의 종합 이상의 과격한 개혁을 시도하였다.
2) 특징
추상 표현주의는 회화에 있어서 무의식성을 강조한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에서 강한 암시를 받았다. 실제로 추상표현주의는 이 점에서 추상적이면서도 전통적인 추상과 동일하지 않다. 전통적인 추상은 구상 회화의 경우처럼 인간, 사물, 풍경 등을 표현 대상으로 삼지 않지만 삼각형이나 원 따위, 선이나 면에 의해 생성되는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이것은 현대 회화의 한 특성으로 화면은 원근감을 잃고 평면화 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그라운드와 전경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추상표현주의는 구상적이거나 추상적이거나 간에 지시성과 방향성을 거부한다. 추상표현주의는 1951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미국 추상회화 조각전'을 계기로 주도적인 미술운동을 전개했다. 그리하여 1951년과 1961년 사이에 이 운동은 미국 전역과 세계 각국으로 파급되었다. 그러나 1960년을 정점으로 쇠퇴기를 맞이하게 된다. 추상표현주의는 라인하트, 뉴먼, 로드코, 머더웰등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일어난 색면파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폴록Jackson Pollock, 드 쿠닝Willem De Kooning, 이브 클라인Yves Klein, 마크 로드코Mark Rothko, 바넷 뉴먼Barnett Newman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5.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