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족보를 찾아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의 족보를 찾아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자음과 모음이 각각 하나씩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이루는데, 학계에서는 이를 모라(mora)라고 한다.
○ 자음 중에서도 [n]과 [l]은 모음과 비슷한 역할을 하여서 하나의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한국어 : 자음+모음+자음
일본어 : 자음+모음
영 어 : 세 개의 자음이 모음 앞에 오기도 한다.
□ 혈통이 다른 두 언어가 어휘의 유사성을 보일 때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①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일방적으로 어휘가 전해진 경우
② 제3의 언어로부터 빌려온 어휘를 나누어준 경우
□ 문장의 어순
○ 한국어 : 주어+목적어+동사
○ 중국어 : 주어+동사+목적어
○ 영 어 : 주어+동사+목적어
□ 한자에서 [n, ]을 제외한 모든 받침을 빼버리면 현대 중국어가 된다.
○ 中國(중국) ⇒ [국]에서 받침 ‘ㄱ’을 빼면 ⇒ [중꿔]
○ 北京(북경) ⇒ 받침 ‘ㄱ’을 빼면 ⇒ [페킹], [베이징]
○ 南京(남경) ⇒ [낭킹], [난징]
○ 江擇民(강택민) ⇒ ‘ㄱ'받침을 빼야 하니까 ⇒ [장쩌민]
북경(北京)의 ‘ㄱ’이 ‘ㅈ’으로 바뀐 이유는 [g]발음은 전설모음 [i]나 [e] 앞에서 약화되어서 []로 바뀐다. - 이러한 현상을 구개음화(palatalization) 라 한다.
영어에서도 cake, cow, cool의 c는 [k]발음이 유지되지만 Cinderella, city, century에서의 c는 [s]로 약화되는 것이다. 또 goose, gasoline, gossip의 g는 [g]의 발음이 유지되지만 general, rene, trigem에서의 g 는 []로 바뀌는 것이다.
※ 중국어의 [t]가 한국어로 도입되면 [ㄹ]로 바뀐다.
□ 우리의 토박이 말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어휘들 중에 많은 것들이 외래어에서 차용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
○ 중국에서 전래된 고대 한국어
바람, 강, 마을, 거리, 씨, 가지, 오다, 길, 벼로, 그물, 감, 실, 세, 탈, 맛 등
○ 우리말의 어휘들은 현재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부분이 중국어로부터 도입되었을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 우리 민족의 대표적음식이라 할 수 있는 김치와 김치를 만드는 배추조차도 우리말이 아니라 중국어에서 온 것이니, 우리의 토박이 말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어휘들 중에 얼마나 많은 것들이 외래어에서 차용되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무릇 문화란 서로 주고받고 섞이는 것이므로 순수하게 우리말의 어휘라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지도 모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0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