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본문내용
성한다.
(2) 그림 20에서 SW1을 off, SW2을 on한 상태에서 VR4 = 9k 일 경우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2에 기록한다.
(3)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2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의 LED D3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이 때의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2에 연결한다.
(5) 적외선 발광 센서 D1 과 포토 다이오드 D2 사이를 차단한 후 LED D3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VR4 = 20k 일 경우에 대해 (2),(3),(4),(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다.
표 12 포토 다이오드와 OP 앰프의 결합회로 실험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2)
실험 과정(3)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V0 (RL = 1k 인 경우)
V0 (RL = 36k 인 경우)
LED D3의 점등상태
포토 트랜지스터 실험
1. 목 적
포토 트랜지스터의 기본 특성을 이해하고, 포토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응용회로를 실험한다.
2. 기본 지식
(1) 포토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포토 다이오드를 역접속한 것으 로, 그 특성은 포토 다이오드에 트랜지스터의 여러 가지 특성이 첨가된 것이라 고 볼 수 있다.
(2)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 회로
포토 트랜지스터의 외부에 또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추가한 회로로서 접속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ㄱ. 이미터 출력 포토 달링톤 회로
ㄴ. 컬렉터 출력 포토 달링톤 회로
ㄷ. 반전 포토 달링톤 회로
ㄹ. 비반전 증폭회로
ㅁ. 이미터 출력 반전 포토 달링톤 회로
(3) 포토 트랜지스터는 그 자체가 큰 증폭작용을 가지고 있으나, IC 등의 액티브 소자를 병용하면 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ㄱ. 포토 트랜지스터에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조합
ㄴ. 포토 트랜지스터에 OP 앰프를 결합하여 회로를 구성
3. 실험 장비 및 부품
(1) 필요한 장비 및 부품
ㄱ, 브레드 보드(bread board)
ㄴ, 멀티미터
ㄷ, 오실로스코프
ㄹ, 트랜지스터 : 2SC 3198 (NPN)
ㅁ, OP 앰프 : A741
ㅂ, 포토 트랜지스터 : ST1K-LB
ㅅ, 적색 LED : TIL-221
ㅇ, 적외선 발광 센서 : 디-1KL3
ㅈ, 저항 : 55k , 3.3k , 1k , 4.7k , 10k , 2.2k 3,100k
ㅊ, TTL : 74LS14
ㅋ, 버저 : DC 3V
(2) 실험에 사용된 부품 멀티미터
ㄱ, 74LS14 (schmitt trigger)
4. 실험 방법
실험 4-1 : 포토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출력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회로 구성 시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의 투명창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3) SW1은 off, SW2는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3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3에 기록한다.
(5) 그림과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 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3 포토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출력회로 실험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그림 21 포토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출력회로
실험 4-2 :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 회로
그림 22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 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회로 구성 시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의 투명창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3) SW1은 off, SW2는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4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4에 기록한다.
(5) 그림과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 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4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의 회로 실험 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실험 4-3 : 슈미트리거를 사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그림 23 슈미트리거를 사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SW1을 off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5에 기록한다.
(3)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5에 기록한다.
(4) 그림 23과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5 슈미트리거를 사용한 포토 트랜지스터의 회로실험 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2)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실험 4-4 : OP 앰프를 이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그림 24 OP 앰프를 이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SW1을 off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6에 기록한다.
(3) SW1은 off, SW2는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6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6에 기록한다.
(5) 그림 24와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적외선 발광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 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6 OP 앰프를 이용한 트랜지스터의 회로실험 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2)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2) 그림 20에서 SW1을 off, SW2을 on한 상태에서 VR4 = 9k 일 경우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2에 기록한다.
(3)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2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의 LED D3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이 때의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2에 연결한다.
(5) 적외선 발광 센서 D1 과 포토 다이오드 D2 사이를 차단한 후 LED D3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VR4 = 20k 일 경우에 대해 (2),(3),(4),(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다.
표 12 포토 다이오드와 OP 앰프의 결합회로 실험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2)
실험 과정(3)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V0 (RL = 1k 인 경우)
V0 (RL = 36k 인 경우)
LED D3의 점등상태
포토 트랜지스터 실험
1. 목 적
포토 트랜지스터의 기본 특성을 이해하고, 포토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응용회로를 실험한다.
2. 기본 지식
(1) 포토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포토 다이오드를 역접속한 것으 로, 그 특성은 포토 다이오드에 트랜지스터의 여러 가지 특성이 첨가된 것이라 고 볼 수 있다.
(2)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 회로
포토 트랜지스터의 외부에 또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추가한 회로로서 접속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ㄱ. 이미터 출력 포토 달링톤 회로
ㄴ. 컬렉터 출력 포토 달링톤 회로
ㄷ. 반전 포토 달링톤 회로
ㄹ. 비반전 증폭회로
ㅁ. 이미터 출력 반전 포토 달링톤 회로
(3) 포토 트랜지스터는 그 자체가 큰 증폭작용을 가지고 있으나, IC 등의 액티브 소자를 병용하면 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ㄱ. 포토 트랜지스터에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조합
ㄴ. 포토 트랜지스터에 OP 앰프를 결합하여 회로를 구성
3. 실험 장비 및 부품
(1) 필요한 장비 및 부품
ㄱ, 브레드 보드(bread board)
ㄴ, 멀티미터
ㄷ, 오실로스코프
ㄹ, 트랜지스터 : 2SC 3198 (NPN)
ㅁ, OP 앰프 : A741
ㅂ, 포토 트랜지스터 : ST1K-LB
ㅅ, 적색 LED : TIL-221
ㅇ, 적외선 발광 센서 : 디-1KL3
ㅈ, 저항 : 55k , 3.3k , 1k , 4.7k , 10k , 2.2k 3,100k
ㅊ, TTL : 74LS14
ㅋ, 버저 : DC 3V
(2) 실험에 사용된 부품 멀티미터
ㄱ, 74LS14 (schmitt trigger)
4. 실험 방법
실험 4-1 : 포토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출력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회로 구성 시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의 투명창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3) SW1은 off, SW2는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3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3에 기록한다.
(5) 그림과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 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3 포토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출력회로 실험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그림 21 포토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출력회로
실험 4-2 :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 회로
그림 22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 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회로 구성 시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의 투명창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3) SW1은 off, SW2는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4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4에 기록한다.
(5) 그림과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 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4 포토 달링톤 트랜지스터의 회로 실험 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실험 4-3 : 슈미트리거를 사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그림 23 슈미트리거를 사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SW1을 off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5에 기록한다.
(3)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5에 기록한다.
(4) 그림 23과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적외선 발광 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5 슈미트리거를 사용한 포토 트랜지스터의 회로실험 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2)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실험 4-4 : OP 앰프를 이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그림 24 OP 앰프를 이용한 포토 트랜지스터 회로
(1) 회로 구성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SW1을 off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6에 기록한다.
(3) SW1은 off, SW2는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6에 기록한다.
(4)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출력전압 V0를 측정하여 표 16에 기록한다.
(5) 그림 24와 같이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SW1 및 SW2를 on한 상태에서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6) 적외선 발광센서 D1과 포토 트랜지스터 Q1 사이를 차단시킨 후 LED D2의 점등상태를 확인한다.
표 16 OP 앰프를 이용한 트랜지스터의 회로실험 결과
실험 과정
실험 과정(2)
실험 과정(3)
실험 과정(4)
실험 과정(5)
실험 과정(6)
출력전압 V0
LED D2의 점등상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