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2~3
2. 연구 방법 …………………………………………………………… 3
3. 연구 의의 및 한계 ………………………………………………… 4
본론
1. 소개 …………………………………………………………………… 5~8
2. 현황 …………………………………………………………………… 8~13
3. 성공요인 ……………………………………………………………‥‥ 13~17
4. 전략분석 ………………………………………………‥‥ 18~20
5. 문제점 ………………………………………‥‥‥ 20~22
6. 해결방안 및 발전 방향 ‥‥‥‥‥‥‥‥‥‥…… 22~24
결론
1. 요약 및 결론 ……………………………………………………‥‥ 24~25
2. 참고문헌 …………………………………………………………‥… 26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2~3
2. 연구 방법 …………………………………………………………… 3
3. 연구 의의 및 한계 ………………………………………………… 4
본론
1. 소개 …………………………………………………………………… 5~8
2. 현황 …………………………………………………………………… 8~13
3. 성공요인 ……………………………………………………………‥‥ 13~17
4. 전략분석 ………………………………………………‥‥ 18~20
5. 문제점 ………………………………………‥‥‥ 20~22
6. 해결방안 및 발전 방향 ‥‥‥‥‥‥‥‥‥‥…… 22~24
결론
1. 요약 및 결론 ……………………………………………………‥‥ 24~25
2. 참고문헌 …………………………………………………………‥… 26
본문내용
울철 제 맛을 자랑하고 있다.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감골도원’에서는 음성군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햇사레 복숭아 병조림 제조시설을 갖추고 음성군의 명품 농산물인 ‘햇사레 복숭아’를 전국 소비자들에게 4계절 내내 맛 볼 수 있도록 병조림 상품으로 생산하여 소비자의 입맛을 유혹하고 있다.
제품명 ‘병 속에 복숭아’는 복숭아 품종 ‘백설’로 감곡지역의 기름진 옥토에서 농부들의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명품 복숭아로 감곡 햇사레 복숭아의 맛과 우수한 품질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통조림과는 차별화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보관 용기를 유리병으로 제작 판매하고 있어 유아부터 노인들까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감골도원’에서 생산한 ‘병 속아 복숭아’는 한 상자(1.3㎏짜리 2병)에 1만5천원에 판매되고 있으며, 3상자이상 구입 시는 택배비는 무료다.
또한, 피부미용 효과가 뛰어나고 펙틴이 풍부해 변비에 효과 있고 발암성분 억제작용이 있는 ‘햇사레 복숭아즙’ 또한 1상자(50봉)에 1만5천원에 판매되고 있어 웰빙 음료수로 인기 만점이다. 음성투데이 - (http://www.estoday.kr)
ⓒ 음성투데이(http://www.estoday.kr)
복숭아 즙과 말랑한 복숭아의 개발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였지만, 아직 인지도와 상품보급이 부족하다. 고품질의 복숭아를 잘 활용하여 좀 더 소비자들에게 어필 가능한 가공 식품의 개발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상처가 나거나 작은 복숭아는 쥬스 및 통조림, 즙들 가공식품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좋은 예가 될 것이다.
결론
1. 요약 및 결론
“충북 음성군의 대표 농산물인 햇사레복숭아가 '2009한국지방자치브랜드 대상'에 선정됐다. 햇사레복숭아는 전국 농식품 파워브랜드대전 3회 연속 수상과 FTA기금 지원평가 전국 최우수 선정 등과 이번 수상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이어갔다”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FTA의 협상으로 인해 가장 타격을 받았을 농업부문에서 굳건히 자리를 지키며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는 햇사레복숭아 브랜드의 성공사례를 제시해줌으로써 농업의 발전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햇사레 복숭아가 업계 1위 브랜드의 자리를 지키며, 최고급 품질 브랜드 부가가치의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었던 힘은 차별화된 관리와 발 빠른 공동조합의 구축 이였다. 친환경농법, GAP기준, IFP생산체계, 공동선별 기준의 엄격한 적용, 유통업체와 도매시장 등의 구매담당자 의견을 적극 수렴한 소비자 지향적인 검품 및 상품 개발을 통한 체계적인 품질관리와 현대적이고 과학적인 유통시설 보유, 다양한 프로모션 전개 등을 통해 유통업체와 소비자, 생산자가 모두 Win-Win 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추진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준에 이르기 까지 모두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기후와 환경변화에 따른 일정한 품질 구축의 어려움, 판매자와 소비자들의 가격차, 유통시장의 변화로 인해 난관을 겪었으며 조합공동사업법인이라는 특성상 수익의 분배와 일정한 수준의 품질확보, “내가 지은 상품이 훨씬 월등해!”