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yte
Conc.Unit(1000배희석)
처음 sample Conc. Unit
Cu
4.848mg/L
4.848g/L
Zn
0.275mg/L
0.285g/L
Sn
7.609mg/L
7.609g/L
3차 증류수에 의한 실험
Analyte
Conc.Unit(1000배희석)
처음 sample Conc. Unit
Cu
4.595mg/L
4.595g/L
Zn
0.267mg/L
0.267g/L
Sn
7.603mg/L
7..603g/L
blank
Analyte
Conc.Unit(1000배희석)
처음 sample Conc. Unit
Cu
-0.013mg/L
-0.013g/L
Zn
-0.002mg/L
-0.002g/L
Sn
0.321mg/L
-0.321g/L
calibration summary
Analyte
corr.coef.
Cu
0.999906
Zn
0.999971
Sn
0.999800
※ 2차증류와 3차증류에서 값이 각각 다르게나오는 이유는? 2차 증류수보다 3차증류한것은 초순수용액이기 때문에 그만큼 더걸렀기에 2차보다 3차에서 더 각각의 원소의 농도가 낮다.
7. 논의 및 고찰
이번실험은 지난실험 방법인 AAS법과 유사하면서도 차이가 있는 실험이였으며 좀더 자세하게 실험을 통하여 지식을 쌓을수 있었습니다.이번실험은 ICP가 고체 액체 그리고 기체를 제외한 4상인 플라즈마를 이용해서 고온에서 여기된원자가 바닥상태로 갈 때 방출된 선을 통하여 용액의 정량을 분석하는 실험으로 플라즈마가 기초가 되는 고도의 기술이 집적된 기기를 이용하여 저의 흥미를 끌었습니다. 중앙기기센터에 가서 실험을 하였는데 조교님께서 실험방법등을 설명 해주셨는데 실험전에 표준용액을 만드는데 그이유가 용액안에 20가지의 많은 원소가 들어가 있기때문에 기준을 잡기 위해서 만드는것을 알수있었습니다. 용액을 만들때 가능한 불순물이 없은 용액을 만드는데 기기에 연결된 작은 관에 먼지및 불순물에 막혀 검출이 오류가 나거나 제데로 되지않음을 방지하기위해서 한다는 것또한 실험을 통해 알수있었습니다. 그리고 실험을 하면서 2차 및 3차 증류수로 sample를 행굴때 메스 피펫을 직접 사용 해보았는데 tip이란 꼭다리는 1회용 한번쓰면 버린다는것인데 이것역시 이물질 및 불순물 방지를 위해서 라는것을 듣고 아주 미량의 용액이나 시편 그리고 작은 실험일수록 미묘한 것에 영향을 받음을 다시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메스피펫은 1번눌러서 용액을 뽑고 2번눌러서 용액을 빼주는데 안에 공기를 확실히 빼주기위함이라는 것도 알게되었습니다. 실험을 끝나고 컴퓨터로 2차 3차 증류수에 의한 용액에 들어있는 20가지원소에 정량이 나오며 X선에서 본 Peak를 뛰는 파장을 볼수있었는데 이것을 조교님꼐서 손으로 원래 표준값에 하나 하나 다맞춰야 한다며 손수 보정하는것 을 볼수있었습니다. 보정시에는 반듯히 가장 peak가 큰것을 이론값의 peak값에 정확히 일치시켜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결과 차트를 보며 Sn이 용액에서 높은 농도로 그많은 정량분석에 의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으며 3학년인 저는 1학기때 X선회절에서 XRD를 이용하여 결정구도 강도 정량 분석등을 할수있다는것을 알았지만 이번실험에서 정량분석을 어떻게 하는것인지 물론XRD를 이용한것은 아니지만 파장 이용하는것이기에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리고 ICP 결과분석에 대해서 더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 실험시간이 조금 짧아서 아쉬움남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AAS의 경우에는 간섭현상이 일어나는데 ICP는 분광학적으로 간섭현상이 발생하는지 의문이 생겼으며, 이러한경우가 세라믹재료와 금속 재료 둘다크게 발생할지 아니면 어느것이 덜할지 궁금하였습니다.
