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역 분석 방법
유역 분석 결과
유역 분석 결과
본문내용
gon을 Polyline로 변환시켰다.
변환된 파일에 update Length기능을 이용하여 <그림.18>과 같이 각 선의 길이를 구하였다.
Polyline의 테이블에 있는 모든 길이의 합을 엑셀을 이용하여 합한 결과 117852.522가 나왔다.
<그림.17>ployline로 전환
<그림.18>각 선의 길이
○ 하천 경사
<그림.19>와 같이 Map Calculation을 사용하여 %경사도와 하천망을 곱하여 각 하천의 경사를 <그림.20>과 같이 색으로 구분할 수 있게 해보았다.
<그림.19>%경사와 하천망을 곱한다.
<그림.20>색으로 경사 구분 가능
○ 결론 및 고찰
SATEEC을 이용하여 하천의 평균고도와 길이, 경사, 특정 유역의 면적, 하천 차수등을 산출해 보았다. 과거 많은 공식과 시간으로 인해 구해지는 것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효율적임을 느꼈다. 하지만 프로그램은 자연현상을 그대로 옮기는 모델링이기에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수정으로 인해 더욱 정밀도가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 하천의 여러 성분에 대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산출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변환된 파일에 update Length기능을 이용하여 <그림.18>과 같이 각 선의 길이를 구하였다.
Polyline의 테이블에 있는 모든 길이의 합을 엑셀을 이용하여 합한 결과 117852.522가 나왔다.
<그림.17>ployline로 전환
<그림.18>각 선의 길이
○ 하천 경사
<그림.19>와 같이 Map Calculation을 사용하여 %경사도와 하천망을 곱하여 각 하천의 경사를 <그림.20>과 같이 색으로 구분할 수 있게 해보았다.
<그림.19>%경사와 하천망을 곱한다.
<그림.20>색으로 경사 구분 가능
○ 결론 및 고찰
SATEEC을 이용하여 하천의 평균고도와 길이, 경사, 특정 유역의 면적, 하천 차수등을 산출해 보았다. 과거 많은 공식과 시간으로 인해 구해지는 것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효율적임을 느꼈다. 하지만 프로그램은 자연현상을 그대로 옮기는 모델링이기에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수정으로 인해 더욱 정밀도가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 하천의 여러 성분에 대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산출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