라는 개별농가의 의식 또한 햇사레복숭아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게 한 요소였다. 그렇다고 여기서 멈출 햇사레가 아니었다. 이런 어려움은 오히려 더 철저한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밑 걸음 작용을 했다. 햇사레 지역특성에 따른 재배기준 및 상품화와 브랜드 관리기준을 제시한 햇사레만의 차별화된 통합관리 매뉴얼을 제작하고, 철저한 검품강화, 품질관리단의 평가와 제제를 통해 한걸음 더 앞선 농업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는 남아있다. 작물의 특성상 기후에 민감하기 때문에 자체관리의 개발 노력이 더 이루어져야 하며, 출하농가의 저조한 품질에 대한 제재와 향상과 가격경쟁력, 한-칠레 FTA로 인한 농가의 흔들림이 그것이다. FTA 체결로 인해 햇사레가 타격을 입지 않았나 걱정되었지만, 다행히도 FTA 체결로 인해 오히려 가격 경쟁력이 향상 되었다
는 기쁜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이미 국내산의 복숭아 맛에 익숙한 국민들의 입맛 때문인지 칠레산 복숭아에 비해 햇사레가 맛과 육질이 더 월등하다고 여기고 있기에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문제는 칠레산이 아니다. 복숭아는 저조한 저장성으로 인해 물류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수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작물 중에 하나였지만, 중국산의 복숭아가 들어올 경우 맛과 육질이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하고, 물류비와 유통과정 또한 길지 않아 국내의 복숭아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햇사레는 점유율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더 좋은 품질과 시장분산을 위한 수출노력에 힘써야 한다. 최고급상품을 통해 중국의 상류계층을 대상으로 역 수출을 하는 것도 좋은 방향 일 것이다.
FTA의 체결과 농업부문의 경쟁력 감소로 인해 농업부문의 성장이 점차 둔화되고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남보다 발 빠른 노력과 꾸준한 개발, 관리의 노력으로 굳건히 업계 1위로 브랜드 파워를 자랑하고 있는 햇사레를 통해 농업의 발전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앞으로 다른 농업부문의 발전에 방향을 제시 해 줄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더 나아진 우리 농업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2. 참고문헌
<문헌>
햇사레 봄 소식지
햇사레 사업추진성과 자료 (햇사레과인조합공동사업법인 배부)
<기사>
농수축산 - (http://aflnews.co.kr)
민중의 소리 - ( http://www.vop.co.kr)
음성투데이 - (http://www.estoday.kr)
조선일보 이코노미 플러스 - (http://economyplus.chosun.com) 2005년 06월호
충북일보 - (http://www.inews365.com)
<인터넷>
농림수산식품부 - (http://www.mifaff.go.kr/main.tdf)
더 바이어 - ( http://www.withbuyer.com)
자유무역협정 국내 대책위원회 - (http://fta.korea.kr)
햇사레 홈페이지 - (http://www.hessare.co.kr/) ,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감골도원’에서는 음성군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햇사레 복숭아 병조림 제조시설을 갖추고 음성군의 명품 농산물인 ‘햇사레 복숭아’를 전국 소비자들에게 4계절 내내 맛 볼 수 있도록 병조림 상품으로 생산하여 소비자의 입맛을 유혹하고 있다.
제품명 ‘병 속에 복숭아’는 복숭아 품종 ‘백설’로 감곡지역의 기름진 옥토에서 농부들의 땀과 정성으로 수확한 명품 복숭아로 감곡 햇사레 복숭아의 맛과 우수한 품질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통조림과는 차별화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보관 용기를 유리병으로 제작 판매하고 있어 유아부터 노인들까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감골도원’에서 생산한 ‘병 속아 복숭아’는 한 상자(1.3㎏짜리 2병)에 1만5천원에 판매되고 있으며, 3상자이상 구입 시는 택배비는 무료다.
또한, 피부미용 효과가 뛰어나고 펙틴이 풍부해 변비에 효과 있고 발암성분 억제작용이 있는 ‘햇사레 복숭아즙’ 또한 1상자(50봉)에 1만5천원에 판매되고 있어 웰빙 음료수로 인기 만점이다. 음성투데이 - (http://www.estoday.kr)
ⓒ 음성투데이(http://www.estoday.kr)
복숭아 즙과 말랑한 복숭아의 개발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였지만, 아직 인지도와 상품보급이 부족하다. 고품질의 복숭아를 잘 활용하여 좀 더 소비자들에게 어필 가능한 가공 식품의 개발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상처가 나거나 작은 복숭아는 쥬스 및 통조림, 즙들 가공식품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좋은 예가 될 것이다.