Conc.Unit(1000배희석)
처음 sample Conc. Unit
Cu
4.848mg/L
4.848g/L
Zn
0.275mg/L
0.285g/L
Sn
7.609mg/L
7.609g/L
3차 증류수에 의한 실험
Analyte
Conc.Unit(1000배희석)
처음 sample Conc. Unit
Cu
4.595mg/L
4.595g/L
Zn
0.267mg/L
0.267g/L
Sn
7.603mg/L
7..603g/L
blank
Analyte
Conc.Unit(1000배희석)
처음 sample Conc. Unit
Cu
-0.013mg/L
-0.013g/L
Zn
-0.002mg/L
-0.002g/L
Sn
0.321mg/L
-0.321g/L
calibration summary
Analyte
corr.coef.
Cu
0.999906
Zn
0.999971
Sn
0.999800
※ 2차증류와 3차증류에서 값이 각각 다르게나오는 이유는? 2차 증류수보다 3차증류한것은 초순수용액이기 때문에 그만큼 더걸렀기에 2차보다 3차에서 더 각각의 원소의 농도가 낮다.
7. 논의 및 고찰
이번실험은 지난실험 방법인 AAS법과 유사하면서도 차이가 있는 실험이였으며 좀더 자세하게 실험을 통하여 지식을 쌓을수 있었습니다.이번실험은 ICP가 고체 액체 그리고 기체를 제외한 4상인 플라즈마를 이용해서 고온에서 여기된원자가 바닥상태로 갈 때 방출된 선을 통하여 용액의 정량을 분석하는 실험으로 플라즈마가 기초가 되는 고도의 기술이 집적된 기기를 이용하여 저의 흥미를 끌었습니다. 중앙기기센터에 가서 실험을 하였는데 조교님께서 실험방법등을 설명 해주셨는데 실험전에 표준용액을 만드는데 그이유가 용액안에 20가지의 많은 원소가 들어가 있기때문에 기준을 잡기 위해서 만드는것을 알수있었습니다. 용액을 만들때 가능한 불순물이 없은 용액을 만드는데 기기에 연결된 작은 관에 먼지및 불순물에 막혀 검출이 오류가 나거나 제데로 되지않음을 방지하기위해서 한다는 것또한 실험을 통해 알수있었습니다. 그리고 실험을 하면서 2차 및 3차 증류수로 sample를 행굴때 메스 피펫을 직접 사용 해보았는데 tip이란 꼭다리는 1회용 한번쓰면 버린다는것인데 이것역시 이물질 및 불순물 방지를 위해서 라는것을 듣고 아주 미량의 용액이나 시편 그리고 작은 실험일수록 미묘한 것에 영향을 받음을 다시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메스피펫은 1번눌러서 용액을 뽑고 2번눌러서 용액을 빼주는데 안에 공기를 확실히 빼주기위함이라는 것도 알게되었습니다. 실험을 끝나고 컴퓨터로 2차 3차 증류수에 의한 용액에 들어있는 20가지원소에 정량이 나오며 X선에서 본 Peak를 뛰는 파장을 볼수있었는데 이것을 조교님꼐서 손으로 원래 표준값에 하나 하나 다맞춰야 한다며 손수 보정하는것 을 볼수있었습니다. 보정시에는 반듯히 가장 peak가 큰것을 이론값의 peak값에 정확히 일치시켜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결과 차트를 보며 Sn이 용액에서 높은 농도로 그많은 정량분석에 의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으며 3학년인 저는 1학기때 X선회절에서 XRD를 이용하여 결정구도 강도 정량 분석등을 할수있다는것을 알았지만 이번실험에서 정량분석을 어떻게 하는것인지 물론XRD를 이용한것은 아니지만 파장 이용하는것이기에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리고 ICP 결과분석에 대해서 더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 실험시간이 조금 짧아서 아쉬움남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AAS의 경우에는 간섭현상이 일어나는데 ICP는 분광학적으로 간섭현상이 발생하는지 의문이 생겼으며, 이러한경우가 세라믹재료와 금속 재료 둘다크게 발생할지 아니면 어느것이 덜할지 궁금하였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