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터넷 방송의 개념
1. 인터넷 방송의 정의
2. 인터넷 방송의 분류
3. 인터넷 방송 기술
4. 인터넷 방송 시스템
5. 인터넷 방송 관련 이슈
Ⅱ. 해외 인터넷 방송 현황
1. 현황
2. 주요 사업자 현황
3. 사업전략
4. 인터넷 방송 정책
Ⅲ. 국내 인터넷 방송 현황
1. 현황
2. 인터넷 방송의 이용 현황
3.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안
■ 맺음말
■ 참고문헌
1. 인터넷 방송의 정의
2. 인터넷 방송의 분류
3. 인터넷 방송 기술
4. 인터넷 방송 시스템
5. 인터넷 방송 관련 이슈
Ⅱ. 해외 인터넷 방송 현황
1. 현황
2. 주요 사업자 현황
3. 사업전략
4. 인터넷 방송 정책
Ⅲ. 국내 인터넷 방송 현황
1. 현황
2. 인터넷 방송의 이용 현황
3.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안
■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룹들은 거대 자본을 동원하여 외부에서 기술을 사들이는 A&D(Acquisition & Development)와 같은 급행 전략을 선호
·디지털 압축 기술 등의 미디어 관련 첨단 기술을 개발한 국내 벤처기업들이 A&D의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로컬 시장의 진입을 위해 독자적 문화 컨텐츠 개발에 앞서 있는 독립 인터넷 방송국들 역시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
□ 미디어 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통합방송법에서 인터넷 방송과 같은 뉴미디어에 대한 언급이 부족
- 초기 인터넷 방송은 부가적인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로 인식
·인터넷 방송은 전광판 광고와 동일하게 분류되기도 함
-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뉴미디어로서의 위상 정립이 되기 시작
·방송위원회가 방송ㆍ통신 위원회로 개정될 가능성 확대
·뉴미디어로서의 인터넷 방송에 대한 연구가 최근 학계와 방송계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 디지털 정보의 저작권에 대한 개념과 이에 따른 실행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
- MP3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에 관련해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라는 측면과 「저작물의 원활한 유통」이라는 측면이 첨예하게 대립
- 향후 저작권료에 대한 기준 마련은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
·일률적인 저작권법의 적용은 초기 단계인 인터넷 방송의 기반을 무너뜨릴 것으로 예상
·저작권법의 적용시에 적용범위, 형평성 등의 다양한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형편
□ 인터넷 방송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
- 초기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와 초기 과대 투자 비용으로 수익성 미비
·취미형 컨텐츠와 자체제작을 위한 방송 장비에 대한 과도한 투자로 고전
·최초의 인터넷 방송국 M2station을 비롯해서 Ready-Q, 바운드, cscast, bitz 등 일부 인터넷 방송국들 몰락
- 새로운 컨텐츠 개발로 수익을 실현하는 인터넷 방송국이 증가하는 추세
·인터넷 방송국 설립 형태는 서비스할 컨텐츠에 적합한 비용 투입으로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
·성공적인 인터넷 방송국을 대상으로 벤치마킹과 전문가 컨설팅을 이용,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추세
- 10대를 대상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컨텐츠에서 구매력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특화된 컨텐츠로 변화
·증권 정보 서비스나 토크쇼, 미팅 등의 직접 참여를 통한 회원제 운영 사이트들이 증가하는 경향
·인터넷 방송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이용 「방송+쇼핑몰」형태의 복합 방송국이 증가
■맺음말
최근 실시간 주문형 방송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넷 방송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지상파TV 방송사, 종합상사, 통신기업 등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열풍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의 확대와 함께 실시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청자중심의 On-Demand 서비스 등 디지털 방송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면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불과 1년전만해도 소수의 영세한 사업자에 의해 소규모로 운영되던 인터넷 방송사업에 지상파방송, 대기업, 대형 온라인 서비스업체 등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현재 인터넷 방송국은 약 25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용자수도 50만명을 훨씬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연내에 인터넷 방송국이 300개를 넘어설 것이며, 2005년 1,000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 방송이 기존 방송의 틈새시장이 아니라 새로운 방송의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21세기형 뉴미디어로 확고한 입지를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등장한 인터넷 방송은 단지 TV의 역할을 컴퓨터가 대신하는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기존 방송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일 것이다.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의 인프라와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컨텐츠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컨텐츠의 확보를 통해 확고한 시장지위를 확보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방송은 방송과 통신이 결합되는 미디어 대통합의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참고문헌
최영(1999), 「인터넷 방송」- 웹 캐스팅의 실제와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이은미, 김재영, 김준교(1999), 「인터넷방송 규제정책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연구보고서
박성호(1999), 「인터넷방송의 활용실태와 정책대응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학술 연구과제 98-25
유지영, 김규태(1999), 「웹캐스팅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문화센터 연구보고서
이만제, 조성호, 조문식(1998), 「인터넷 방송 현황 및 육성방안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은영(1999), "미국 네트워크 방송사들의 인터넷 관련사업 진출", 「정보통신정책」통권 231호, 제 11권, 8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병준(1999), "인터넷 음악 시장", 「정보통신정책」, 통권 234호, 제 11권 11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오정숙(2000), "국내 인터넷방송 현황", 「정보통신정책」, 2000.04.01
홍성구(1998),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안", 제15회 방송토론회 결과 보고서, pp.75~88
삼성경제연구소(2000), 「세계 미디어 시장 재편과 전망」, Issue Paper
한국전산원(2000), 「2000 한국 인터넷 백서」
http://etlars.etri.re.kr/ETLARS/industry/jugdong/942/94203.html