결론
1. 요약 및 결론
“충북 음성군의 대표 농산물인 햇사레복숭아가 '2009한국지방자치브랜드 대상'에 선정됐다. 햇사레복숭아는 전국 농식품 파워브랜드대전 3회 연속 수상과 FTA기금 지원평가 전국 최우수 선정 등과 이번 수상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이어갔다”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FTA의 협상으로 인해 가장 타격을 받았을 농업부문에서 굳건히 자리를 지키며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는 햇사레복숭아 브랜드의 성공사례를 제시해줌으로써 농업의 발전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햇사레 복숭아가 업계 1위 브랜드의 자리를 지키며, 최고급 품질 브랜드 부가가치의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었던 힘은 차별화된 관리와 발 빠른 공동조합의 구축 이였다. 친환경농법, GAP기준, IFP생산체계, 공동선별 기준의 엄격한 적용, 유통업체와 도매시장 등의 구매담당자 의견을 적극 수렴한 소비자 지향적인 검품 및 상품 개발을 통한 체계적인 품질관리와 현대적이고 과학적인 유통시설 보유, 다양한 프로모션 전개 등을 통해 유통업체와 소비자, 생산자가 모두 Win-Win 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추진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준에 이르기 까지 모두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기후와 환경변화에 따른 일정한 품질 구축의 어려움, 판매자와 소비자들의 가격차, 유통시장의 변화로 인해 난관을 겪었으며 조합공동사업법인이라는 특성상 수익의 분배와 일정한 수준의 품질확보, “내가 지은 상품이 훨씬 월등해!”라는 개별농가의 의식 또한 햇사레복숭아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게 한 요소였다. 그렇다고 여기서 멈출 햇사레가 아니었다. 이런 어려움은 오히려 더 철저한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밑 걸음 작용을 했다. 햇사레 지역특성에 따른 재배기준 및 상품화와 브랜드 관리기준을 제시한 햇사레만의 차별화된 통합관리 매뉴얼을 제작하고, 철저한 검품강화, 품질관리단의 평가와 제제를 통해 한걸음 더 앞선 농업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는 남아있다. 작물의 특성상 기후에 민감하기 때문에 자체관리의 개발 노력이 더 이루어져야 하며, 출하농가의 저조한 품질에 대한 제재와 향상과 가격경쟁력, 한-칠레 FTA로 인한 농가의 흔들림이 그것이다. FTA 체결로 인해 햇사레가 타격을 입지 않았나 걱정되었지만, 다행히도 FTA 체결로 인해 오히려 가격 경쟁력이 향상 되었다
는 기쁜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이미 국내산의 복숭아 맛에 익숙한 국민들의 입맛 때문인지 칠레산 복숭아에 비해 햇사레가 맛과 육질이 더 월등하다고 여기고 있기에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문제는 칠레산이 아니다. 복숭아는 저조한 저장성으로 인해 물류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수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작물 중에 하나였지만, 중국산의 복숭아가 들어올 경우 맛과 육질이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하고, 물류비와 유통과정 또한 길지 않아 국내의 복숭아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햇사레는 점유율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더 좋은 품질과 시장분산을 위한 수출노력에 힘써야 한다. 최고급상품을 통해 중국의 상류계층을 대상으로 역 수출을 하는 것도 좋은 방향 일 것이다.
FTA의 체결과 농업부문의 경쟁력 감소로 인해 농업부문의 성장이 점차 둔화되고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남보다 발 빠른 노력과 꾸준한 개발, 관리의 노력으로 굳건히 업계 1위로 브랜드 파워를 자랑하고 있는 햇사레를 통해 농업의 발전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앞으로 다른 농업부문의 발전에 방향을 제시 해 줄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더 나아진 우리 농업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2. 참고문헌
<문헌>
햇사레 봄 소식지
햇사레 사업추진성과 자료 (햇사레과인조합공동사업법인 배부)
<기사>
농수축산 - (http://aflnews.co.kr)
민중의 소리 - ( http://www.vop.co.kr)
음성투데이 - (http://www.estoday.kr)
조선일보 이코노미 플러스 - (http://economyplus.chosun.com) 2005년 06월호
충북일보 - (http://www.inews365.com)
<인터넷>
농림수산식품부 - (http://www.mifaff.go.kr/main.tdf)
더 바이어 - ( http://www.withbuyer.com)
자유무역협정 국내 대책위원회 - (http://fta.korea.kr)
햇사레 홈페이지 - (http://www.hessar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