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자음과 모음이 각각 하나씩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이루는데, 학계에서는 이를 모라(mora)라고 한다.
○ 자음 중에서도 [n]과 [l]은 모음과 비슷한 역할을 하여서 하나의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한국어 : 자음+모음+자음
일본어 : 자음+모음
영 어 : 세 개의 자음이 모음 앞에 오기도 한다.
□ 혈통이 다른 두 언어가 어휘의 유사성을 보일 때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①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일방적으로 어휘가 전해진 경우
② 제3의 언어로부터 빌려온 어휘를 나누어준 경우
□ 문장의 어순
○ 한국어 : 주어+목적어+동사
○ 중국어 : 주어+동사+목적어
○ 영 어 : 주어+동사+목적어
□ 한자에서 [n, ]을 제외한 모든 받침을 빼버리면 현대 중국어가 된다.
○ 中國(중국) ⇒ [국]에서 받침 ‘ㄱ’을 빼면 ⇒ [중꿔]
○ 北京(북경) ⇒ 받침 ‘ㄱ’을 빼면 ⇒ [페킹], [베이징]
○ 南京(남경) ⇒ [낭킹], [난징]
○ 江擇民(강택민) ⇒ ‘ㄱ'받침을 빼야 하니까 ⇒ [장쩌민]
북경(北京)의 ‘ㄱ’이 ‘ㅈ’으로 바뀐 이유는 [g]발음은 전설모음 [i]나 [e] 앞에서 약화되어서 []로 바뀐다. - 이러한 현상을 구개음화(palatalization) 라 한다.
영어에서도 cake, cow, cool의 c는 [k]발음이 유지되지만 Cinderella, city, century에서의 c는 [s]로 약화되는 것이다. 또 goose, gasoline, gossip의 g는 [g]의 발음이 유지되지만 general, rene, trigem에서의 g 는 []로 바뀌는 것이다.
※ 중국어의 [t]가 한국어로 도입되면 [ㄹ]로 바뀐다.
□ 우리의 토박이 말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어휘들 중에 많은 것들이 외래어에서 차용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
○ 중국에서 전래된 고대 한국어
바람, 강, 마을, 거리, 씨, 가지, 오다, 길, 벼로, 그물, 감, 실, 세, 탈, 맛 등
○ 우리말의 어휘들은 현재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부분이 중국어로부터 도입되었을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 우리 민족의 대표적음식이라 할 수 있는 김치와 김치를 만드는 배추조차도 우리말이 아니라 중국어에서 온 것이니, 우리의 토박이 말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어휘들 중에 얼마나 많은 것들이 외래어에서 차용되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무릇 문화란 서로 주고받고 섞이는 것이므로 순수하게 우리말의 어휘라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지도 모른다.
○ 자음 중에서도 [n]과 [l]은 모음과 비슷한 역할을 하여서 하나의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한국어 : 자음+모음+자음
일본어 : 자음+모음
영 어 : 세 개의 자음이 모음 앞에 오기도 한다.
□ 혈통이 다른 두 언어가 어휘의 유사성을 보일 때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①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일방적으로 어휘가 전해진 경우
② 제3의 언어로부터 빌려온 어휘를 나누어준 경우
□ 문장의 어순
○ 한국어 : 주어+목적어+동사
○ 중국어 : 주어+동사+목적어
○ 영 어 : 주어+동사+목적어
□ 한자에서 [n, ]을 제외한 모든 받침을 빼버리면 현대 중국어가 된다.
○ 中國(중국) ⇒ [국]에서 받침 ‘ㄱ’을 빼면 ⇒ [중꿔]
○ 北京(북경) ⇒ 받침 ‘ㄱ’을 빼면 ⇒ [페킹], [베이징]
○ 南京(남경) ⇒ [낭킹], [난징]
○ 江擇民(강택민) ⇒ ‘ㄱ'받침을 빼야 하니까 ⇒ [장쩌민]
북경(北京)의 ‘ㄱ’이 ‘ㅈ’으로 바뀐 이유는 [g]발음은 전설모음 [i]나 [e] 앞에서 약화되어서 []로 바뀐다. - 이러한 현상을 구개음화(palatalization) 라 한다.
영어에서도 cake, cow, cool의 c는 [k]발음이 유지되지만 Cinderella, city, century에서의 c는 [s]로 약화되는 것이다. 또 goose, gasoline, gossip의 g는 [g]의 발음이 유지되지만 general, rene, trigem에서의 g 는 []로 바뀌는 것이다.
※ 중국어의 [t]가 한국어로 도입되면 [ㄹ]로 바뀐다.
□ 우리의 토박이 말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어휘들 중에 많은 것들이 외래어에서 차용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
○ 중국에서 전래된 고대 한국어
바람, 강, 마을, 거리, 씨, 가지, 오다, 길, 벼로, 그물, 감, 실, 세, 탈, 맛 등
○ 우리말의 어휘들은 현재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부분이 중국어로부터 도입되었을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 우리 민족의 대표적음식이라 할 수 있는 김치와 김치를 만드는 배추조차도 우리말이 아니라 중국어에서 온 것이니, 우리의 토박이 말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어휘들 중에 얼마나 많은 것들이 외래어에서 차용되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무릇 문화란 서로 주고받고 섞이는 것이므로 순수하게 우리말의 어휘라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지도 모른다.
추천자료
토익에 자주나오는 어휘나 영단어
글로벌에티켓
일본 천황제에 대하여
청주대학교 중간고사 심리학의로의 초대 2014 최신 직접작성
프랑스퀴즈1
2017년 2학기 아동미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교육철학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국문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현대소설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교육학과 교육철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과 아동미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과 특수아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