http://news.cnet.com/news/0-1005-200-1528000.html
http://www.castservice.com/about_webcast12.html
http://user.chollian.net/~antiys/2K0410.htm
http://www.nab.org/conventions/nab2000/conferences.asp
http://www.netcenter.co.kr/97pushtech/pushmain.html
http://www.nic.or.kr/data/report/lnds/inds-2.1.1.html
전자신문, 한국경제신문, 싸이버저널 등 국내 저널 다수
·디지털 압축 기술 등의 미디어 관련 첨단 기술을 개발한 국내 벤처기업들이 A&D의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로컬 시장의 진입을 위해 독자적 문화 컨텐츠 개발에 앞서 있는 독립 인터넷 방송국들 역시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
□ 미디어 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통합방송법에서 인터넷 방송과 같은 뉴미디어에 대한 언급이 부족
- 초기 인터넷 방송은 부가적인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로 인식
·인터넷 방송은 전광판 광고와 동일하게 분류되기도 함
-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뉴미디어로서의 위상 정립이 되기 시작
·방송위원회가 방송ㆍ통신 위원회로 개정될 가능성 확대
·뉴미디어로서의 인터넷 방송에 대한 연구가 최근 학계와 방송계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 디지털 정보의 저작권에 대한 개념과 이에 따른 실행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
- MP3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에 관련해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라는 측면과 「저작물의 원활한 유통」이라는 측면이 첨예하게 대립
- 향후 저작권료에 대한 기준 마련은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
·일률적인 저작권법의 적용은 초기 단계인 인터넷 방송의 기반을 무너뜨릴 것으로 예상
·저작권법의 적용시에 적용범위, 형평성 등의 다양한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형편
□ 인터넷 방송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
- 초기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와 초기 과대 투자 비용으로 수익성 미비
·취미형 컨텐츠와 자체제작을 위한 방송 장비에 대한 과도한 투자로 고전
·최초의 인터넷 방송국 M2station을 비롯해서 Ready-Q, 바운드, cscast, bitz 등 일부 인터넷 방송국들 몰락
- 새로운 컨텐츠 개발로 수익을 실현하는 인터넷 방송국이 증가하는 추세
·인터넷 방송국 설립 형태는 서비스할 컨텐츠에 적합한 비용 투입으로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
·성공적인 인터넷 방송국을 대상으로 벤치마킹과 전문가 컨설팅을 이용,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추세
- 10대를 대상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컨텐츠에서 구매력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특화된 컨텐츠로 변화
·증권 정보 서비스나 토크쇼, 미팅 등의 직접 참여를 통한 회원제 운영 사이트들이 증가하는 경향
·인터넷 방송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이용 「방송+쇼핑몰」형태의 복합 방송국이 증가
■맺음말
최근 실시간 주문형 방송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넷 방송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지상파TV 방송사, 종합상사, 통신기업 등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인터넷 방송의 열풍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초고속 인터넷서비스의 확대와 함께 실시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청자중심의 On-Demand 서비스 등 디지털 방송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면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불과 1년전만해도 소수의 영세한 사업자에 의해 소규모로 운영되던 인터넷 방송사업에 지상파방송, 대기업, 대형 온라인 서비스업체 등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현재 인터넷 방송국은 약 25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이용자수도 50만명을 훨씬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연내에 인터넷 방송국이 300개를 넘어설 것이며, 2005년 1,000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 방송이 기존 방송의 틈새시장이 아니라 새로운 방송의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21세기형 뉴미디어로 확고한 입지를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등장한 인터넷 방송은 단지 TV의 역할을 컴퓨터가 대신하는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기존 방송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일 것이다.
인터넷 방송은 인터넷의 인프라와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컨텐츠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컨텐츠의 확보를 통해 확고한 시장지위를 확보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방송은 방송과 통신이 결합되는 미디어 대통합의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참고문헌
최영(1999), 「인터넷 방송」- 웹 캐스팅의 실제와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이은미, 김재영, 김준교(1999), 「인터넷방송 규제정책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연구보고서
박성호(1999), 「인터넷방송의 활용실태와 정책대응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학술 연구과제 98-25
유지영, 김규태(1999), 「웹캐스팅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문화센터 연구보고서
이만제, 조성호, 조문식(1998), 「인터넷 방송 현황 및 육성방안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은영(1999), "미국 네트워크 방송사들의 인터넷 관련사업 진출", 「정보통신정책」통권 231호, 제 11권, 8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병준(1999), "인터넷 음악 시장", 「정보통신정책」, 통권 234호, 제 11권 11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오정숙(2000), "국내 인터넷방송 현황", 「정보통신정책」, 2000.04.01
홍성구(1998),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안", 제15회 방송토론회 결과 보고서, pp.75~88
삼성경제연구소(2000), 「세계 미디어 시장 재편과 전망」, Issue Paper
한국전산원(2000), 「2000 한국 인터넷 백서」
http://etlars.etri.re.kr/ETLARS/industry/jugdong/942/94203.html
http://news.cnet.com/news/0-1005-200-1528000.html
http://www.castservice.com/about_webcast12.html
http://user.chollian.net/~antiys/2K0410.htm
http://www.nab.org/conventions/nab2000/conferences.asp
http://www.netcenter.co.kr/97pushtech/pushmain.html
http://www.nic.or.kr/data/report/lnds/inds-2.1.1.html
전자신문, 한국경제신문, 싸이버저널 등 국내 저널 다수
소개글